신기술동향 전자기사 대비용 .HWP
신기술동향 ( ~ 2010)
2010년 1차 신기술동향
G세대(G-generation)
1988년을 전후하여 태어난 세대로 푸른색을 뜻하는 Green과 세계화를 뜻하는 Global의 첫글자인 G를 따서 이름이 붙여진 세대. 인터넷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로 넘치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판단을 지향하고, 개6인주의적 사고를 통해 도전과 목표를 즐길 줄 아는 세대이다.
IT 경쟁력 지수(IT Competitiveness Index)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BSA(Business Software Alliance)의 후원으로 매년 국가별(66개국) IT산업의 경쟁력을 조사‧발표하는 지수. 이 지수는 전반적 기업 환경, IT 인프라, 인적자본, 법적 환경, R&D 환경, 정부지원을 종합 평가한다.
TV 앱스토어(TV Appstore)
TV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장터. 앱스토어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거래장터를 말하는데, 이와 동일한 서비스 형태를 TV에서 제공하는 것을 TV 앱스토어라 한다. 주로 IPTV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C4ISR(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군 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C4I에 감시 및 정찰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용어. C4ISR는 전자 통신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감시 및 정찰기술이 보다 정밀하고 다양해져 적의 상황을 먼저 보고 먼저 공격할 수 있는 감시 및 정찰 기능을 C4I에 결합한 것이다. 향후에는 C4ISR에 정밀유도무기(PGMs)까지 포함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DSS(Digital Signature Standard)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제안한 전자 서명 표준안. DSS는 NIST가 안전성과 특허 사용료를 이유로 기존의 기업과 정부기관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RSA 방식을 배제하고, EIGama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차별화하고 있다. 1993부터 연방 정보 처리 표준(FIPS) 186으로 시작하여, 1996년에 FIPS 186-1, 2000년 FIPS 186-2를 거쳐 2009년에는 FIPS 186-3가 발표되었다.
PDP TV(Plasma Display Panel TV)
PDP를 사용한 TV. PDP는 기체 방전시에 생기는 플라즈마로부터 빛을 방사하여 문자나 그래픽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며 이를 이용한 TV가 PDP TV이다. PDP TV는 반응속도가 빠르고 잔상이 없으며 색상이 부드럽고 색재현 범위가 넓어 자연색에 가까운 화질을 제공한다. LCD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대형화에 유리하나 열이 많고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 한글 문자 1700자 또는 숫자 8000자의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 활용한다.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THz Wave(TeraHertz Wave)
300㎓에서 3㎔ 대역의 전자파. 파장으로 말하면 1㎜에서 0.01㎜로서 1㎜이하를 특별히 서브밀리미터파(Sub-milimeter Wave)라고도 부른다. 테라헤르츠파는 전자파의 투과성과 광파의 직진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금속 물체에서는 반사하고, 플라스틱, 나무 등 비이온화 물질에서는 투과한다. X-Ray와 대비하여 테라헤르츠파를 T-Ray라 부르며 X-Ray보다 에너지가 낮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병리조직진단을 비롯하여 숨겨진 폭발물, 마약 탐지 등 대용량이 필요한 근거리 통신에 활용할 수 있다.
가상 사무공간(Virtual Office)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사무공간. 초기에는 본사가 아닌 별도의 원격근무센터에서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해 근무하는 고정형인 스마트 오피스(smart office)가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장소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볼 수 있는 이동형 오피스(mobile office)로 확산되고 있다. 재택 근무, 모바일 오피스, 원격지 근무, 영상회의 등을 아우르는 것이 가상 사무공간이다.
가상 프로비저닝(Virtual Provisioning)
스토리지 계층화의 핵심기술로 관리자의 개입 없이 정보의 가치 변화를 자동으로 분석해 정해 놓은 정책에 따라 데이터를 이동 저장하는 것. 예를 들어, 기존 파이버채널 드라이브에 들어 있던 업무가 고성능의 데이터 입ㆍ출력을 필요로 한다면 플래시 드라이브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의 접근 빈도수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SATA 드라이브로 옮겨 저장하여 스토리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개인환경서비스(PES,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가지고 가정과 사무실, 차량, 공공장소를 이동하면, 휴대전화가 주변의 각종 생활 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휴대전화와 사용자 주변의 각종 생활기기는 WPAN 또는 WLAN으로 통신하며, 사전에 휴대전화에 입력된 사용자의 생활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생활기기들을 제어하고, 이동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휴대전화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능적으로 갱신한다.
교차특허(Cross License)
상이한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권리자들이 서로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라이선스. 지적재산권의 경제적 가치가 동등할 경우에는 상호 무상으로 사용하고 가치가 다를 경우 그 차액만큼 보상해주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관례이다. 연구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린 에너지(Green Energy)
공해가 없는 에너지로 녹색 에너지, 청정 에너지, 대체 에너지라고도 부른다. 그린 에너지는 각종 공해물질을 배출해 지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와 달리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태양열, 지열, 풍수력, 조력, 파력 등의 자연 에너지와 수소 에너지, 바이오매스(bio-mass) 등이 해당된다.
넷폰(Netphone)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갖춘 휴대폰. 스마트폰과 달리 일반폰임에도 무선랜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선 무료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이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컴퓨터(PC) 형태의 쿼티 자판이나 별도의 운영체제(OS)는 없지만 무선랜이 부착되어 있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디도스 사이버 긴급대피소(DDOS Cyber Urgent Shelter)
디도스 방어 시스템(DDoS Defense System)을 이용하여 디도스 공격을 받은 사이트의 방어를 지원하기 위한 대피소. 디도스 사이버 긴급대피소는 디도스 공격을 받은 사이트의 IP 주소를 바꾸어 주어 공격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방법이다. 정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디도스 공격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 내에 사이버 긴급대피소를 구축하였다.
디지털 병사(Digital Soldier)
전투복에 첨단 기계 장치를 넣어 전투력을 한 단계 향상한 병사. 디지털 병사 체계의 핵심은 입는 컴퓨터와 통합 헬멧이다. 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 전방향 관측 비디오카메라, 야간 투시 장비, 이어폰과 음성 인식 마이크, 독가스 차단 마스크 등을 한데 모은 이 일체형 군복은 군인들을 하나의 컴퓨터 네트워크로 통합할 뿐 아니라 GPS를 활용해 동료 부대원이나 적군을 포착하기가 쉽다. 또한, 수집한 정보를 육·해·공군과 공유해 입체적으로 작전을 펼칠 수 있게 한다.
디지털 부머(Digital Boomer)
디지털시대 소비확산을 주도하는 디지털 신인류. 디지털 매체와 서비스를 자신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는 채널로 이용한다.
메타소재(MTM, Metamaterials )
기존의 소재가 갖고 있는 전자기 특성과 달리 유전율, 투자율 및 도전율이 음(-)의 값을 갖는 소재. 기존의 소재로는 불가능했던 주파수 독립적인 파장, 위상 및 굴절률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소재로 정보통신기기, 전자제품 등의 초소형화, 고성능화 등의 차세대 원천기술의 구현이 가능한 소재이다.
모바일 1회용 비밀번호(MOTP, Mobile One Time Password)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에서 사용하는 1회용 비밀번호. 1회용 비밀번호(OTP)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입한 시스템으로 보안이 필요한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하는 OPT를 MOTP라 한다. 공인인증서 방식의 본인확인도 가능하다.
민첩 개발 방법(Agile Development Method)
민첩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 전통적인 SW 개발 방식인 폭포수(waterfall) 개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해 사용자, 개발자, 테스터가 한 조를 이뤄 사용자 시나리오(user story) 개발한다. 이 사용자 시나리오를 지속적으로 순환 반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개발 과정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 초기단계부터 시나리오 기반으로 사용자 의견을 반영할 수 있고 변경에 따른 품질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해 애플리케이션 품질을 향상시킨다.
방송통신발전기본법
방송통신 융합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방송통신 정책의 기본방향을 규정하는 법률. 융합환경에 대응하여 전기통신기본법과 방송법 등 여러 법률에 산재해있던 규정들을 통합하고, 융합이 활발해 지면서 등장하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 개념 등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회공학적 해킹(Social Engineering Hacking)
시스템이 아닌 사람의 취약점을 공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는 공격기법. 사회공학적 해킹은 인터넷의 발달로 이메일, 인터넷 메신저, 트위터 등을 통해 사람에게로의 접근채널이 다각화됨에 따라 지인으로 가장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 공격방법이다.
서명 인식(Signature Recognition)
서명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는 생체인식 시스템. 서명 인식 방법은 오프라인(Off-line) 방식과 온라인(On-line) 방식이 있다. 오프라인 방식은 먼저 서명된 자료를 카메라나 스캐너를 통해 서명이 입력되고 서명의 크기나 기울기 등을 통해 검증한다. 온라인 방법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서명 속도, 필기순서, 획순 등의 동적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한다.
선택적 셧다운제(Selective Shut Down System)
자녀 게임이용 관리 서비스 제도. 부모가 게임업체에 요청할 경우 자녀의 결제 내역과 이용시간 등을 공개하고 부모가 자녀의 게임접속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셔터 안경 방식(Shutter Glasses Method)
3D 영상 구현방식의 일종으로 디스플레이에 좌우의 영상을 따로 표시하고 좌측 영상은 좌측 안경이, 우측 영상은 우측 안경이 열려서 좌우영상을 분리해 주어 입체감을 제공하는 방식. 움직임이 고속이기 때문에 시차가 있는 영상을 좌우에서 동시에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으로 좌우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면의 깜빡임이 발생하여 눈이 피로감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소셜 웹(Social Web)
사이버 공간에서 어떤 목적에 따라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서비스.소셜 웹 서비스는 친구들 간에 재미를 위주로 이야기를 나누는 관계지향적 서비스는 물론 정보 유통과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정보가 다양하고 빠르기 때문에 이용자가 몰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회원들은 전세계에 걸쳐 있어 지구촌에서 발생하는 대형 사건사고를 언론매체보다 더 빠르게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거미줄처럼 연결된 사이버 인맥을 이용해 구호활동을 벌이기도 하고, 논란이 되는 사건에 대해 토론을 벌이기도 하면서 소통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정부기관이나 정치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특히, 소셜웹서비스가 킬러 서비스인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소셜웹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W 컴포넌트, SoftwareComponent)
기계 부품과 같이 소프트웨어도 부품으로 제작한 다음 이를 조립해 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제작할 수 있다. 이같은 조립형 소프트웨어를 컴포넌트 소프트웨어라 한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분산객체기술에서 컴포넌트는 재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빌딩 블록으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같은 컴퓨터에 있거나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컴포넌트들과 조합될 수 있다.
수중 무선통신 시스템(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수중에서 음파나 초음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 물 속은 지상의 대기와 달리 손실이 많고, 굴절이나 반사가 심해 일반 전파나 광파로는 통신이 불가능해 음파나 초음파를 사용한다. 수중 무선통신시스템은 잠수함간 통신은 물론 잠수함과 수상함간 수중 무선통신, 심해저 자원 개발, 지형ㆍ지질조사, 해양환경 조사ㆍ관측, 항만감시 등 해양 개발 및 군사방위 등 해양 관련 전 분야에 걸쳐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주파수 특성 때문에 전송거리나, 전송량도 제한을 받는다.
애너글리프 방식(Anaglyph Methode)
색상 차를 이용해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 왼눈 영상은 청색으로 오른눈 영상은 적색으로 형성한 후, 이를 겹쳐 스크린 상에 투영하고, 이 영상을 왼눈에는 청색, 오른눈에는 적색의 필터가 붙은 안경으로 좌우 영상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특수한 스크린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안경도 저가이기 때문에 손쉬운 방식이지만 필터의 색과 안경의 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쉬우며, 옅은 색을 사용하면 컬러 영상도 가능하나 색의 재현성은 떨어진다.
에너지 IT(Energy IT)
에너지 절감을 위해 에너지와 IT분야를 융합하는 것. 기존 전력망에 IT를 결합해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스마트그리드가 대표적이다.
음향탐지레이더(Sound Detection Radar)
포사격 소리를 분석해 사격위치를 파악하는 레이더. 음향탐지레이더는 대포병탐지레이더(AN/TPQ)와 함께 적의 포사격 지점을 파악하는 레이더이다. AN/TPQ는 날아오는 포탄을 역추적하여 적의 포사격 지점을 확인하는 레이더로 단거리 사격지점은 완벽하게 탐지할 수 있지만 장거리 사격이나 기상이 악화된 때 포탄이 수면에 떨어질 때는 탐지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음향탐지레이더를 추가로 배치하고 있다.
인증 교환(Authentication Exchange)
인증 수행을 위해 인증 정보를 교환하는 것. 인증 교환에는 암호나 메시지 인증 코드(MAC)를 많이 사용한다. MAC를 이용하면 메시지 전송 중에 수신자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메시지가 순서번호(Sequence Number)를 갖고 있다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동기화 클럭(Synchronized Clock)을 이용하여 양 당사자간에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인터넷 삼진아웃제(Internet Strike-out)
저작권법에 의하여 정부가 불법복제물 등의 복제·전송으로 3회 이상 경고한 복제·전송자에게 해당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해당 복제·전송자의 계정을 정지할 것을 명령하는 것. 또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운영하는 게시판으로 불법복제물 등의 삭제 또는 전송 중단 명령이 3회 이상 내려진 경우에도, 심의를 거쳐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해 해당 게시판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녹색법, 低炭素綠色成長基本法)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법률 제9931호로 (2010년 1월 13일)로 제정/공포/시행된 법률.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요한 기반을 조성하고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을 도모하며 저탄소 사회 구현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책임을 다하는 성숙한 선진 일류국가로 도약하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가상화(Full-Virtualization)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는 방식. 전가상화는 이진코드 변환기법(binary code translation)을 사용하는 VMM 위에서 윈도에서 리눅스까지 다양한 OS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게스트 OS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하드웨어 에뮬레이션(emulation)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단점이다. 이러한 방식의 가상화 유형으로는 VMware의 ESX/ESXi 등이 있다.
전자 계약(Electronic Contract)
통신망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상거래 계약으로 일정한 법률 효력을 목적으로 두사람 이상의 당사자가 전자적 의사표시로 합의하는 법률행위로서 전자문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상거래 계약. 계약 과정을 전자화하면 담당자의 생산성 향상 외에도 기업 입장에서 계약서류와 실제 구매, 입고, 지급 등 전 과정을 조정할 수 있는 등 이점이 많아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기펄스 폭탄(EMPB, Electromagnetic Pulse Bomb)
강력한 전자기파를 방출하여 적의 전자기기 체계를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게 하는 폭탄. 전자기펄스 폭탄은 고공에서 순식간에 발생하는 광대역의 강력한 전자기파를 방출하기 때문에 지상은 물론 지하에 있는 미사일이나 항공기, 통신시설 등을 무력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정보통신망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의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통망법)
정보통신망의 이용을 촉진하고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함과 아울러 정보통신망을 건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
정전식 터치스크린(Capacitive Touch Screen)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해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은 내구성이 강하고 반응시간이 짧고, 투과성도 좋으며, 멀티터치가 가능해 주로 산업용이나 게임기 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휴대폰에도 본격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종합편성채널(종편채널)
케이블TV와 위성방송, IPTV 등을 통하여 보도·교양·오락 등 다양한 장르로 편성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 지상파와 종편채널 및 보도 전문채널은 공익성과 공공성이 강한 매체 특성과 사회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문사나 대기업에게는 소유를 제한하여 왔으나 2009년 7월 국회에서 통과된 방송법·신문법·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IPTV법) 등 미디어 관련 법에서 신문사와 대기업이 종합편성채널의 지분을 30%까지 소유할 수 있고, IPTV는 49%까지 소유할 수 있게 했다. 다만, 신문은 일간신문의 구독률이 100분의 20 이상인 경우에는 사업을 제한하고 있다. 종합편성채널을 운영할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일반 전문채널 운영사업자와 달리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파수 공유 기술(Spectrum Sharing Technology)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이를 위한 기술로는 Spectrum overlay 기술과 Spectrum underlay 기술이 있다. Spectrum overlay 기술은 인지 무선(CR) 기술을 이용하여 1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또는 지역에서 2차 사용자가 해당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IEEE 802.22 WG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WRAN(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기술이 대표적이다. Spectrum underlay 기술은 1차 사용자의 수신 신호의 레벨에 따라 2차 사용자의 출력을 제한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UWB 기술이 대표적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 혼합현실(MR)이라고도 부른다. 증강현실은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도 대단히 높기 때문에 방송은 물론 게임, 교육, 오락,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스포츠 중계 시 등장하는 선수가 소속된 국가나 선수의 정보를 보여주거나 화장한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고, 옷도 가상으로 입어보고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 분야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분야에서 이용이 활발하다. 스마트폰으로 거리를 비추면 커피숍이나 약국 등의 정보가 화면에 부가적으로 표시된다.
지러닝(Game Learning)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교육. 기존의 게임이 갖는 흥미와 재미같은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학습적 요소를 게임에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인터넷 기반 서비스가 가능한 TV. TV로 직접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웹 검색이 가능하다. 인터넷망을 사용하지만 방송사업자가 직접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와는 다른 개념이다. 대표적인 커넥티드 TV로는 구글TV와 애플의 아이TV가 이에 해당된다.
컴퓨터 침해사고(Computer Security Incident)
해킹, 컴퓨터바이러스, 논리폭탄, 메일폭탄, 서비스 거부 또는 고출력 전자기파 등의 방법으로 정보통신망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시스템을 공격하여 발생한 사고. 침해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나라마다 대응팀을 운영하고 국가간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협력체를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ㆍ태평양지역침해사고대응팀협의체(APCERT)가 대표적인 국제협력체이다.
콘텐츠 필터링(Contents Filtering)
콘텐츠 이용과정에서 저작권 침해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를 제어하는 기술. 콘텐츠 필터링은 불법 복제된 콘텐츠가 유통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기술로 크게 키워드(keyword) 필터링, 해시(hash) 필터링, 특징점(feature) 필터링 등이 있다.
크로스미디어 광고(Cross Media Advertisement)
광고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여 행하는 광고. 예를 들어, CF 방송화면 하단에 문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여, 시청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이벤트에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탈옥폰(Jail Breaking Phone)
사용자가 제조사에서 제한한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한 폰. 대표적으로 아이폰 탈옥이 있다. 탈옥한 폰은 바탕화면을 화려하게 꾸밀 수도 있고, 유료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볼 수도 있으며 멀티태스킹도 가능하다. 하지만 탈옥한 아이폰은 제조사의 정책에 반하므로 제조사가 A/S를 제한하고 있다.
편광 방식(Polarized Method)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 좌우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좌우 프로젝터에 각각 입력하고 프로젝터 앞에 서로 다른 편광 필터를 부착하여 이를 투사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고, 필터와 동일한 편광 방식의 편광 안경으로 보게 되면 왼쪽 눈에는 왼쪽 영상만, 오른쪽 눈에는 오른쪽 영상만 입력되어 입체감을 느낀다. 구조가 간단하고 안경이 저가로 다수의 시청자들이 동시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편광 필터와 안경에 의한 해상도 저하와 좌우 편광의 완전분리가 어려워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하이 파이(Hi-Fi, High Fidelity)
가청주파수 범위의 저음부에서 고음부까지 원본을 충실하게 재생하는 음향기기 특성의 통칭. 하이파이 장치란 원음을 충실하게 재생하고, 저음부나 고음부가 모두 충실하게 잘 나오도록 음역을 넓히고,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를 말한다.
확장기(Expander)
작은 신호를 크게하는 효과 장치. 증폭기의 입출력 특성에서 그 비가 1:1이상을 익스펜더 1:1 이하면 컴프레서라고 한다. 잡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게이트(noise gate)로 주로 이용된다.
2009 2차 신기술동향
DVB-C2(Digital Video Broadcasting-Cable version 2)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그룹에서 디지털 케이블 방송규격인 DVB-C의 성능을 개선하여 제정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규격. DVB-C와 호환을 유지하며 전송 효율을 증가시켰으며 모드는 VCM(Vatiable Coding &Modulation)과 ACM(Adaptive Coding &Modulation)을 추가하고, 변조 방식은 QAM을 COFDM으로, 인터리빙도 시간과 주파수 인터리빙을 추가했고, 변조 구조도 16에서 256-QAM을 16에서 4096-QAM까지로 확대하고, 순방향 오류 정정(FEC)도 효율이 좋은 저밀도 패리티 체크(LDPC)와 BCH를 결합한 방식 등을 채택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IT 활용 녹색성장(Green by IT)
IT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생산, 물류 등 기업활동을 혁신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거나, IT 그린 솔루션을 도입하여 기업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GHG(Green House Gas,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해 행정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녹색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것. 활용분야는 습도·온도 센서와 모니터링 시스템 등 IT를 기반으로 대형 건물의 탄소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을 비롯, 직원들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격영상회의 시스템, 재택근무 확대 등이 있다.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네트워크 계층인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보안성을 제공해 주는 표준화된 기술로 데이터 송신자의 인증을 허용하는 인증 헤더 (AH)와, 송신자의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를 함께 지원하는 ESP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등 두 종류의 보안 서비스 등이 있으며, 보안 게이트웨이 간의 보안 터널을 제공하는 터널모드와 종단 호스트 간의 보안 터널을 제공하는 트랜스포드 모드 등 2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IPv4에서는 선택으로 IPv6에서는 필수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IMS(IP Multimedia Service)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IMS는 기본적으로 범용의 인터넷 기반 기술과 표준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가격 경쟁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을 추구한다. IMS는 액세스 네트워크와는 독립적이며, 세션관리 기능의 개선으로 서로 다른 통신망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손쉽게 연동되어 서비스간 글로벌 연동과 유무선망의 컨버전스를 촉진시킨다. IMS는 초기 All-IP W-CDMA망에서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상호 연동과 호환을 위하여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이동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지원하는 기술로 확대되고 있다.
IPTV 2.0
IPTV의 차세대 버전.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로도 원하는 콘텐츠는 무엇이나 최적 품질로 끊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개념이며 개방형 접속을 지향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모바일 IPTV 기능이 있다.
NGN(Next Generation Network)
ITU-T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유선 접속망 뿐만아니라 이동 사용자 지원까지를 목표로 하며, 이동통신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이동성(Full Mobility) 제공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VHT(Very High Throughput)
IEEE 에서 802.11n 후속으로 진행하고 있는 표준안. 802,11n 대비 2배 이상의 전송속도인 1Gbps 이상을 지원하여 압축되지 않은 HD 동영상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802.11n과 비교할 때 개선된 커버리지와 전력소모 기능을 갖고, 기존 무선랜 사양들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다.
가변 비트레이트(VBR, Variable BitRate)
인코딩할 때 상황에 따라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압축 방법. 가변 비트레이트는 오디오나 비디오 인코딩 형식 중 하나로 고정 비트레이트(CBR)와 다른 점은 단위 시간당 출력하는 데이터의 양이 계속 변한다는 것이다. MP3, WMA, Vorbis, AAC 오디오에서 선택적으로 가변 비트레이트로 인코딩 할 수 있으며 비디오에서는 MPEG-2 형식에서 사용 가능하다. 가변 비트레이트의 장점은 단위 비트 당 할당하는 용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많은 데이터를 요구하는 곳에 더 많은 비트를 할당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요구가 적은 곳에는 비트를 적게 할당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가변 비트레이트로 인코딩한 결과물은 고정 비트레이트에서 인코딩한 결과물보다 질이 좋다.
감사 기록(Audit Logging)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증거가 되는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기록, 저장하는 것으로 관리책임자에 의해 총괄 관리되며 시스템의 각 업무관리자는 당해 업무에 대한 감사기록만 열람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지수
개인정보보호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치화한 지표. 기업과 개인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로 6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기업영역 세부지표는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지율, 개인정보보호조직 구성률, 개인정보보호교육 실시율, 암호화 통신율, 암호화 저장률, 물리적 접근통제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영역 세부지표는 개인정보취급방침 확인율, PC 및 웹사이트 비밀번호 관리율, 공인인증서 사용률,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 사용률, 인터넷 보안설정률, 운영체제(OS) 업데이트율로 구성되어 있다.
그린 IT 지수(Green IT Index)
기관 또는 기업의 그린 IT 활용을 평가하는 지수. 단순히 IT 제품과 기술의 그린화를 뛰어넘어 IT 기술을 녹색전략에 어느 정도 활용하고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측정해 그린 IT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한다.
녹색 보안(Green Security)
정보보호를 통해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 각종 보안 위협을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에너지 및 자원을 절감하여 녹색성장을 구현하는 개념이다. 세부방안으로는 DDoS 공격의 신속 대응, 악성코드 제거, 저전력 암호 이용, 스팸 감축, 클라우드 서비스 등이 있다.
녹색 성장(Green Growth)
환경(Green)과 성장(Growth) 두가지 가치를 포괄하는 개념. 기존의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는 과정 중 파생되는 에너지, 환경관련 기술, 산업에서 미래유망 품목과 신기술을 발굴해내고 기존 산업과의 상호융합을 시도해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새로운 유망 사업으로 풍력, 태양광, LED 녹색산업 등이 있다.
다중모드 인터페이스(MMI, multimodal interface)
인간과 컴퓨터, 또는 단말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음성뿐만 아니라 키보드, 펜, 그래픽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 것. 사용자가 음성, 키보드, 펜 등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음성, 그래픽, 음악 및 멀티미디어나 3차원 영상 등을 통하여 출력을 받게하는 인터페이스로서 W3C의 멀티모달 인터랙션 워킹 그룹에서 멀티모달 인터랙션 프레임워크(multimodal interaction framework), EMMA(Extensible Multimodal Annotation) 및 잉크 마크업 언어(Ink Markup Language) 등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디비던드(Digital Dividend)
TV방송의 디지털 전환후 발생하는 잉여 주파수 대역.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인 제1지역에서는 800㎒(790∼862㎒) 대역을, 북남미 및 아시아지역인 2,3지역은 700㎒(698∼806㎒) 대역을 말한다. 디지털 디비던드를 이동통신에 사용할 경우 현재 사용중인 ㎓대 주파수 보다 저주파 대역으로 자유공간 손실이 적고, 회절성이 높아 고품질의 서비스는 물론 셀커버리지가 넓어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디지털 위험(Digital Risk)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각종 매체 및 사이버 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위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사회공동체의 존립과 운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의 각종 위험을 포괄한다. 개인정보 유출, 해킹·바이러스, 사이버 폭력, 인터넷 중독 등이 대표적인 디지털 위험 사례이다.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 다양한 컴포넌트가 추가된 플래시(Flash)와 플렉스(Flex)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와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웹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이나믹하고 편리한 고객 중심의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2001년 매크로미디어사가 플래시 MX 저작툴을 통해 처음 선보인 이후 쇼핑몰이나 대고객 웹서비스, 포탈 등을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원래 RIA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으로 통상적인 데스크톱 응용의 기능과 특징을 유사하게 갖는 형태를 말한다. MS의 원격스크립팅, SUN의 자바, 매크로미디어의 X-인터넷, AJAX 등도 RIA로 통칭되고 있다.
매시업(Mashup)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구글이 공개한 검색 관련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와 지도 관련 API, 그리고 기타 여러 웹 서비스 정보들을 혼합하여 부동산 매매에 응용(예: HousingMaps.com)한 것처럼 다수의 정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가리킨다. 팝 뮤직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매시업은 아티스트나 DJ가 두곡 또는 그 이상의 곡을 섞어 하나의 곡으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신저 피싱(Messenger Phishing)
메신저를 이용한 피싱. 타인의 메신저 아이디를 도용하여 로그인한 뒤 등록된 지인에게 메시지를 보내 금전을 요구하는 행위 등을 말한다.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초정밀 반도체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actuator) 등 기계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 일반적으로 작은 실리콘 칩 위에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부품과 이들을 입체적으로 연결하는 마이크로 회로들로 제작되며, 정보기기의 센서나 프린터 헤드, HDD 자기 헤드, 기타 환경, 의료 및 군사 용도로 이용된다. 최근의 초소형이면서 고도의 복잡한 동작을 하는 마이크로시스템이나 마이크로머신들은 대부분 MEMS 기술을 사용한다.
미디어 벽면광고(Media Facade)
건물 외벽의 경관용 디스플레이. 차세대 전광판 광고방식으로 건물 벽면 일부 또는 전부를 광고판으로 사용하는 광고 방식이다.
밀리미터파 WPAN ( Millimeter Wav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미국 전기전자학회에서 제정한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초고속 무선 전송기술 표준. 비인가 대역인 57~66G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소 1Gbps를 지원하기 때문에 초고화질(풀HD)급 영상을 TV, 휴대폰, 케이블, 위성방송· 게임콘솔, 캠코더 등에 비압축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IEEE 802.15.3c에서 표준화를 완료하였다.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종류.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서로 접합하여 만든 LED의 전극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면 p형의 다수캐리어인 정공은 n영역으로, n형의 다수캐리어인 전자는 p영역으로 확산되는데, 이때 전자와 정공이 접합면 근처에서 서로 재결합할 때 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만큼의 파장을 갖는 빛이 발광된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직접 천이형 반도체에서 발광 효율이 우수하다. 광통신 분야에서는 갈륨, 비소, 인 등을 재료로 하는 LED가 광원으로 사용된다. 신뢰성이 높고 변조가 용이하며, 동작이 안정되어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출력광의 동기성이 나쁘고 광섬유와의 결합 효율이 낮으며, 발광 스펙트럼의 폭이 다소 넓어 변조 주파수를 100MHz 정도까지밖에 올릴 수 없다는 등의 단점도 있어 저/중속 단거리 회선이나 아날로그 회선에 주로 사용된다.
부분 주파수 재사용(FFR, Fractional Frequency Reuse)
주파수 재사용률을 다르게 적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기술.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의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 위치에 따라 주파수 재사용률을 다르게 적용하는 기술이다. 사용자가 기지국과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재사용률이 1이 되도록 서비스하고, 가장자리에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재사용률이 3이 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산 파일 시스템(DFS, distributed file system)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분산된 동일파일을 쉽게 액세스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주로 파일 서버 추가 및 파일 위치 수정,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나 대상에 액세스 할 경우, 조직에 내부 또는 외부용 웹 사이트가 있을 경우 등에 사용한다.
사이버 도피(Cyber Defection)
자국 내 서버에서의 자유로운 인터넷 이용에 제한을 받는 사용자가 이메일, 블로그 등 인터넷 서비스의 주 사용무대를 국내법의 효력이 미치지 못하는 해외 서버로 옮기는 행위. 국민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더불어 인터넷의 이용의 지나친 규제가 네티즌의 사이버 망명을 조장하고 인터넷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사이버 위기 경보(Cyber Crisis Alert)
사이버공격에 대한 체계적인 대비 및 대응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발령하는 경보. 사이버공격의 수준에 따라 4단계로 발령된다. 평상시에는 정상(초록)을 유지하다가 관심(파랑)→주의(노랑)→경계(주황)→심각(빨강) 순으로 단계별로 발령된다.
사차원 영상(4 Dimension Picture)
입체영화인 3D영화가 진화해서 오감 체험을 제공하는 영화. 기존의 보고 듣는 영화와 달리 물, 바람, 진동, 향기까지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영화로 특수 장치가 구비된 특수 상영관에서만 상영이 가능하다.오감 체험은 미리 준비된 소품들과 특수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각 장면마다 연출되도록 짜여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SDR, Software Defined Radio)
하나의 무선기기로 주파수나 출력, 변조방식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하여 다른 무선 통신방식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 안테나, 고주파 처리부분 등 필요 최소한의 부분만 하드웨어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주파수, 네트워크, 통신방식에 따라 소프트웨어 형태로 바꿔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게 한다. 장소, 시간에 관계 없이 하나의 단말기와 소프트웨어의 조작만으로 다중 모드, 다중 대역, 다중 환경의 무선 통신 환경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 단말기에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SDR) 모듈을 탑재하면 하나의 단말기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2개 이상의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All-IP 기반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을 추구하는 4세대 통신에서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국가마다 다른 주파수 밴드, 그리고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새로운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해 준다.
시스템 LSI(System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다양한 반도체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IC. 메모리반도체를 비롯한 개별반도체(discrete) 등을 제외한 대부분 반도체를 통칭하는 말로 시스템온칩(SoC) 혹은 시스템반도체 등으로도 불린다.
실감미디어(Immersive Media)
현실세계를 가장 근접하게 재현하고자 하는 차세대 미디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디어보다 월등히 나은 표현력과 선명함, 현실감을 제공하여 방송, 영화,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컴퓨터 그래픽스, 디스플레이 및 산업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예상된다.
아리아(ARIA)
ISO 표준인 시드(SEED)와 함께 사용될 국가 표준 128비트 블록 암호화 알고리듬. 학계(Academy), 연구소(Research Institute), 정부기관(Agency)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하드웨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최적화되어 특정 암호모듈 탑재 보안 제품에 대해서는 아리아 사용을 필수로 요구하고 있다.
악성 소프트웨어(malware, malicious software)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 가능한 코드로 악성 코드(Malicious Code) 또는 악성 프로그램(Malicious Program) 등으로도 불린다. 실행 가능한 코드에는 프로그램, 매크로, 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취약점을 이용한 데이터 형태도 포함된다. 악성 소프트웨어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이며 자기 복제 능력과 감염 대상 유무에 따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스파이웨어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의 악성 소프트웨어는 첨부파일을 열어 보거나,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설치하는 종래의 통념을 벗어나 단지 검색 페이지의 링크나 이미지를 클릭하기만 해도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거나, 시스템이 하이재킹 당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
왼쪽 눈의 영상과 오른쪽 눈의 영상과의 차이. 양안시차 때문에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고, 이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 TV방식이 3DTV이다.
웹 하드(Web hard)
인터넷으로 대용량의 파일을 저장하고 또 내려받을 수 있는 서비스. 대용량이 제공되며, 일정 요금으로 일정 용량을 일정 기간 이용하는 정량제 방식이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각종 불법 자료 거래의 온상으로 이용되는 문제점도 있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Organic thin-film transistor)
채널 층으로서 무기질(실리콘)층 대신 유기 반도체층을 사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전체 구조는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트랜지스터와 큰 차이가 없다. 게이트에 전압을 가하게 되면 절연막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반도체에 전기장(전계)이 걸리므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역할을 하게 된다. 소자의 동작원리는 게이트에 가해진 전압에 따라 절연체 부분이 전하가 없는 층(depletion layer), 또는 전하가 모인 층(accumulation layer)이 되어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어된다. 이 전류량의 비를 점멸비라 하며,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용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TFT 모니터는 밝고 컬러가 선명하며, 감응 속도가 빠르다. 또한 화면기판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가 있어 구부릴 수 있는 화면도 가능하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TV(OLED TV, Organic Light-Emitting Diode Television)
LCD의 백라이트유닛(BLU)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TV. LCD TV는 삼원색인 RGB 필터의 열림 각도를 제어해 관원 조명의 투과량으로 컬러를 표현하는 방식인 반면 OLED TV는 RGB 3색 픽셀이 자체 발광으로 색을 표현한다. LCD TV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잔상현상이 없으며, 광원이 불필요 하여 소비전력과 발열이 거의 없고, 색 표현력과 시야각이 우수하다. 능동형(AM)과 수동형(PM)이 있다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DEC, IBM, 캐나다 노텔, NEC 등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주변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규격이 다른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을 비롯한 주변 기기 등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한다. PC 본체에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접속기를 하나만 갖추고 있으면, 주변 기기 등을 성형 접속(star connection) 또는 방사형 형태로 최고 127대까지 연결할 수 있다. USB를 사용하면 ㉠주변 기기 등을 PC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동일한 접속기로 접속하기 때문에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형 PC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퍼브(ePub, electronic Publication)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IDPF)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서적을 위한 공통 국제 파일 포맷. 책과 출판물을 위한 XML 포맷의 확장자이며 ePub는 세 개의 공개 표준인 OPS(Open Publication Structure), OPF(Open Packaging Format), OCF(Open Container Format)로 구성되어 있다. 산재된 e북 리더 솔루션을 통합하기 위해 제정된 공개 표준이다. 산재된 e북 리더 솔루션을 통합하기 위해 제정된 공개 표준이다.
인포데믹스(Infodemics)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s)의 합성어로 정보 확산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 추측이나 루머가 결합된 부정확한 정보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를 통해 전염병과 같이 빠르게 전파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 침해는 물론 경제, 정치, 안보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 구성(Self-configuration)
자동 구성 네트워크(SON)의 핵심 기술로 기지국 구성 자동 설정 기술. 기지국 추가 설치 시 기지국 내부의 구성에 따른 설치 패러미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기지국 초기 자동 설치와 운용 전 단계에서 인접 기지국 식별 및 관계 설정/등록, 코어망(core network)과의 연결 설정 등을 진행한다.
자율 최적화(Self-optimization)
자동 구성 네트워크(SON)의 핵심 기술로 기지국 운용 자동 최적화 기술. 인접 기지국 간 신호 및 트래픽 유형 정보를 활용하여 기지국 신호세기를 제어하고 핸드오버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적합성 평가(CA, Conformity Assessment)
제품, 서비스, 공정, 시스템 등이 기관의 표준, 제품규격, 기술규정 등에서 규정된 요건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 각 국에서는 WTO 무역장벽 협정에 따라 적합성 평가결과의 통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의 부합과 함께 적합성 평가시스템을 도입하여 상호인정 활동을 추진하여 왔으며, 규정된 요구사항의 충족을 통해 시장의 신뢰와 산업계에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와 산업계를 중심으로 적합성평가의 적용 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자동차. 일반 자동차는 석유계의 원료를 내연기관에서 연소시켜 그 에너지로 주행하는데 비해, 전기자동차는 전력으로 전기모터를 회전시켜 달린다.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고유가 문제와 공해문제가 대두되면서 차세대 자동차로 부상하고 있다.
전환형 디지털 비디오(SDV, Switched Digital Video)
시청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만 송출하는 기술. SDV는 시청자가 많이 보는 채널만 송출하고 여분의 대역폭에는 고화질 주문형비디오(VoD) 등 부가서비스나 광고에 활용할 수 있다. 시청자의 채널선택 정보를 기록해 생활스타일에 맞춘 마케팅도 벌일 수 있다.
지구온난화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온실가스별로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 수치. 이산화탄소 1kg과 비교할 때 특정기체 1kg이 지구 온난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는 지수로 이산화탄소 1을 기준으로 메탄 21, 이산화질소 310, 수소불화탄소 140∼11700, 과불화탄소 6500∼9200, 육불화황 23900 등이다.
지능형 지불 카드(Smart Payment Card)
범용가입자인증모듈(USIM) 하나로 여러 신용카드 기능을 통합해 수행하는 멀티 신용카드. 여러장의 신용카드가 USIM에 내장되어 휴대폰으로 지불할 때마다 사용할 카드를 선택하여 지불하며 멤버십, 쿠폰 등과 연계한 통합결제가 가능하다.
첨두 신호 대 잡음비(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
첨두전력과 잡음전력의 비율. 10log(첨두전력/잡음전력)으로 표시하고 단위는 dB를 사용한다. 양자화, 부호화 등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또는 원래 신호에 잡음이 얼마나 섞여 있는가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탄소 마일리지제도
가정이나 기업, 학교 등이 전기·가스·수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경우 절약한 만큼의 에너지를 포인트로 적립해주는 제도. 1포인트 당 500원이 적립된다. 적립된 포인트는 세금납부, 복지·문화 및 체육시설과 대중교통 이용, 기부금 기탁을 할 때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프리뷰(Freeview)
영국의 무료 지상파 디지털TV 서비스. BBC 주도하고 ITV, Channel 4, Sky, 송출회사인 Arqiva가 참여하여 생겨난 서비스로 디지털 TV를 시청할 수 있는 지역에서 셋톱박스를 구입하면 50개의 TV 채널과 24개의 라디오 채널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채널 방송사업자인 Multiplex 개념을 도입하여 각 8㎒인 Mux 1, 2, A, B, C, D 등 6개의 멀티플렉스를 사업자에게 할당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회절파(diffracted wave)
전파가 진행 중에 장애물을 만났을 때 옆으로 돌아서 진행하는 전자기파. 송신점에서 나온 전파는 굴절작용에 의해 실제 거리는 기하학적 거리보다 약간 길다. 회절효과는 파장이 길수록 뚜렷한데 회절파가 미치는 범위를 회절영역이라고 한다.
2009년 1차 신기술동향
DNS 캐시 포이즌 공격(DNS Cache Poisoning Attack)
DNS 프로토콜 자체의 취약성으로 캐시 DNS에 저장된 쿼리 정보를 위, 변조하는 것. DNS에서 DNS Transaction ID(16bits)와 소스 포트 넘버를 부여할 때 예상하기 쉬운 랜덤 값을 생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는 행위, 공격자가 지정한 주소로 DNS Cache 변경이 가능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에 악용된다.
RFID 음성안내 시스템(RFID Voice Information System)
RFID를 활용한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시스템. 점자보도블록에 RFID를 삽입하고 지팡이에 설치한 전자나침반과 휴대형 RF리더로 위치정보를 확인해 다양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UN 기후변화협약 (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지구의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약.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방출을 제한하여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자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세계 192개국이 체결한 국제협약으로 리우환경협약이라고도 한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선진 38개국(우리나라 제외)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 감축해야 한다는 이른바 `교토 의정서'를 체결했다. 2007년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13차 당사국총회에서는 2012년 이후 선진국은 물론 개도국까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해야 한다는 `발리 로드맵'이 채택됐고, 2009년말까지 2012년 이후의 이른바 `포스트 교토체제'를 위한 세계 각국간 협정을 완료키로 했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도국까지 2013년부터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참여해야 한다.
DRM(Digital Radio Mondiale)
30㎒ 이하 대역에서 사용중인 중단파방송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 또는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 FM모노수준의 음질과 다양한 데이터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기존 사용중인 주파수대를 그대로 활용하여 디지털로 전환할 수 있다. 압축방식으로는 음악을 포함할 경우 MPEG-4 AAC+(Advance Audio Coding Plus)를, 음성위주의 낮은 비트율은 MPEG-4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와 MPEG-4 HVXC(Harmonic Vector Excitation Coding)를 사용하고, 전송방식은 OFDM, 변조방식은 QAM을 사용하지만 채널상태에 따라 16QAM과 64QAM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대역폭은 지역마다, 사용주파수대에 따라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4.5㎑, 9㎑, 18㎑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용 비트레이트는 4.8kbps ~ 72kbps로 가변적이다.
H.265()
ITU-T VCEG에서 추진중인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 H.264대비 50% 이상의 압축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는 KTA(Key Technology Area)라는 사전작업이 진행중에 있으며 2010년까지 표준화를 완료할 예정이다.
LED TV(Light Emitting Diode Television)
LCD TV의 백라이트유닛(BLU)으로 LED를 사용하는 TV. 소재가 친환경적이며 소비전력이 적고, 화질이 우수하다. 백라이트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과 에지형으로 구분된다. 직하형은 LED를 LCD 후면에 배치해 정면으로 빛을 보내는 방식이고, 에지형은 TV 화면 장축에 LED를 선상으로 배열해 중앙부로 빛을 보내 도광판을 통해 반사시켜 정면으로 빛을 보내는 것이다. 직하형은 고화질과 낮은 소비전력을, 에지형은 디자인과 얇은 두께를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WBAN의 의료분야에서 임플란트 장치간 통신 서비스 명칭. 인체내 통신으로 감쇄가 적은 주파수 사용이 필요하여 402~405㎒를 사용하고, 대역폭은 300㎑로 적어 가용 비트레이트도 적다. 그리고 타통신에 혼신을 피하기 위하여 출력은 EIRP기준 25㎼이하로 정하고 있다.
UHDTV(Ultra HDTV)
가정에서 70㎜ 영화보다 좋은 화질과 음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 규격. 차세대 HDTV 규격으로 일본에서는 슈퍼하이비전(SHV)이라 부른다. 화질은 기존의 HDTV보다 16배 높은 화소수(7680×4320)와 10내지 12비트로 색을 표현하고, 컬러 포맷도 4:2:2 이상으로 큰 화면에서 더욱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청거리가 짧아져 100도 이상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어 극장과 같은 임장감을 느낄 수 있다. 오디오도 22.2채널을 사용하여 수평, 수직에서의 서라운드 효과로 실제 현장과 같은 음향을 느낄 수 있다.
감성 유저인터페이스(감성 UI, Emotional User Interface)
사용자의 시각·청각·촉각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정보가전기기와 교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 편의성과 높은 인식성, 접근성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모바일 등 정보가전이 기능 위주의 정보전달 중심에서 보고 느끼고 즐기는 감성 중심의 멀티미디어 기기로 진화해간다.
개인식별정보(PII,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해당 정보에 의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검출 및 회피(DAA, Detect And Avoid)
UWB(Ultra Wide-Band) 장치가 UWB 채널을 사용하기 전에 해당채널에 1차 사용자(Primary User)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1차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간섭을 회피하는 기법.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은 1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다른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 1차 사용자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nulling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UWB의 사용 주파수는 3.1~10.6㎓이기때문에 1차 사용자는 3.4 GHz를 사용하는 WiMAX, IMT-Advanced 등이 예상되고 있다.
고성능 영상 코딩(HVC, High Performance Video Coding)
ISO/IEC JTC1 MPEG에서 AVC(Advanced Video Coding) 이후의 표준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 HD 이상의 해상도를 주 대상으로 하는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으로 고성능의 압축 효율은 물론 이동성을 보장한다. 화질은 QVGA에서 8K×4K를 지원하고, 컬러 스페이스(color space)도 YUV가 4:4:4, 픽셀당 비트수가 14bit, 프레임 레이트는 172fps까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송을 고려한 SVC와 이동망에서의 에러 강인성을 제공한다.
광 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
하나의 유닛(Unit)으로 광 송신과 수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
그린에너지 기술지수(GETI, Green Energy Technology Index)
그린에너지 부문에서 국가 및 기업의 경쟁력 측정과 기술 동향 파악을 위해 개발한 새로운 기술 평가 지표. 정부가 발표한 그린에너지 15대 유망 분야 가운데 산업적으로 유의미하고 기술 특허의 비중이 높은 5개 분야(태양광·연료전지·2차전지·발광다이오드·청정연료)를 선별해 경쟁력을 수량화했다. 미국 시장의 등록 특허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객관적인 국가 및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비교가 가능하다. 기존 특허 평가지수는 양적인 부문에 치우치는 단점이 있으나 GETI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특허의 질적인 측면까지 평가해 높은 수준의 객관성을 보장한다.
나노 라디오(Nano Radio)
나노미터(nanometer) 크기의 무선 송신기 또는 수신기.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사용해 만든 라디오로 인체 내에서 기기 간의 통신도 가능하다.
나노 발전기(Nano Generator)
사용자 발전(UCP)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발전기. 얇고 잘 휘어지는 폴리머 기판에 산화아연 소재의 나노 와이어를 붙인 구조로 나노 발전기를 부착한 생물체가 움직일 때마다 와이어가 이리저리 구부러지면서 전류가 흐른다. 입는 컴퓨터, 휴대기기, 특히, 산화아연 소재를 사용하는 나노 발전기는 몸속에 들어가서 활동하는 초소형 디바이스에 활용된다.
데이터 유출 방지(DLP, Data Leakage/Loss Prevention)
내부정보 유출 방지 솔루션. 사내 직원이 사용하는 PC와 네트워크상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행위를 탐지·통제해 외부로의 유출을 사전에 막는다.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물체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하는 레이더. 펄스형과 연속파(CW)형이 있으며, 펄스형은 하나의 안테나로 송수신을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나 미사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적 WEP 키(Dynamic WEP Key, Dynamic Wired Equivalent Privacy Key)
무선 단말기와 AP 간의 WEP키를 주기적으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무선랜의 보안성을 향상시킨 방식. 정적 WEP 키 방식은 공유된 해킹툴로도 간단하게 해킹이 가능해져,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적 WEP 키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동적 주파수 선택(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5GHz 대역을 사용하는 IEEE802.11a 장치가 동일 대역을 사용하는 primary user(RADAR 또는 위성) 신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primary user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비어있는 주파수를 선택하는 기법. 802.11a 장치와 primary user와 공존하기 위해서는 802.11a 장치가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기 전은 물론 사용하는 중간에도 주기적으로 primary user의 신호 출현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주파수로의 전환이나 TPC(Transmit Power Control) 등 상호 공존성을 위한 기술을 구비하여야 한다.
듀얼심 휴대전화(Dual SIM Portable Phone)
휴대폰 한대로 두개의 전화번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하나의 휴대폰에 2개의 가입자인증모듈(SIM) 카드를 넣어 단말기 하나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화와 문자메시지는 물론 무선통신 등의 동시 수신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멤리스터(Memristor)
메모리(memory)와 레지스터(resistor)의 합성어로 이전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 멤리스터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전류의 방향과 양 등 기존의 경험을 모두 기억하는 특별한 소자로 레지스터(resistor), 커패시터 (capacitor), 인덕터 (inductor)에 이어 4번째 전자회로 구성요소라 불리고 있다. 전원공급이 끊어졌을 때도 직전에 통과한 전류의 방향과 양을 기억하기 때문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기존의 상태가 그대로 복원된다. 컴퓨터를 예로 들면, 문서작업을 하다 전원을 끈 뒤 다시 켜면 작업했던 상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몇 분이 소요되는 부팅 시간이 몇 초로 줄어들 수 있다.
모바일 2.0(Mobile 2.0)
유선의 웹 2.0처럼 모바일 기기의 진화로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로 즐길수 있는 환경. 이미 노키아, 구글, 애플 등 모바일 관련 업체들은 제3자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운용체계(OS)를 개방, 누구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유통할 수 있게 했다.
모바일뱅킹 서비스(Mobile Banking Service)
휴대폰으로 은행업무를 수행하는 서비스. 칩 없이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는 VM(Virtual Machine)방식과 전용칩을 사용하는 USIM 기반 방식이 있다. VM방식은 무선 인터넷망으로 이동통신사를 1차로 접속한후 거래은행과 2차 접속을 통하여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방식이며, USIM 기반 모바일뱅킹은 칩에 담긴 가입자 정보를 활용해 모바일뱅킹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칩을 발급받기 위해 은행에 갈 필요도 없고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하나의 칩으로 모든 은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현금카드처럼 출금, 계좌이체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바이오인식 시스템(Biometric System)
지문, 얼굴, 눈동자 등 사람 관련 바이오정보로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 센서와 프리프로세싱으로 구성되어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입력신호를 변환하여 고유의 특징으로 변환하는 특징추출부, 특징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특징과 저장된 특징을 비교하는 비교부로 구성된다.
복잡 이벤트 처리(CEP, Complex Event Processing)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금융, 통신, 전력, 물류, 국방 등에서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며, 미들웨어에 접목시키면 기업이 독자적인 실시간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블로그 스팸(Blog Spam)
블로그를 악용하는 스팸. 블로그 댓글에 악의적인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와 유인 문구를 게시해 사용자가 악성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스마트 토큰(Smart Token)
보안 기능과 IC카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USB 메모리 모양의 토큰. 은행카드 기능을 내장한 IC칩, 보안모듈, CPU, 메모리, 공인인증서를 탑재해 기본적인 보안기능에 인터넷뱅킹, 전자통장, IC 카드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
시공간 송신 다이버시티(STTD,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WCDMA 시스템에 적용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 송신 안테나 두 개, 수신안테나 한개를 사용하며 송신심벌들을 일정 블록 단위로 순서를 뒤집어서 양쪽으로 송신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와 시간 다이버시티 이점을 동시에 얻는다. 크기가 작은 휴대폰에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반면 크기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기지국에서는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STTD 기술이 개발되었다.
실감 음향 기술(Actual Feeling Sound Technology)
입체영상과 접목되어 음원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예측함으로써 현장감 및 몰입감을 높여주는 기술.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스테레오 시스템 기술, 가상의 음장을 재현하는 스테레오 기술, 3차원 영상 기술을 보완하여 현장감을 살리는 음향 기술, 음원이 생성되는 공간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재현하기 위한 HRTF 처리 기술 등이 있다.
악성코드 은닉 사이트 자동탐지(MC-Finder, Malicious Code-Finder)
보안이 취약한 홈페이지가 해킹되어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경유사이트로 악용되는 것을 사전에 탐지 및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악성코드 은닉 사이트 자동탐지 프로그램. MC-Finder 프로그램은 웹서버가 해킹 당한 후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정보가 삽입되어 웹 서비스 이용자 PC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웹서버 해킹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웹 방화벽 등을 설치/운영하거나 XSS(Cross Site Scripting), SQL Injection 등 취약점에 대한 정기적 점검이 필요하다.
압전 세라믹 기술(Piezo Ceramic Technology)
물리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가 발생하는 모듈을 세라믹 소자로 구성하는 기술.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이나 백화점, 통행 차량이 많은 교량 등에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활용할 경우,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하루 최대 90만명이 왕래하는 시부야역 바닥에 압전세라믹 기술을 적용하여 30인치 LCD TV를 4시간가량 시청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엑사바이트(EB, Exabyte)
디지털 신호의 처리 속도 또는 용량을 표시하는 단위. 1EB는 2의 60승 바이트이며, 1,024의 6승 바이트이다.
엑스플로잇(Exploits)
시스템 취약점 공격. 취약점을 이용하여 IT 시스템의 보안을 위협하는 방법으로, 서비스 거부 공격, 원격 명령어 실행, 버퍼 오버플로 공격 등이 있다. 해커들은 시스템의 취약점 발표와 함께 그것을 증명할 수 있는 익스플로잇 코드를 만든다.
엠페그 응용포맷(MPEG-A, MPEG-Application)
MPEG에서 수행해온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표준(ISO/IEC 23000). 기준 표준들과 달리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부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정의하고 개발하기 보다는 이미 개발된 현존하는 여러 기술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MAF(Multimedia Application Format)라는 새로운 응용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Music Player MAF의 경우 MPEG-1,4,7,21 기술들을, Photo PLayer MAF는 JPEG과 MPEG-4,7 기술의 일부로 이용하여 새로운 표준을 정하고 있다.
와이브리(Wibree)
노키아가 발표한 단거리 무선통신기술로 초저전력(ULP:Ultra Low Power) 블루투스(Bluetooth)라고도 부른다. 2.4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며, 10m 정도까지의 거리에서 1M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며 소형기기간 간단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요타바이트(YB, YottaByte)
디지털 신호의 처리 속도 또는 용량을 표시하는 단위. 1YB는 2의 80승 바이트이며, 1024의 8승 바이트이다.
웹 기반 공격(Web-Based Attack)
웹사이트를 매개로 악성 소프트웨어를 유포해 시도하는 공격 방법. 대부분 공격자가 합법적인 웹사이트에 침입해 악의적 목적의 소프트웨어인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악성코드가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의 컴퓨터를 공격하여 사용자 컴퓨터를 악의적인 활동에 이용한다. 이런 웹 기반 공격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 모든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사용 중인 보안 제품 역시 항상 업데이트해야 한다.
위성 생태학(Satellite Ecology)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자원이용이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 IT와 ET가 융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해상도와 3차원으로 고도화된 위성 영상자료를 생태분석체계와 연계시키는 학문이다.
융합 보안(Convergence Security)
물리적 보안과 정보보안을 융합한 보안 개념. 각종 내외부 정보침해 대응은 물론, 물리적 보안 장비 및 각종 재난·재해상황에 대한 관제까지를 포함한 보안 개념이다.
인체 통신기술(Human Body Communication Technology)
사람의 몸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술. 몸에 흐르는 약간의 전류를 이용해 사람 몸을 케이블 대신 사용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두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가 서로 악수를 함으로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전자 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자동차의 엔진, 변속기,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등의 기계장치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장치.
전자증권(Electronic Securities)
실물 주권·채권과 달리 증권예탁원이 관리하는 전산시스템 내의 데이터로만 보관·관리하는 증권. 자본시장의 증권을 실물증권으로 발행하지 않고 증권상의 권리를 전자등록부에 기재함으로써 증권에 대한 권리가 인정되고 권리행사가 가능하다. 증권 실물의 발행이 없으므로 실물발행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증권 발행기간 및 상장 소요기간 단축을 통해 투자자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어 투자의 효율성도 높아지며, 증권의 도난 및 분실위험과 위조 변조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주권과 채권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거래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전자파환경기술(Electromagnetic Environment Technology)
정보통신기기 및 전자기기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 일상생활에서 전자파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다른 기기에 대한 장애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정보보호 알림이
침해사고 관련 보안공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침해사고 대응지원센터가 이동통신사에 사이버 위협 정보와 대응 방안 등 보안공지 내용을 제공하고, 이동통신사는 정보보호알림이 서비스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이 보안공지를 SMS로 발송하게 된다.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며 이용을 원하는 사람은 이통사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수 있다.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
IT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한다. ACC(Adaptive Cruise Control), 장애물 감지, 충돌 감지 및 경감 장치 등과 같은 안전에 관련된 핵심 기술의 개발로 운전자, 탑승자 및 보행자까지 안전을 극대화하는 기술적 강점을 갖고 있다.
지식정보보안산업
정보보호 산업의 차세대 버전. 지식정보보안은 기존의 정보보호 산업을 새롭게 정의한 것으로서 네트워크∙시스템 기반의 정보보안, 안전∙안심 생활을 위한 물리보안, 보안기술과 전통산업간 융합으로 창출되는 융합보안으로 세분화했다.
차량간 멀티홉 통신기술(Inter Vehicle Multi-hop Communications Technology)
차량 주행시 안전상태를 무선으로 전송해 차량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 차량의 돌발 상황을 감지해 주변 차량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 차량운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차량 그룹간 통신 및 군집 운행을 지원한다. ITS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200km의 고속 주행환경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패킷 송수신 전달시 지연시간이 0.1초 이내로 통신 인프라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무선망을 구성할 수 있다.
크로스 라이선싱(Cross Licensing)
둘 이상의 기업이 서로의 지적 재산권을 사용할 것을 허용하는 제도. 특허 분쟁을 해소하는 방법 또는 원천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기업들이 시장 선점이나 독점을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키로거 공격(Key Logger Attack)
컴퓨터 사용자의 키보드 움직임을 탐지해 ID나 패스워드, 계좌번호, 카드번호 등과 같은 개인의 중요한 정보들을 몰래 빼가는 해킹 공격. 이 공격 도구는 공격대상이 되는 컴퓨터에 몰래 설치되어 공격대상 컴퓨터에 입력되는 중요한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프로그램 보호 정보(PPI, 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
지상파 DTV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를 위한 정보. 송출 정보에 방송 프로그램의 저작권을 포함하여 송출하는 저작권 보호 기법으로 PSI의 PMT(Program Map Table)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동시에 PPI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프로그램 연동정보(PAD, Program Associated Data)
방송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청자가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 스포츠 등을 시청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연관된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확장형 인증 프로토콜-인증과 키 합의(확장형 인증 프로토콜-AKA,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3세대 이동통신의 인증 및 키 일치 프로토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휴대단말이 아닌 UICC(Universal IC Card)에 안전하게 저장, 관리, 처리함으로써 가입자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원래, 3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AKA 방식을 IEEE 802.1x 표준인 EAP 인증 프로토콜에 적용하여 3세대 이동통신과 무선랜을 끊김없이 연동하기 위하여 제안된 인증 프로토콜로서 가입자만을 인증하는 단일 인증과 가입자와 인증서버를 서로 인증할 수 있는 상호 인증이 가능하다.
환경성과지수(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세계경제포럼(WEF)이 각국의 환경과 관련된 경제, 사회 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수. 환경보건, 대기질, 수자원, 자연자원, 생물다양성, 에너지의 6개 분야 16개 변수로 구성되며 분야별 배점은 환경보건이 50%이고 나머지는 각 10%이다. 2001년부터 세계경제포럼이 미국 예일대학 및 컬럼비아 대학 환경연구소와 공동으로 지수를 1~3년 간격으로 발표하고 있다.
2008년 2차 신기술동향
3차원 집적회로(3D IC, Three Dimension Integrated Circuit)
2차원 구조의 반도체를 3차원 구조로 전환하여 제작한 집적회로. 기존의 2차원 구조의 반도체는 30나노급 공정에 근접하면서 기술 발전의 한계에 봉착했다. 신호선의 간격이 좁아져서 생기는 리소그라피를 포함한 제조기술 문제, 전기적 절연 문제, 신호지연 시간 증가 문제, 그리고 신호간섭 등의 문제가 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산업이 갖고 있는 기술과 생산성의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기술이 바로 3D IC기술이다. 또한 3D IC는 1개의 반도체에 프로세서, 메모리, 아날로그, 고주파, 센서, 전력 반도체를 집적화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다.
7.1 채널 음향(7.1 Channel Sound)
7개의 방향성 스피커와 1개의 서브우퍼로 구성된 서라운드 음향 청취 방식. 5개의 방향성 스피커와 1개의 서브우퍼로 구성된 기존의 5.1채널에 양쪽 사이드에 2개의 스피커를 추가하여 입체감을 배가시킨 방식이다.
AV용 디지털 인터페이스(DIVA, Digital Interface for Video and Audio)
가전 제품 간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만든 비디오 오디오용 인터페이스. 안정적인 고속 양방향 데이터 채널과 비압축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이 통합돼 있어 사용자가 집안 디지털 TV에 다양한 가전기기를 연결해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EPC 클래스(EPC Class, Electronic Product Code Class)
EPCglobal에서 정의하는 RFID 태그 종류. class 1은 태그 제조업체에서 고유한 인식번호가 제작단계에서 부여되어 물체에 부착된 뒤에 리더로 읽기만을 제공하는 읽기 전용 수동형 태그이고, class 2는 읽기/쓰기가 가능하고 암호화를 적용할 수 있는 보다 발전된 형태의 수동형 태그며, class 3은 배터리를 내장하여 리더로부터 오는 전력을 태그정보 전송에만 활용하도록 하여 인식거리를 증가시킨 반 능동형 태그이다. class 4는 태그끼리 통신이 가능하며, 애드 혹 네트워크 구성이 진화된 형태의 태그이다.
r-러닝(Robot Learning)
통신로봇이 인터넷과 접속하고 모니터에 교사가 나와 교육을 하는 로봇 기반 원격 수업. 통신로봇은 자유롭게 강의실 내부를 돌아다니고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면서 수업을 진행한다. r-러닝의 최대 장점은 강사와 학생이 직접 마주하는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효과를 온라인 교육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다. 교육기관은 비싼 인건비를 부담하며 원어민 강사를 국내에 초빙할 필요성이 줄어 훨씬 경제적이다. 통신환경이 개선되면서 로봇기반의 교육모델이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실용화되고 있다.
TV 화이트 스페이스(TV white space)
TV방송용으로 분배․할당된 TV 주파수 대역중 미사용 주파수 대역. 부족한 주파수 자원의 이용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화이트 스페이스 이용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미 미국에서는 FCC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IT업계의 주장대로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을 라이센스 프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화이트 스페이스 이용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U램(URAM, Unified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와 D램의 장점을 결합해 만든 차세대 퓨전 메모리. 전원이 끊겨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플래시메모리와 작동속도가 빠르고 읽기와 쓰기가 자유로운 D램의 기능을 하나의 메모리 트랜지스터에 구현하여 디지털TV와 휴대형 정보기기의 다기능·고성능화에 활용할 수 있다.
VoIP 보안 위협(VoIP Security Threat)
음성패킷을 불법으로 수집 및 조합해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도청(sniffing)하는 위협. 서비스 관련 시스템 자원 고갈 및 비정상 패킷의 다량 발송을 통한 회선 마비 등의 서비스거부(DoS) 공격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등록정보를 조작하거나 추가해 비인가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오용공격, 호 설정 과정이나 사용자 등록 과정에 개입해 사용자의 세션 제어권한 등을 획득하는 세션 가로채기, 인터넷 회선을 공유해 녹음기 등을 통해 발송하는 VoIP스팸이 있다.
APSK(Amplitude and Phase Shift Keying)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디지털 변조방식. 진폭을 변화시키는 ASK와 위상을 변화시키는 PSK를 결합한 형태로 QAM과 유사한 변조 방식이다. 다만, APSK 계열의 디지털 변조 방식은 전송 심볼들이 성상도 상에서 원형으로 분포해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QAM 계열의 변조 방식과 비교하여 평균 전력 대비 최대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비선형 채널 환경에서 전송 시 성능 열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APSK 변조 방식은 최근 DVB-S2(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Version 2)를 포함하는 위성 방송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채택되고 있다.
DVB-SH(Digital Video Broadcasting - Satellite services to Handhelds)
유럽의 디지털 방송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인 DVB에서 위성 DMB용으로 2007년 2월에 제정한 표준. 유럽의 모바일 방송인 DVB-H가 새로운 주파수 확보는 물론 고가의 구축비용 등으로 확산이 지연되면서 상대적으로 저가의 망구축이 가능한 위성을 이용한 방송을 위하여 제정된 표준이며 우리나라의 위성 DMB와 유사하다.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version 2)
DVB그룹에서 DVB-T의 성능을 개선하여 제정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 DVB-T와 호환을 유지하며 전송효율을 증가 시킨 방식이다. 압축방식이 MPEG-4 AVC, 변조방식도 기존의 변조방식에 256QAM을 추가하고, 전송모드도 1K, 4K, 16K, 32K를 추가했으며, FEC도 효율이 좋은 LDPC를 채택하는 등 성능을 개선했다.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3GPP에서 추진중인 LTE의 차세대 표준. ITU-R의 4세대 기술인 IMT-Advanced 표준에 가장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최대 대역폭을 100 ㎒까지 지원하고 향상된 MIMO 기술 등을 적용해 상향 500Mbps 하향 1Gbps의 전송용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u-Port(ubiquitous Port)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물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하는 지능형 항만으로 정보관리, 화물관리, 선박관리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RFID와 US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나 컨테이너 등에 관련 정보를 담은 태그를 부착하고 판독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화물의 이동과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고속 OFDM 패킷 접속(HSOPA, High Speed OFDM Packet Access)
3GPP의 LTE에 포함되는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기술. 3GPP의 Releases 7(R7)인 HSPA+를 대처하는 기술로 OFDM을 새로운 전송방식으로 채택해 HSOPA라 칭하고 Releases 8(R8)로 표준화를 진행중이다. LTE에서 요구하는 하향 100Mbps, 상향 50Mbps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공간정보산업(Space Information Industry)
공간정보를 생산, 관리, 가공, 유통, 활용 또는 다른 정보, 기술과 융합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지리정보시스템(GIS), 전자지도, 글로벌위치추적(GPS), 위치기반 서비스(LBS), u-City 등이 공간정보산업 범주에 포함된다
공인인증서(Certificate)
전자서명법에 의한 공인인증 기관이 발행한 인증서. 인터넷 뱅킹, 전자민원(G4C), 전자입찰, 인터넷 주택청약 등에서 신원확인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각종 홈페이지의 로그인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라핀(Graphene)
원자 하나의 두께를 갖는 탄소원자만으로 구성된 평면구조로 플러렌(C60), 탄소나노튜브, 흑연을 만드는 기본 소재. 물리적으로 투명하며, 전기적으로 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라핀 내의 전자들이 정지 질량이 없는 상대론적 입자처럼 행동하고, 특이한 양자홀 효과도 보인다. 그라핀에 분자나 금속을 첨가하면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
나노바이오센서(Nano-Biosensor)
IT, NT 기술과 BT기술을 융합한 U-헬스케어의 핵심 기반 기술. 바이오센서와 모바일 기기,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당뇨와 간 수치를 진단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것은 이미 1세대 또는 2세대 U-헬스케어에 속하는 기술이라면 나노바이오센서 기술은 대부분의 건강정보가 담겨있는 혈액을 채취해 실시간으로 심근경색 등의 질환을 검사하고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3세대 U-헬스케어 기술이다.
나노 컴퓨터(Nano Computer)
원자나 분자 크기의 나노기술을 접목하거나 응용해 만든 컴퓨터. 세포 정도 크기의 나노 컴퓨터를 환자의 몸속으로 투입해 인슐린 수치나 약물의 농도 등을 감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약을 몸속의 필요한 부위까지 직접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넷북(Netbook)
휴대형 미니 노트북. 인터넷, 문서 작업, 이메일 등 컴퓨터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성을 갖도록 제작된 것으로 9~10인치의 작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CPU도 저전력 제품을 사용하며 1~1.5Kg 내외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성능이 일반 노트북보다 떨어져 3차원 게임이나 동영상 편집에는 무리가 있지만, 저전력 CPU도 듀얼코어가 개발되고 있어 성능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단파방송(Short Wave Boadcasting)
단파(3~30MHz)를 이용한 라디오 방송. 송신소에서 전파가 발사되면 공간파가 되어 지구의 상층에 있는 전리층(지상 150km - 300km)에서 반사되고, 다시 지구표면에서 반사되고, 이러한 반사를 계속하면서 원거리까지 도달한다. 단파는 이같이 전리층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달할 수 있어 국제방송 등에 이용되고 있다.
데스크톱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
서버를 데이터센터에 두고 필요시 로그인해서 사용할 수 있는 PC. 동일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같은 컴퓨터를 들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아무 컴퓨터나 사용해서 웹을 통해 연속적인 데스크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컴퓨터가 추가될 때마다 같은 사용자 환경을 위해 새로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고 데이터를 옮길 필요가 없으며 보안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 데이터가 백업되어 있으므로 하드디스크가 파손돼도 데스크톱 및 데이터는 안전하다. 일반 PC와 달리 가상화된 데스크톱은 중앙관리자가 사용권한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어서 CD롬에 담거나 USB 메모리에 담아 나가지 못하게 완벽히 통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직원들은 PC에 회사의 중요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게 되고 가상 데스크톱에 있는 자료들도 외부로 유출하지 못하게 된다.
듀플렉스(Duplex)
송신과 수신의 어느 방향으로도 통신할 수 있고 또 양쪽에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방식.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단말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되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디렉터리 시스템(DS, Directory System)
①일반적으로 어떤 대상의 이름과 그것에 관계되는 정보를 모아 놓은 표를 관리하는 시스템. 통신의 전화번호부(telephone directory) 관리 시스템이 좋은 예다.②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등록부(Directory)를 관리하는 시스템.③공개키 기반구조에서 사용되는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인증서, CRL, 사용자 정보 등을 분산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배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 교과서(Digital Textbook)
우리나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기존 서책용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참고서, 문제집, 학습사전 등 학습자료를 갖추고 있는 휴대용 단말을 교과서로 이용하는 것.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과 능력 수준에 맞춰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점이 특징인데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는 자료가 고정돼 있어 변환이 어려운 반면, 디지털 교과서는 새로운 사실과 지식을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교육자료나 DB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우편소인(DPM, Digital PostMark)
만국우편연합(UPU)에서 표준화한 온라인 자료에 대한 전자적인 우편배달 서비스. 최근에는 EPCM(Electronic Postal Certification Mark)이라고 부른다. 소인이란 우표에 특정표식의 도장을 찍어서 재사용을 방지하고 우편이 효력을 가진 일자와 시간을 표시한 것을 말하며, DPM은 그 내용을 전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디피헬만 알고리듬(Diffie-Hellman Algorithm)
두 사용자가 사전에 어떠한 비밀 교환 없이도 공중 통신망 환경에서 공통키를 교환하게 하여주는 알고리듬. 가장 오래된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으로 이산 구조의 복잡함을 활용한 방식이다. 이 알고리듬은 중간자 공격에 취약하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thium Ion Polymer Battery)
리튬 이온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한 전지. 리튬 이온 전지의 금속 캔 대신 내부 압력에 잘 찢어지는 특수필름 재질을 사용하고, 리튬이온이 담겨있는 전해질이 젤 형태여서 외부로 잘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폭발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모바일 메모리(Mobile Memory)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반도체. 고용량, 고집적뿐 아니라 소모 전력이 적으며 저전력 SD램, 저전력DDR SD램, PS램, 셀룰러램 등이 있다.
버티컬 핸드오버(Vertical Handover/Handoff)
이기종 망간 핸드오버. 핸드오버는 통화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도 통화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 주로 동일한 망내에서 적용되는 방식이나 버티컬 핸드오버는 이기종 망간에도 통화기능이 유지되게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2G망과 3G망간 핸드오버나 와이브로 망과 WLAN 망간 핸드오버 등이 있다.
보안 정책 기술 언어(Security Policy Description Language)
일반적으로 보안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XML 기반 언어. 예를 들면, 홈네트워크 내에서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 그 접근 범위가 결정되며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보안정책을 XML 형태로 xDHL을 제공하여 각 홈디바이스의 접근제어를 용이하게 제공한다.
비메모리 반도체(Non-Memory Semiconductor)
연산, 논리작업 등과 같은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반도체로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구별된다. 인텔의 펜티엄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대표적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사이버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조직∙사용자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 수단, 보안 정책, 개념, 보안 안전장치, 가이드라인, 위기관리방법, 보안 행동, 교육∙훈련, 모범사례, 보안 보증, 그리고 보안 기술 들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사이버보안은 사이버 환경에서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조직과 사용자의 자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 보안 목표는 가용성, 메시지 인증∙부인방지를 포함한 무결성, 그리고 기밀성으로 달성된다.
사이버 위험(Cyber Risk)
네트워크와 정보기술로 인해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사이버 테러와 사이버 전쟁 같은 군사적 행위부터 사이버 범죄와 개인정보 침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전 국토가 네트워크화 되면서 어느 한 곳에 대한 공격이 국가를 총체적 위기로 몰아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사전 제작(Pre-production)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을 촬영에 필요한 모든 준비작업. 일반적으로 기획, 시나리오나 대본 마련, 캐스팅, 촬영 콘티 등의 작업을 말한다.
상호 인증(Cross-Certification)
인증서 발급기관 상호간에 인증하는 것. 여러개의 인증 기관(CA)이 존재하는 경우 적용된다. 상호 인증을 적용할 때 다른 인증 기관이 발행한 인증서를 상호 인증서(cross certificate)라 한다.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간주되는 상황적 요소로는 위치, 장소, 소음레벨, 임무, 사적인 상황, 시간 등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Installation Type Blog)
개인이 자기 서버에 설치하고 운영하는 개인용 블로그. 자신의 고유한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고, 글이나 그림 등 컨텐츠가 개인에게 귀속되며, 디자인이나 구조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와 대응되는 것으로는 다음이나 네이버 같은 서비스형/가입형 블로그가 있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IT를 전력공급 시스템에 접목해 효율성을 제고한 시스템으로 전력 IT라고도 부른다. 전력선을 기반으로 모든 통신, 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한 시스템으로 통합한 것이다. 고유가 환경문제 등으로 에너지 절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New Regeneration Energy)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한 에너지나 햇빛·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풍력, 수력, 연료전지,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지열에너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다.
신클라이언트 PC(Thin Client PC)
하드디스크나 주변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PC로써 서버기반컴퓨팅이라고도 함.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때마다 서버에 접속하여 소프트웨어를 내려 받으면 되며 기억장치 없이 서버 측에서 데이터를 일원관리하게 되어진다. 기억장치를 따로 두지 않기 때문에 PC를 분실하더라도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없다. 원래는 유지ㆍ보수 등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고안됐지만 정보유출 방지를 위해 이용되면서 재택 근무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서버기반 컴퓨팅이 어떤 단말기(Any Device)로도 컴퓨팅을 수행하는 반면 Thin Client Computing은 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하여 컴퓨팅을 하는 것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실감 방송(Realistic Broadcasting)
다차원 실감미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 3DTV와 UDTV이후의 방송 서비스로 인간의 오감을 통해서 생생한 현장감을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오토 프로그램(Auto Program)
① 시스템에 장애 발생시 또는 업데이트가 필요시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②정당한 권한 없이 게임 내 캐릭터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에너지 소모 없이 사냥 등의 행위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게임 자동 사냥 프로그램. 이는 게임 본래의 시스템을 와해시키고, 다른 정상적인 이용자의 흥미를 떨어뜨리며 게임 서버에 과부하를 일으키는 등 게임 운영사업에 치명적인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Online Game)
개인 PC에서 원격지에 있는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에서 하는 게임. 초기 온라인 게임은 단순한 롤플레잉게임(RPG) 방식에서 시작했지만 소규모 사용자들이 동시에 하는 MPOG(Multi Player Online Game), 대규모 사용자 참여방식의 MMORPG(Massive Multiple Online Role Playing Game)을 거쳐 지금은 게임 안에서 새로운 커뮤니티 및 길드를 형성하고 가상세계를 공유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와이브로 에볼류션(WiBro Evolution)
차세대 와이브로 기술로, 기존 와이브로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기술, 스마트 안테나, 에러 정정 기술인 LDPC 등을 접목한 기술. 이동도(Mobility)가 120㎞/h이상으로 향상되었고, 전송 속도를 최대 하향 149Mbps, 상향 43Mbps까지 구현 가능하다. 서비스 이용 시 MP3 음악 파일 1곡(4MB)을 0.2초만에, CD 1장(700MB)짜리 영화 1편을 37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다.
자동 구성 네트워크(SON, Self Organizing Network)
상황에 적응하는 통신망을 구축하는 네트워크. SON은 self-configuration, self-service, self-knowledge, self-awareness 및 자체 유지보수능력의 특성을 갖는다. 최근 Long Term Evolution (LTE)나 모바일 와이맥스(IEEE 802.16m)에서도 이 기술을 표준에 반영하고 있다.
저작권 보호기술(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밸류 체인에서 콘텐츠를 안전하게 유통하고 보호하는 정보보호 기술의 일종. 디지털 워터마킹(Watermarking), 디지털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콘텐츠 인식, 암호기반 DRM 등이 있다.
지능형 운송관리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물류 프로세스, 차량, 적재화물에 대한 가시성 확보를 통해 차량 통합 관리 및 운송 계획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촉감 방송(Haptics Broadcasting)
방송신호에 촉감방송 제어 신호를 함께 전송하여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TV를 시청할 때 폭탄터지는 장면에서는 휴대폰이 진동하고 댄스장면에서는 조명에 맞추어 휴대폰 LED가 깜박거리는 기술이다.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Component Video Signals)
한개의 휘도 신호(Y)와 두개의 색차 신호 (Cr, Cb)로 구성된 영상 신호.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가 분리되어 전송되므로 Composite Video 신호에 비해 휘도신호와 색차신호 상호 간섭에 의한 화질 열화가 적어 고화질의 영상 전송이 가능하다.
콘텐츠 동등 접근(Content Equal Access)
방송 플랫폼 종류와 관계없이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권리. 콘텐츠의 경쟁력 확보와 이용자의 선택권 보장을 위해 유료 방송 시장이 가장 발달된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콘텐츠 보안(Content Security )
음악, 동영상 등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통 방지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수단. 콘텐츠 보안방법으로는 디지털 워터마킹, 암호화 기법 등이 있다.
콘텐츠 인식 기술(Content Recognition Technology)
멀티미디어의 고유한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의의 콘텐츠를 인식하는 기술.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 인식 기술은 각각의 동영상에서 프레임 단위 별로 특정 인식정보를 추출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고속 검색 질의를 통해 저작권 동영상 여부를 판별한다.
탄소 캐시백(Carbon Cash Back)
에너지효율이 높은 전자제품을 구입하면 탄소 포인트가 지급되어 대중교통이나 수도, 전기요금 결제 등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PET, Privacy Enhancing Technology)
개인정보 위험관리 기술. 최근 심각한 위험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인정보 침해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암호화, 익명화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에서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기술까지 다양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을 통칭한다.
환경마크제도
국내에서 환경오염을 적게 유발시키는 상품에 대해 부착해 주는 마크. 무공해 또는 저공해 상품에 대하여 공인기관에서 인정한 환경마크를 부착하게 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이들 상품을 선택적으로 구매토록 유도, 기업의 청정기술 개발을 촉진토록 유도하는 제도로 1992년 6월부터 시행됐다.
2008년 1차 신기술동향
3G 주파수(Third Generation Frequency)
3세대 이동 통신 용도로 허가된 주파수. 1992년 2GHz 대역(1885 ~ 2025㎒, 2110 ~ 2200㎒)이 제3세대 이동통신(IMT-2000)용으로 국제분배 되었으며, 2000년에는 기존의 이동통신대역인 806 ~ 960㎒, 1710 ~ 1885㎒, 2500 ~ 2690㎒를 추가 분배하였다. 현재 미국에서는 800㎒와 1900㎒(CDMA, GSM)대역, 유럽은 900㎒, 1800㎒(GSM), 2100㎒(WCDMA)대역, 일본은 800㎒, 1500㎒, 1700㎒(CDMA, PDC), 2㎓대역(WCDMA)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일부 주파수대역은 제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향후 제3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3세대 이동통신(3G,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기존의 음성 및 패킷 전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이통통신 규격. 1980년대는 1세대로 아날로그 음성을, 90년대 등장한 디지털 PCS폰은 음성과 저속의 데이터를, 2000년대 실용화된 영상폰은 음성은 물론 고속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인터넷과 동영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TU에서는 당초 3세대의 명칭을 IMT-2000으로 하고 고정 2Mbps, 휴대 384Kbps, 이동 144Kbps를 제공토록 요구조건을 정하고 기술개발을 추진해 국제 단일 표준을 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 진영의 기술이 양분되어 있고 이해가 상충되어 현재는 6개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대표적인 표준은 동기식인 북미의 CDMA2000, 비동기식인 유럽의 WCDMA, 중국의 TD-SCDMA, 그리고 우리나라 Wibro 등이 있다.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지연되면서 현재는 3.5세대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이동시 전송용량이 최대 14.4Mbp에 달하는 HSDPA도 3G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되고 있다.
3차원 인터넷(3D 인터넷, Three-Dimension Internet)
인터넷을 통해 실물에 가까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술. 차세대 웹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궁극적인 목표는 현실화(reality)이다. 세컨드라이프와 같은 현실과 유사한 가상세계를 만들고 나아가 질병을 진단하고, 새 에너지를 개발하며, 신뢰 높은 건축 도면을 설계하는 등 일상 생활의 모든 분야까지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4G 주파수(4 Generation Frequency)
4세대 이동 통신용 주파수로 세계전파통신회의(WRC-07)에서 선정한 주파수. 총 4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450 ~ 470㎒(20㎒) 대역, 470 ~ 806/862㎒ 대역 , 2.3 ~ 2.4㎓(100㎒) 대역 및 3.4 ~ 3.6㎒(200㎒) 대역이 있다. 이 대역 중 470 ~ 806/862㎒ 대역을 제1지역(유럽·아프리카)에서는 790 ~ 862㎒대역, 제2지역(북·남미)은 698 ~ 806㎒대역, 제3지역(아시아·오세아니아)은 698 ~ 806㎒ 대역으로 정해졌다. 특히, 2.3 ~ 2.4㎓대역 주파수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와이브로(Wibro) 주파수대역으로, 와이브로 이동통신기술의 국제표준과 함께 세계 공통의 주파수대역으로 설정되었다.
Service over IP(SoIP)
IP를 기반으로 음성, 멀티미디어방송, 유무선통신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개념. IP를 기반으로 음성을 제공하는 인터넷전화(VoIP)를 확대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T-레이(T-Ray)
테라헤르츠(Terahertz)대의 전파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모습을 보여 주는 기술. X-레이(X-Ray)처럼 모든 물질을 통과하지만, 무엇보다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지 않아 안전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인체에 해를 덜 미칠 뿐 아니라 사물의 성분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의료분야는 물론 반도체, 생물학 등 응용영역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u-러닝(u-Learning, Ubiquitous Learning)
유비쿼터스와 교육을 결합한 용어로,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을 말한다. 기존의 e-러닝이 단순히 인터넷 상에서 동영상 강의를 보는 수준이라면 u-러닝은 이러한 개념을 뛰어 넘어서 시간과 장소, 단말에 관계없이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콘텐츠가 전달되며 학습 성취도를 파악하여 미진한 부분을 보충하고 최상의 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교육시스템이다.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웨어러블(wearable) 또는 몸에 심는(implant)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영역 네트워킹 기술. 무선 센서나 기기로 부터 수집한 정보를 휴대폰 또는 간이형 기지국(base station)을 통하여 병원이나 기타의 필요한 곳에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uHealth 등의 서비스를 받는데 응용할 수 있다. 현재 IEEE 802.15.6에 working group 이 구성되어 서비스 모델과 요구사항 등을 정의하고 있고, 이를 완성한 후에 이에 대한 표준을 진행할 예정이다.
고속 패킷 접속(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와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를 결합한 용어. 3GPP 진영에서는 W-CDMA의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 하향링크를 14.4Mbps까지 향상시킨 HSDPA를 우선 개발한 뒤, 상향링크도 5.76Mbps까지 향상시킨 HSUPA를 표준화하고 HSPA라는 용어로 대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종이문서의 생산ㆍ보관ㆍ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절감 등을 위해 전자문서를 보관ㆍ관리할 수 있는 제3의 신뢰기관. 전자거래기본법에 의해 지정되어 전자문서를 안전하게 보관ㆍ관리하며, 등록된 모든 문서는 법률적으로 종이문서와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전자화된 업무 프로세스 도입에 따른 비용절감 외에도 문서의 위ㆍ변조, 분실 및 화재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ODD, Optical Disk Drive)
광학적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저장재생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곳의 빛의 투과율, 반사율, 위상, 편광 등을 변화시켜 정보를 넣고 이 변화를 빛으로 읽어내 정보를 얻는다. 1982년 소니와 필립스에 의해 오디오 전용 CD가 개발된 이후 2세대인 멀티미디어용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거쳐 HDTV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3세대인 Blue-ray와 HD-DVD까지 기술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 중이다. ODD는 멀티미디어 저장장치로 진화하면서 그 응용 범위가 컴퓨터를 비롯한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린 IT(Green Information Technology)
IT 전분야에서 유해물질 사용을 자제하고 에너지 절감을 통해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친환경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필요한 분야로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및 사업발굴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동일 성능을 유지하면서 구동 집적회로(IC) 수를 줄이는 경우나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하드웨어의 효율을 높이는 가상화 기술을 활용하거나, 데이터센터 수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의 소프트웨어(SaaS)를 확산시켜 나가는 일도 대표적인 그린 IT 사례이다.
그린 기술(GT, Green Technology)
환경 친화적인 기술. 지구 온난화와 에너지 자원 고갈 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EU 등 선진국에서 시작된 친환경 열풍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통신시장에도 많은 기업들이 GT를 마케팅 전략으로 내세우며 친환경 저전력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린 IT가 대표적인 GT기술이다.
기가파이(Giga Fi)
60GHz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가급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 전 세계적으로 비허가 대역으로 지정된 57GHz~64GHz 범위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넓은 대역폭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3Gbps)을 얻을 수 있다. 또 전파거리가 짧고, 직진성이 강해 주변 간섭에 매우 강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주파수 재사용도 용이하다. 홈네트워크나 실내 무선랜 지원에 가장 적합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다시점 비디오 코딩(MVC, Multi-view Video Coding)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물을 기하학적으로 교정하고 공간적으로 합성하여 여러방향의 시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3차원 영상처리 기술. MPEG에서 3차원 오디오 비주얼(3DAV)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
신호를 전달하는 전파가 통로상의 여러 가지 장해물에 의해 두 개 이상의 경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도달하는 경우, 그 합성 신호가 시공간적으로 강도가 변하는 현상. 전자파가 진행하는 경로에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을 경우 반사가 일어나고 반사파는 반사되는 경로에 따라 진폭과 위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채널환경에서 수신기는 직접파와 반사파 또는 반사파만으로 구성된 복합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수신장해를 받는다. 다중경로 페이딩 방지책으로는 OFDM이나 다이버시티, 이퀄라이저 기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데이지(DAISY,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시각장애인이나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제 디지털 문서 포맷. 디지털시대에 정보접근에 장애를 갖고 있는 노인이나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되어 점자도서관에서 토킹 북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장점은 목차를 구분해 변환함으로써 문서의 원하는 부분을 마음대로 찾아서 읽을 수 있다. 1996년 정식으로 영국 왕립시각장애인협회 등 6개 시각장애인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국제 데이지 컨소시엄을 결성했다. 현재는 한국점자도서관을 비롯한 14개 국가 점자도서관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23개 IT기업이 참여해 데이지 관련 기술표준 제정, 저작도구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보급하고 있다.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컴퓨터, 인터넷, 휴대폰 등의 디지털 기술을 어려서부터 사용하면서 성장한 세대. 컴퓨터나 인터넷 등을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로 생각하지 않고 그냥 손에 익은 장치 정도로 여기면서 쉽게 활용한다.
디지털 접근 지수(DAI, Digital Access Index)
정보통신기술(ICT)의 접근성과 서비스 이용에 관한 전 세계적 비교 지수. 각국의 정보통신 통신망 및 기기의 보급, 그리고 서비스 이용에 관한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결정되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2003년에 처음 발표하였다.
디지털 증거(Digital Evidence)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증거로서 가치를 가지는 정보. 물리적 증거와는 달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전자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이미지, 영상, 음향 등과 통신망을 통해 교환되는 네트워크 패킷 등이 있다.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
휴대 전화 등의 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기억력과 계산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상태. 디지털 기기의 의존도가 높은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간단한 계산도 계산기를 사용하고, 중요한 기념일이나 회의 일정도 PDA 등 정보기기에 의존한다.
로봇 센서(Robot Sensor)
로봇이 행동할 수 있도록 인지 기능의 각종 센서. 위치추적용 관성 센서, 위치파악용 액티브 비컨 시스템, 인식 및 주행을 위한 비전 센서, 거리 측정을 위한 초음파 센서,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촉각 센서 등이 있다.
메모리 반도체(Memory Semiconductor)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는 저전력으로 쉽게 전기를 통하고 차단할 수 있는 동작이 가능하므로 회로를 구성하는데 유용하여 메모리로 사용된다. 이에 반해 비메모리 반도체는 연산, 논리 작업 등과 같은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로는 DRAM, SRAM, Flash Memory 등이 있다.
메모리 카드(Memory Card)
PMP, PDA,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 주로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장치. 음성,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해 개인 휴대용 디지털 기기 및 PC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서 전원을 꺼도 기억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작고 가볍고 성능도 뛰어나다. 종류는 미국 샌디스크가 개발한 콤팩트플래시(CF), 마쓰시타와 샌디스크, 도시바가 공동 개발한 시큐어디지털(SD), 소니의 메모리스틱(Memory Stick), 올림푸스와 후지필름이 공동 개발한 XD-픽쳐(XD-Picture) 등이 있다.
모바일 IPTV(Mobile IPTV)
이동하면서도 볼 수 있는 IPTV. 기존 IPTV 개념에 이동성 기능을 추가한 개념으로, 이동전화나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이용해 이동 환경에서도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는 양방향 서비스를 하나의 IP 무선기술을 통해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 된다.
바이오매스(Biomass)
나무나 곡물 등 각종 식물, 음식물 찌꺼기, 축산분뇨 등 에너지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 물질. 나무처럼 가공하지 않은 형태로 에너지를 얻을 수도 있고 가공하여 메탄올, 에탄올, 바이오연료를 얻어 자동차나 발전용, 난방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고, 환경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을 유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바이오 인증(Biometric Authentication/verification)
사람의 고유한 바이오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할 때, 그 사람의 ID를 주고 ID에 해당하는 저장된 특징과 입력된 특징을 비교(1:1 비교)하는 기술.
발광다이오드 조명(LED조명,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전기로 빛을 발하는 LED소자를 이용한 조명 방법. LED의 발광원리를 이용하여 색의 기본요소인 적색, 녹색, 청색에 백색까지 다양한 색의 빛을 만들 수 있으며, 백색 개발로 일반 조명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조명기구 보다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수명도 길며, 형광등처럼 수은 등 유해물질이 전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보안 USB(Security Universal Serial Bus)
정보유출방지 등의 보안 기능을 갖춘 USB메모리. 모든 보안 USB는 필수적으로 사용자 식별·인증, 지정데이터 암·복호화, 저장된 자료의 임의복제 방지, 분실 시 데이터 보호를 위한 삭제 등의 4가지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안 USB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USB메모리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에 대한 암ㆍ복호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패치(Security Patch)
운영체계나 응용프로그램에 내재된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 소프트웨어. 보안패치를 할 경우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감염을 방지하고, 각종 PC 오류의 원인을 제거해 준다.
사이버 스토킹(Cyber Stalking)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악의적인 의도로 지속적으로 공포감이나 불안감 등을 유발하는 행위. 사이버 스토킹이 성립하려면 악의적인 행위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고 상대방의 의사와 관계없이 의도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통상적인 판단력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자신 또는 가족의 생명이나 신체의 안전에 위협을 느낄만한 내용이 있어야 한다.
선불 휴대폰(Prepay Mobile Phone)
미리 원하는 금액 만큼의 요금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선불 휴대폰은 개인의 명의없이 개통이 가능한 휴대폰으로 일시 체류 중인 외국인이나 신용불량자라도 쉽게 가입할 수 있다. 그러나 불법 명의 휴대폰(일명 대포폰)으로 용도가 바뀌어 범죄에 악용되는 등 부작용이 있어 가입 조건을 강화하는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시스템 반도체(System Semiconductor)
다양한 기능을 집약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만든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경박단소(輕薄短小)하여 모바일 기기, 디지털가전, 자동차, 첨단의료 기기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이 가능한 반도체이다.
오디오 북(Audio Book)
전문 성우나 저자가 직접 책을 낭독해, 눈으로 읽는 대신 귀로 들을 수 있게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 휴대용 단말기인 MP3 플레이어 외에도 휴대폰, CD나 PMP, 노트북, DMB 등을 이용해 들을 수 있다.
재설정 비디오 코딩(RVC, Reconfigurable Video Coding)
MPEG에서 제정한 다중 비디오 부호화 표준. 하나의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만든 표준이다. 현존하는 MPEG 부호화 표준에서 도출된 부호화 툴(tool)이나 향후 새롭게 개발되는 툴을 포함하는 툴박스를 가지고 단말이 요구하는 프레임워크에 따라 부호화할 수 있다.
저작권라이선스 통합관리시스템(CLMS, Copyright License Management System)
정부가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시스템. 정부와 저작권 관련단체는 저작권의 이용계약 체결과 사용 내역 등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저작권라이선스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왔으며, 적용분야도 음악과 어문 분야에 이어 영화 등 각종 영상과 외국음악, 나아가 방송콘텐츠까지 구축을 확대해 가고 있다.
적외선 센서(IR Sensor, Infrared Ray Sensor)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 세기 등의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검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스스로 적외선을 발사하여 빛이 차단됨으로써 변화를 검지하는 능동식과 자체로 발광기를 가지지 않고 외부로부터 받는 적외선의 변화만을 읽어내는 수동식이 있다. 기존의 온도센서나 자외선 센서보다 감도나 정확도가 높아 방범이나 화재감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용 서모그래피, 동식물의 생태관찰 등으로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ID지갑(Electronic IDentity Purse)
일상생활에서 신용카드, 신분증 등을 넣어 사용하고 있는 '지갑'처럼 각종 전자인증에 필요한 개인정보와 인증정보(ID/PW, 인증서 등)를 언제 어디서나 저장,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상의 디지털 지갑으로 웹사이트 이용시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간단하게 선택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아이덴티티 관리시스템의 일종이다.
전자금융 보안등급
인터넷뱅킹과 텔레뱅킹의 이체한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금융감독원에서 설정한 금융소비자의 보안등급. 전자금융거래 이용수단의 보안등급을 3등급으로 구분하고 보안등급별로 이용한도를 차등화한다. 보안등급은 OTP 발생기+공인인증서, 보안토큰(HSM)방식 공인인증서+보안카드, 보안카드+공인인증서+2채널 인증의 세 가지 보안수단이 1등급으로, 2등급은 보안카드+공인인증서+휴대폰 거래명세통보(SMS), 3등급은 보안카드+공인인증서로 각각 구분된다.
전자 스포츠(e-스포츠, Electronic Sports)
실제 세계와 유사하게 구현된 가상의 전자 환경에서 정신적, 신체적인 능력을 활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여가활동을 통틀어 이르는 용어. 대회 또는 리그의 현장으로의 참여를 비롯해 전파를 통해 전달되는 중계의 관전을 포함하며, 이와 관계되는 커뮤니티 활동 등의 사이버 문화 전반 또한 e-스포츠 활동에 속한다.
전자파 장애 검정(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ertification)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불요전자파가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 전자파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정보통신기기는 원활한 기기 사용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통신에도 전파혼신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파법과 전기통신기본법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정보통신기기는 전자파 인증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정보위험사회(Information Risk Society)
정보기술에 의해 등장한 다양한 역기능들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사회.
정부 개인식별번호(G-PIN, Goverment-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민등록번호 대체 수단. 주민번호 오·남용, 도용 등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근절을 위해 공공기관 웹사이트 회원가입이나 게시판 이용 시 G-PIN을 전 공공기관에서 사용해야 한다. 민간부분에서 사용중인 인터넷 개인식별번호(i-PIN)과 G-PIN을 연계하여 개인이 하나의 PIN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한적 본인확인제
인터넷 상에서 익명성의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 번의 본인 확인 후 사용자명을 실명이 아닌 별명이나 ID만 표시하도록 하는 제도. 일종의 인터넷 실명제로 허위사실이나 불법정보 유포 및 과도한 욕설이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 등 인터넷 질서를 어지럽히는 게시글이나 댓글을 일정부분이라도 방지해 보자는 취지에서 마련한 것이다. 정부는 일일 방문자수 30만명 이상의 포털과 일일 방문자수 20만명 이상의 인터넷 언론 등에 제한적 본인확인제를 도입토록 하고 있다.
지능형 가로등
방송통신기능을 추가한 가로등.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조명 기능에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안내방송, CCTV기능, 무선 인터넷 중계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한, 가로등에 달린 대형 디스플레이로는 스포츠, 주변 관광정보, 지역 홍보 및 광고영상 등을 보는 것도 가능하다.
지식기반 사회(Knowledge-Based Society )
지식과 정보가 가치의 중심이 되는 사회. 컴퓨터 및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지식의 가치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력이 커진 사회를 의미한다.
차량 멀티홉 통신(VMC, Vehicle Multihop Communication)
자동차에 IT기술을 접목해 차량 충돌을 예방하는 기술. 자동차와 노면간 RF(라디오 주파수) 통신을 주고 받아 제한속도를 넘어서면 자동으로 차량 속도가 감속되는 것은 물론, 차량간 통신으로 충돌을 예방하는 기술이다.
초소형 위성(Very Small Size Satellite)
고도 500∼1500㎞의 저궤도를 이용하는 무게 500kg 이하의 위성. 미니위성(100∼500kg), 마이크로위성(10∼100kg), 나노위성(10∼1kg), 피코위성(1kg 이하) 등으로 나뉘며, 짧은 개발기간과 개발비용이 저렴하고, 고성능·저위험 등의 장점이 있어 지구관측과 저궤도 위성 이동통신, 우주과학실험 등 모든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촉각 기술(Haptic Technology)
진동의 장단과 고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진동기호를 만드는 기술. 휴대폰에 적용할 경우 간단한 메시지는 휴대폰에서 느껴지는 진동기호로 충분히 표현가능하며, 이 진동기호는 휴대폰 제조사가 구현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만들 수도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인터넷 연결만 하면 어느 단말기로도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가상 데이터센터에 분산 처리하고, 이 데이터를 PC나 휴대폰 등 다양한 단말기로 접속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 사용자의 데스크톱 환경부터 기업들의 대용량 정보처리와 인터넷 기업의 웹 2.0 서비스까지 PC 없이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개인 PC환경은 ‘호스트된 데스크톱 환경(hosted desktop environment)’이란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의해 데이터 센터의 PC에 인스톨돼 실행된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신(thin) 클라이언트라는 작은 기기에 모니터·키보드·마우스 등만 연결해 사용한다.
2007년 3차 신기술동향
IEEE 802.16m
IEEE 802 위원회에서 개발 예정인 와이브로/모바일 와이맥스의 차세대 표준. 현재 나와있는 모바일 와이맥스 표준보다 한 단계 진일보한 기술 표준을 개발해 ITU-R의 IMT-Advanced 표준에 반영하기 위해 802.16e 표준에 대한 어드밴스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IMT-Advanced는 이동시 100Mbps 고정시 1Gbps의 전송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 컴플라이언스(IT Compliance)
기업운영시 내,외부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법적 규제 사항이나 지침. 기업과 정부의 환경이 IT 환경으로 바뀌면서 최근 부각되는 IT 이슈 중 하나로 전자문서를 통한 회계 작성 준칙이나 원본 문서 보관 의무 등 기업회계와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IT 관련 법, 제도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들을 모두 컴플라이언스라고 통칭한다. 단기적으로는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투자자의 권리 보호, 금융시장의 안정화 등을 이룰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제경쟁력 향상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RFID 리더기(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태그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거나 태그에서 수집된 정보를 백앤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장치. 고정형과 이동형이 있으며 고정형은 움직이는 태그를 판독하고 백엔드 시스템과 유선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형 리더는 고정되어 있는 태그를 판독하며 백엔드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UCC 가이드라인(UCC Guide Line)
정부가 제정한 건전한 UCC생산과 유통 및 이용에 관한 지침서. UCC 이용자들을 위한 실천적 가이드라인으로 UCC 이용자의 자율적인 윤리의식을 촉구하는 ‘10대 행동원칙’과 저작권, 명예훼손 등과 관련한 ‘법률가이드’, UCC제작 및 이용에 있어 점검해야할 사항을 제시한 ‘체크리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USB 다이렉트(USB Direct)
USB 메모리에 담긴 이미지를 프린터의 USB 단자에 직접 연결해 출력하는 기능. 복합기에 채택된 USB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스캔 받은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직접 저장할 수도 있다. USB 다이렉트 기능은 프린터가 독립기기로 출발하는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미지 보정 등 PC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활용하는 데는 취약하다.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 Care)
각종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서비스. 전국 각지 병·의원과 u-헬스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주치의에 의한 맞춤형 개인 건강을 관리할 수 있고, 도서나 산간 오지 지역민들이 화상시스템을 갖춘 보건진료소를 방문해 진료를 받고, 이상 징후 발생시 병원선·이동보건차량이나 대형종합병원의 전문 의료진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의료상담을 받을 수 있다.
CTTH(Coax To The Home)
기존 케이블방송망으로 초고속/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송 방식. 총 1Gbps 용량을 여러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로 일반 가정에 130Mbps의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한다. 트래픽이 집중되는 광동축케이블(HFC) 구간에서도 다중 멀티플렉싱으로 병목현상을 해소해 고품질 IPTV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케이블업계가 활용하는 닥시스(DOCSIS)나 ETTH(Ethernet to the Home) 방식보다 장비 설치비도 저렴하다.
DRM+(Digital Radio Mondiale Plus)
주로 단파와 중파에 적용되었던 유럽의 디지털 라디오방송 방식인 DRM을 초단파까지 확장 적용한 기술. FM방송에서 100㎑ 대역만으로도 아날로그방송과 동시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200㎑인 미국 HD Radio를 채택하기 어려운 국가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
ETTH(Eithernet To The Home)
기존 HFC망에서 사용하던 케이블모뎀 제어시스템(CMTS)을 이더넷 노드 모뎀(ENM) 장비로 대체해 HFC망에서도 광랜 서비스와 같이 100Mbps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FTTH와 같은 100Mbps 속도를 제공하면서 설비투자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주로 빌라나 연립주택 같은 주택 밀집지역에 도입될 예정이다.
HE AAC(MPEG-4 HE(high 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고효율 오디오 부호화 방식. AAC 방식은 높은 압축율에도 불구하고 채널당 32kbps이하로 압축할 경우 음질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AC에 SBR(Spectral Bandwidth Replication) 기술을 적용하여 낮은 비트율에서의 음질을 크게 개선한 방식으로 기존의 AAC와 완벽하게 호환이 가능하다. 낮은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과 높은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 사이에 높은 연관이 존재한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낮은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만을 부호화한 후 이로부터 높은 주파수 영역의 스펨트럼을 유추해 낸다. HE AAC는 SBR과 결합되었다 하여 AAC+ 또는 aacPlus라고도 하며 IPTV, DVB-H, 원세그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가상 광고(Virtual Advertisement)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이용해 TV화면에 광고 그래픽을 합성해 방송하는 광고 방식. 방송법에서 정의한 가상광고는 ‘텔레비전 방송에 있어 전자적 영상합성기술을 이용하여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방송광고 이미지를 창출해 기존의 방송신호를 대체하는 광고’라고 정의하고 있다. 가상 광고의 허용 범위와 시간, 횟수와 방법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다.
고급 공통 응용 플랫폼(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케이블과 지상파의 데이터방송 콘텐츠가 호환되도록 한 북미 지상파 DTV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표준. 북미 지상파 데이터 방송 표준인 DASE(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를 토대로 유럽의 DTV 표준화 기구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가 제시한 GEM(Globally Executable MHP)과 케이블TV의 데이터방송 규격인 OCAP(Opencable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일부 기능을 추가하여 2003년 10월 미국의 DTV 표준 관련 기구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 의해 DTV의 새로운 표준으로 발표된 것으로 지상파와 케이블TV, 위성방송의 데이터 방송 표준이 하나로 통합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룹웨어(groupware)
여러 사람이 함께 쓸 수 있는 소프트웨어. 집단으로서의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라는 의미에서 그룹웨어라고 한다. 그룹웨어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등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PC)나 워크스테이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기존의 PC용 소프트웨어가 개인별 이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온 데 비해, 전자 우편 등 컴퓨터 통신망의 기능을 활용하여 집단 구성원 간의 정보를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집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룹웨어는 1988년에 ‘그룹웨어’라는 Robert Johansen의 저서가 출판되면서부터 널리 보급되었다. 미국에서는 이에 앞서 컴퓨터 지원 공동 작업(CSCW)이라는 이름의 컴퓨터 지원에 의한 공동 작업용 소프트웨어가 보급되어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와 다양한 그룹웨어 제품이 개발되어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집단 구성원이 작성하는 문서를 통합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어떤 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소프트웨어, 정해진 순서에 따라 문서를 회람하여 그에 대한 의견을 첨부하거나 결재 또는 부결 처리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 흐름 관리(workflow)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녹색가전(Green Home Appliances)
사용자의 건강 및 환경을 고려한 가전 제품.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등장한 가전 제품들이다.
메모리 해킹(Memory Hacking)
메모리에 상주한 데이터를 위변조하는 해킹. 기존의 해킹 방법은 외부에서 계좌 비밀번호를 빼내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반면, 메모리 해킹 방법은 백도어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컴퓨터 메모리에 있는 비밀번호를 빼내는 것 뿐 아니라 데이터를 조작하여 받는 계좌와 금액까지 변경할 수 있는 해킹 방법이다.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코어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것.
미래형 융합기술(NBIT, Nano Bio Information Technology)
생명공학기술(BT), 정보통신기술(IT), 나노기술(NT)을 결합한 미래형 융합기술. 생체인식기술, 각종 바이오칩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의료분야와 함께 식품가공분야나 군사 분야까지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복제방지 기술(Copy Prevention Technology)
기기간 전송 또는 기록장치로 저장시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를 위한 기술. 기기들간 콘텐츠 복사나 이동 시의 콘텐츠 보호는 가능하지만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권한제어가 불가능하다.
비디오 저널리즘(Video Journalism)
취재ㆍ촬영ㆍ편집 등 일체의 과정을 한명의 저널리스트가 도맡아 하는 비디오 콘텐츠 제작 형태.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초 뉴스 전문채널 NY1이 처음으로 비디오 저널리스트만을 고용하면서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비디오 제작 장비 기술의 발전으로 장비 소형화와 가격 하락이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제작형태가 확산될 전망이다. 솔로 저널리즘이라고도 한다.
센서(Sensor)
온도, 압력, 습도 등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검지, 검출하거나 판별, 계측하는 기능을 갖는 소자. 사람의 오감 역할을 하며, 감지한 정보를 정보처리부에 전달, 판단을 내리게 한다. 즉 센서는 인간의 오감에 해당되고 정보처리부는 뇌에 해당된다. 센싱 대상은 빛, 온도, 가스, 압력, 자기, 진동, 가속도 등 다양하다. 센서의 출력은 대부분 전기신호가 많다. 이는 증폭, 축적, 원격 조작 등이 쉽고, 컴퓨터로 처리가 쉽기 때문이다.
스콤(SCORM,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
미국 e러닝미국 e러닝 표준 연구 개발기관인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에서 제정한 사실 표준. ADL의 높은 요구수준(accessibility,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durability, adaptability, affordability)을 충족하기 위한 참조모델로서 교육, 훈련, 수행도 향상 등에 있어 훨씬 우수하고, 저 비용적이며,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지 않는 모델에 대한 규격 및 가이드라인이다. 또한 이러닝 코스웨어 객체와 같은 코스과정, 데이터모델 및 프로토콜의 상호관련성을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모델이다. 이는 교육 콘텐츠를 기능별 모듈로 나눠 개발함으로써 재사용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표준화시킨 모델이다. 특징은 도구와 플랫폼이 다른 다양한 학습 환경하에서도 상호 호환성이 확보되고, 콘텐츠 재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비용을 들여 디자인을 다시 하거나, 구조변경, 혹은 코딩작업을 다시 하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도록 변동사항과 기술진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있다.
아이패션(i-Fashion)
IT와 Fashion을 결합한 용어로 패션 기술에 IT 기술을 접목시켜 창출되는 새로운 패션산업. 옷을 구매할 때 매장에 직접가지 않고도, 3차원 개인 아바타를 불러내 가상현실 속에서 여러 옷을 입혀보고 색상과 디자인 등을 선택해 주문할 수 있는 생산, 판매 시스템이다. 아이패션의 요소기술로는 3차원 스캔 기술ㆍ가상현실ㆍ무선인식(RFID)ㆍ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ㆍ전자상거래 등이 있다.
에스크로 서비스(Escrow Service)
전자상거래 등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중개서비스 회사가 개입해 상품 인도와 대금지불을 대행해 주는 서비스. 일례로, 거래가 성립하면 구매자는 중개서비스 회사에 대금을 지불하고 중개서비스 회사가 판매자에게 그것을 통지하면 판매자가 상품을 구매자에게 발송하게 된다. 상품이 구매자에게 도착해 구매확정 확인을 받으면 비로소 중개서비스 회사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불하게 된다. 에스크로 서비스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되면서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대부분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이 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오감 정보처리 기술(Five Senses Information Precessing Technology)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인간의 오감 정보를 센싱하고 전달하여 재현하는 기술. 오감 정보처리 기술은 인간의 오감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보고 듣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각을 증강시키기 위해 컴퓨터를 통해 만지고, 맛보고, 향기를 맡는 등 오감 정보를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실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간 중심의 기술이다. 여기에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런 일체감 제공을 위한 오감 정보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술, 휴먼-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 등이 사용된다.
오픈XML(Open eXtensible Markup Language )
개방형 문서형식. 확장성표기언어(XML)를 기반으로 한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MS 오피스 프로그램의 새로운 기본 파일 형식이다. 모든 기능의 문서화가 가능하고, 기존 바이너리 문서와 충실하게 호환되며, 처리와 저장의 효율성이 높은 것 등이 장점이다.
오픈케이블 응용 플랫폼(OCAP, 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모든 종합 유선 방송(CATV)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대화형 TV 서비스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미들 웨어 소프트웨어 계층. OCAP 관련 중간 웨어 개발자와 장비 제조자를 위한 규격으로서 세트톱, TV 제조자 및 판매자가 장비를 직접 설치하고 판매할 수 있으며, 케이블 고객은 그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첫 규격(OCAP 1.0)이 2001년 12월에 발표되었다.
원 세그(one seg)
일본의 디지털 휴대 이동방송 서비스 명칭. 일본의 지상파디지털방송(ISDB-T) 신호는 6㎒ 대역에 13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고, 방송 서비스 품질에 따라 세그먼트의 양을 가변적으로 사용한다. HDTV 방송은 13개 세그먼트를, SDTV는 5개 세그먼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휴대 이동방송 서비스인 원 세그는 1개의 세그먼트를 이용해 2006년 4월부터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원편파(Circular Polarization)
안테나로부터 복사된 전자파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내에서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편파. 크기가 같고 위상이 90도 다른 수평편파와 수직편파를 조합시키면 그 합성 벡터가 원을 그리기 때문에 원편파가 생긴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선회 편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선회 편파라고 한다. 위성방송의 다운링크나 지상파 FM방송에서 원편파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우선 편파와 좌선 편파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의무 재전송(Must Carry)
공공성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을 다른 매체로 동시에 의무 재전송하는 것. 우리나라의 경우, 방송법 제78조(재송신)의 규정에 따라 KBS 1TV와 교육방송 TV를 케이블TV나 위성방송에서 동시에 재송신하고 있다.
전압제어 온도보상 수정발진기(VC-TCXO, Voltage Controlled -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
패키지 내부에 온도 센서와 온도 보상회로가 추가되어 다양한 환경에서도 고도의 주파수 안정도가 보장되는 전압 제어 수정 발진기.W-CDMA 휴대폰이나 DMB 등 급격한 온도 변화나 악천후에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하는 기기에 주로 사용된다.
전자여권(e-Passport)
사진, 지문, 홍채 등 신원확인 정보가 입력된 마이크로 칩이 들어간 여권. 국제범죄 및 테러의 확산이 국가 안보의 중대한 위협 요소로 대두되면서 세계 각국은 여권 위·변조 방지를 통한 보안 강화 및 자국민의 해외여행시 편익 도모 등을 위하여 전자여권을 도입하고 있다. 2006년말 약 30개국에서 발급 중이다.
전자팔찌(Electronic Bracelet)
팔찌형태로 만들어진 사용자 위치 추적장치. 주로 성폭력 범죄자의 위치를 파악해 조치함으로써 재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지만 어린이나 노인 등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도 사용이 가능하다. 신체에 부착된 전자팔찌와 휴대용 추적장치 및 가택감독장치 간 유무선 통신으로 위치을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송신하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정맥 인증(Vein Authentication)
창구 등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대면 적외선으로 정맥을 촬영하여 보관중인 정맥 영상패턴 비교해 본인임을 확인하는 기술. 근적외선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되고 이 때 정맥 영상이 촬영된다. 촬영된 정맥 영상은 인증기술 업체의 알고리듬 방식에 따라 패턴이 추출되고, 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DB)화되어 고객 정보가 저장된다. 그 다음으로 추출된 패턴과 수시 거래 때 촬영된 패턴을 비교해 본인임을 확인한다. 정맥인증은 지문인증만큼 쉽고 그 보다는 정확도가 높아 지문인증을 대체할만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시스템
행정기관이나 금융기관 등에 설치한 식별단말기를 이용 주민등록증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단말기를 통해 주민등록증의 앞·뒷면에 있는 번호·사진·지문 등의 특징과 행자부 전산센터 데이터베이스(DB)의 원본을 실시간으로 조회해 진위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행정기관에서 주로 사용중에 있으며,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도 본인확인 및 업무처리 간소화를 위해 도입하고 있다.
초간편 배급(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웹사이트간의 자료 교환 및 배급을 위한 XML 기반의 규격. 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RSS 주소를 RSS 리더에 등록만 해 두면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료가 교환되어 편지함의 이메일을 열어보듯 쉽게 변경된 내용을 읽을 수 있어 뉴스·날씨·쇼핑 서비스나 블로그 등 자주 업데이트되는 사이트들에서 많이 이용된다. 특히 개인의 기록과 일상 관심사를 표현하는 블로그는 대부분 RSS가 필수 사항으로 내 블로그의 변경 내용이나 타인의 불로그의 변경 내용이 즉시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RDF Site Summary', 'Rich Site Summary' 등으로도 부르며, 업계 표준을 둘러싸고 공개 프로젝트인 아톰 프로젝트와 경쟁 관계에 있다.
패스트 트랙(Fast Track)
ISO/IEC에서 신속하게 표준을 제정하는 절차.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일반적인 절차는 예비→ 제안(NP)→ 준비(WD)→ 위원회 검토(CD/FCD)→ 질의→ 승인(DIS/FDIS)→ 발간 단계 등의 과정을 통해 평균 약 3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반해, Fast Track은 승인 단계부터 투표를 진행하여 75%의 동의만 얻으면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다.
펨토셀(Femtocell)
1000조분의 1(10의 -15 제곱)을 뜻하는 펨토(Femto)와 이동통신에서 1개 기지국이 담당하는 서비스 구역 단위를 뜻하는 셀(Cell)을 합친 이름으로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 DSL모뎀처럼 생긴 초소형 기지국을 가정 내 유선IP망에 연결해 휴대폰으로 유무선통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옥내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이동통신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절감하면서 주파수 부하를 줄이고 통화품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음성통화뿐 아니라 와이파이처럼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다. 2.4㎓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파이는 전자레인지 등 가전과 주파수 간섭 우려가 있는 것과 달리 펨토셀은 사용 대역에 제한이 없어 남는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포스트넷(PostNet)
IT 기반 우편물류통합정보시스템. 우체국 택배와 국제특송(EMS)을 강화하기 위해 우편물에 RFID칩을 달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그 우편물의 위치를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다.
2007년 2차 신기술동향
EV-DO 리비전A(EV-DO rA,, CDMA 2000 EV-DO Revision A)
2세대 기술인 동기식 `CDMA EV-DO`를 개량, W-CDMA,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등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해당하는 빠른 데이터전송과 화상통화 등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 CDMA 2000 EV-DO 리비전A를 지칭하는 것으로, 막대한 신규투자 없이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와 기술을 활용하여 3세대 이동통신이 목표로 하는 동영상 휴대전화에 버금가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EV-DO 리비전C, UMB(EV-DO rC, UMB, CDMA 2000 EV-DO Revision C,Ultra Mobile Broaband)
비동기식 이동전화 표준화기구인 3GPP2에서 표준화한 4세대(4G) 후보기슬. UMB는 MIMO/OFDM 기반기술로 하향은 275Mbps 하향은 75 Mbps를 목표로 하고있다.
IP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텔레비전/비디오/오디오/텍스트/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o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 VoD, T-커머스, 오락, 뱅킹, 정보, TV 포털 및 다채널방송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ADSL, FTTH와 같은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디지털 셋톱박스에 연계된 TV 단말기를 이용하여 패킷방식으로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를 말한다. IPTV는 기존에 PC 기반으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기능이 통합된 서비스 개념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VoD, EPG, T-커머스, 방송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신과 방송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융합서비스이다. IPTV에 대해 현재 명확하게 표준화된 것은 없으나 대부분 국가별, 사업자별로 VoD, 인터넷 TV, IPTV 등을 같은 개념으로 혼용하고 있다.
가변 길이 부호화(VLC, variable length coding)
평균 부호 비트 수를 삭감하기 위해 양자화 대푯값의 발생 빈도에 따라 가변의 비트 길이를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것. 섀넌-파노의 부호, 허프만 부호 등이 알려져 있다.
가상 이동망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
이동 통신망이 없는 사업자가 기존 통신 사업자로부터 망의 일부를 구입해 각종 부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콘텐츠 채널 확보가 용이하지만 단일 사용자 부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콘텐츠를 다양화하여 휴대 전화 디자인, 취향에 따른 벨소리 선택, 스크린 화면 가변 등의 특색 있는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는 사업이다. 휴대폰 가입자 증가율 둔화와 네트워크 용량이 남아도는 제3세대 이동 통신 환경에서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압축되지 않은 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통합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DMI가 풀HD 시대를 맞아 업그레이드된 HDMI 1.3을 제시했다. HDMI 1.3은 대역폭이 기존 5Gbps(165㎒)에서 10(340㎒)Gbps로 확대돼 약 2배 더 많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됐다. 색표현력의 경우도 종래 RGB 기준으로 최대 24비트를 전송할 수 있었던 것이 30∼48비트까지 확장돼 최대 281조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 인간의 가시범위 내의 색을 표현해주는 차세대 색공간 규격으로 기존보다 1.8배 색공간을 넓혀주는 xvYCC를 지원하고 풀HD 규격인 1920×1080을 넘어서는 2560×1600의 해상도나 1440p를 지원하고 현재의 두배인 120 프레임을 구현해 영상재현 능력과 응답속도를 개선해 준다. 이와 함께 DVD-오디오나 SACD 등 같은 오디오 규격은 물론 돌비의 트루HD와 DTS의 DTS HD 등 차세대 HD 오디오 규격까지도 지원한다.
공개 API(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응용 서비스 계층과 통신망의 전달망 계층 사이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융합형 통신 서비스를 위한 공개 API는 유선 전화망, 이동 전화망, 데이터통신망, 방송망 등 각종 통신망의 기능을 추상화시킨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구조 및 기술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된다. 공개 API는 주로 Parlay Group, ETRI, 3GPP 등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통신망의 기능을 추상화하는 정도에 따라 CORBA 기반의 Palay/OSA API와 웹 서비스 기반의 Palay X API로 나뉘어 추진되고 있다.
공통 중간 형식(CIF, Common Intermediate Format)
H.261에서 정한 영상 형식. CIF는 수평 수직 해상도가 352×288, 초당 30프레임이고, QCIF(quater CIF)는 해상도가 176×144로 CIF의 1/4 해상도를 갖는다. NTSC나 PAL방식으로 변환이 쉽다.
구조화 질의 언어(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조작과 관리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하부 언어(sub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속성과 성질, 예를 들면 레코드 설계, 필드(field) 정의, 파일 위치 등을 정의하는 데이터 정의어(DDL)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검색, 삽입, 갱신,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 처리 언어(DML)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대부분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구조화 조회 언어(SQL)가 채택되고 있다. 1970년대 미국 IBM사가 개발하였는데 그 후에 많은 표준화 기관에서 표준화하였다. IBM은 structured querry language의 약자로서 SQL이라고 하였으나,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는 약어가 아닌 SQL이라는 고유 명사를 사용하여 국제 표준화하고 있다. 1987년에 ISO 9075-1987로 국제 표준을 제정하였는데, 1987년에 개정판 ISO 9075-1987을 제정하고 1992년에 다시 기능 확장판인 ISO 9075-1992를 제정하였다. 이것을 SQL 2라고 부른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여러개의 송수신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이득과 시공간 처리의 코딩 이득을 함께 얻을 수 있는 무선 시스템. 수신 여건이 어려운 무선 채널 환경에서 각 송신안테나마다 별개의 정보를 실어 보내면 동일시간, 동일 주파수, 동일 코드 상에서도 신호를 분리할 수 있어 안테나 수에 상응하는 채널 용량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IEEE 802.11n이나 IMT-Advanced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단거리 전용 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구현하기 위한 단거리 전용 통신 시스템. DSRC는 톨게이트나 도로변에 설치하여 자동차에 탑재한 단말 장치와 수내지 수십미터의 거리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량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교환한다. 주로 통행료자동지불시스템(ETC)에 이용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다양한 ITS 서비스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까지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5GHz 대역을 사용하며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수백 kbps 이상인 통신 방식이다.
돌림형 부호(convolutional code)
일정 길이의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통신의 채널 부호화에서 각 블록에서의 부호화가 해당 블록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블록에도 동일한 선형 관계식으로 의존하는 부호. 이에 비해 오류 정정이 해당 블록에만 의존하고 다른 블록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것은 블록 부호라고 한다. 돌림형 부호가 부호화된 계열에서 하나의 정보점의 영향을 미치는 길이를 구속 길이라고 하며, 이는 블록 부호에서의 블록 길이에 해당한다. 돌림형 부호는 ‘비터비디코더’(Viterbi decoder)에 의해 복호화 되며, 일반적으로 블록 부호보다 부호의 오류 검출 및 정정 성능이 좋다. 우리말로는 꾜여져 펼쳐진 나무(tree) 구조의 부호 패턴을 연상하여 길쌈부호라고도 부르고 있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유럽에서 아날로그 FM 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해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명칭으로 유럽 첨단 기술 개발 계획(EUREKA)의 프로젝트로서 개발되어 Eureka-147이라고도 함. 사용주파수와 용도에 따라 네가지의 전송모드를 제시하고 있다. ModeⅠ은 Band Ⅲ(VHF) 주파수를 사용하는 지상파에서, Mode Ⅱ는 L Band를 사용하여 지상파나 위성방송에서, Mode Ⅲ는 3㎓이하 지상파나 위성방송에서, Mode Ⅳ는 L Band를 사용하여 지상파나 위성방송에서 사용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국가가 ModeⅠ을 사용하고 있으며, TV 1개 채널(7/8㎒)을 4개의 멀티플렉스로 나누고, 각 멀티플렉스는 스테레오 음질을 기준으로 6개의 프로그램 이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텍스트 수준의 데이터 방송도 서비스 하고 있다. 압축기술은 MUSICAM(Masking Pattern Adapted Universal Sub-band Integrated Coding And Multiplexing)이라 부르는 MPEG Layer 2를 채용하고, 전송기술은 OFDM을, 변조방식은 QPSK를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가용 비트율은 대략 1.2Mbps이다. 2006년에는 진보된 압축방식인 AAC+와 채널코딩 방식인 Reed-Solomon 코딩 등을 적용한 DAB+ 버전을 발표했다.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디지털 이미지나 오디오 및 비디오 등 디지털 형식으로 되어 있는 지적재산의 저작권보호를 위해 자료에 삽입된 것으로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쉽게 식별되지 않는 비트 패턴. 의도적으로 어느 정도까지는 볼 수 있도록 만든 프린트 워터마크와는 달리, 디지털 워터마크는 워터마크 유무를 식별할 수 없도록 설계되며, 각종 잡음의 유입이나 파일 압축이나 각종 변환시에도 본래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파일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산되고, 많은 리던던시를 갖도록 설계된다.
멀티캐스트(multicast)
구내 정보 통신망(LAN)이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일부 사용자 내에서 한 사람이 몇 사람에게 정보를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몇 사람이 같은 내용을 버킷 릴레이(bucket relay)식으로 복수의 사람에게 송신함으로써 정보를 전파하는 특정 다수인에 대한 전송. 특정의 1인에게 송신하는 유니캐스트(unicast)나 불특정 다수인에게 정보를 송신하는 방송(broadcast)과는 달리 특정의 다수 단말에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멀티캐스트이다. 인터넷상에서는 클래스 D라고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를 실행하는데 이것을 IP 멀티캐스트라고 한다. IP 멀티캐스트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점에서 복수의 상대를 선택한다. IP 멀티캐스트의 특정인 동보성을 이용하여 연주회 등의 생중계를 지원하거나 동화와 음성을 사용하는 회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가상망이 엠본(MBONE)이다.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 core processor)
두개 이상의 코어를 탑재하여 만든 프로세서. 그동안의 프로세서는 클럭 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능을 개선하였으나 속도가 빨라지면 전력소모가 커지고 발열이 많아 더 이상 속도를 늘리기가 어려웠다. 이의 대안으로 제시된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코어를 탑재하기 때문에 개별 코어가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고, 싱글코어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여러 코어에 분산시킨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장점은 CPU가 2개이상 들어간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작업 할 때, 싱글 코어 프로세서에 비해서 빠른 작업을 할 수 있고 동영상의 인코딩, 포토샵 작업, 고사양의 게임과 같은 작업에서 성능이 발휘된다.
메타 데이터(meta data)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 스키마 등을 의미하고, HTML 문서에서는 메타태그 내의 내용이 메타 데이터이다. 방송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저작물을 신속하게 검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제작시 촬영 일시, 장소, 작가, 출연자 등과 음원의 경우 작곡자나 가수명 등을 메타데이터로 처리한다. 메타 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나 주로 검색을 빠르게 하가나 내용을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MPEG에서는 메타 데이터에 대한 표준으로 MPEG-7을 제정했다.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사용자의 인증을 목적으로 휴대전화 사용자의 개인 정보(통신 사업자와 사용자 비밀번호, 로밍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모듈로서 스마트 카드(USIM 카드)로 제작된다. 이 USIM 카드는 휴대가 간단하여 단말기 종류나 통신사업자에 구애 받지 않고 국제 로밍을 포함한 음성 이동 전화와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의 강력한 보안 기능으로 휴대 전화를 분실/교체시 개인 정보의 보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안 등이 요구되는 지불 및 인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유료 서비스의 구매 등 그 활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이 USIM 카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CDMA 서비스 권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나 유럽 등 GSM 서비스 권에서는 USIM 카드와 유사한 SIM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IMT/2000 서비스가 개시되면 우리나라에서도 USIM카드를 활발히 사용할 것으로 보이며 전자 상거래, 신용 카드, 금융 결제 등 일반 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정보를 누구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간주하고 연동과 통합을 전제로 아키텍처를 구축해 나간다. SOA의 대표적인 예인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 기반의 웹서비스에서는 서로 다른 이용자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와 의사소통을 하면서도 통합 관리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1996년 컨설팅 업체 가트너가 처음 소개한 것으로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SOA는 기존 개념에 이벤트기반아키텍터(EDA: Event Driven Architecture)를 더해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각각 상황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개념인 SOA2.0을 도입하고 있다.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서비스의 품질 척도. 측정되는 품질 요소로는 처리 능력, 전송 지연, 정확성 및 신뢰성 등 사용자가 받게될 서비스의 품질과 성능을 기본으로 하며, 사용자와의 이용 계약에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척도로서는 NP(망 성능)와 QoE(체감 품질)가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Scalable Video Coding)
하나의 콘텐츠를 서비스 현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포맷을 변환하는 방식. 예를 들어 HDTV로 제작된 콘텐츠를 BMB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엔코딩이 필요했지만 SVC 엔터더를 사용하면 HDTV는 물론 SDTV나 DMB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기술은 공간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 시간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 기술 등을 적용하고 있다.
엠페그-1 오디오(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Audio, MPEG-1 Audio)
엠페그에서 표준화된 음향 신호의 압축 규격.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가 1992년 말에 채택하였는데, 일반적인 음향 신호의 압축 규격이다. 특히 음성에 적합한 성대 모델을 사용한 부호화 방법(보코더 등)과는 달리 음원의 특성을 상정하지 않고 압축을 행한다. 부호화할 때는 마스킹 효과 또는 임계 대역인 인간의 청각 특성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때 표준화 주파수는 32㎑, 44.1㎑, 48㎑ 등 3개 주파수에 대응한다. -> 보코더, 마스킹
엠페그 21 표준 규격(MPEG 21,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1)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거래, 전달, 관리, 소비하는 과정에 있어서 광범위한 네트워크 및 터미널을 통하는 여러 계층의 멀티미어 자원을 투명하고, 상호 호환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 규격. 디지털 콘텐츠의 전체 생명주기에서, 콘텐츠 제작자, 유통업자 및 최종 사용자가 편리하게 국제적인 호환성을 가지고 콘텐츠를 식별, 관리 및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의 표준화가 목표이며, 디지털 아이템 선언(digital item declaration), 디지털 아이템 식별자 및 메타데이터(digital item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표현(content representation), 디지털 아이템 관리와 사용(digital item management and usage), 저작권 관리 및 보호(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단말과 통신망(terminal and network), 이벤트 보고(event reporting) 등이 기술 요소이다. MPEG 21 프레임워크 상에서는 취급 및 거래에 이용되는 기본적인 콘텐츠 단위를 디지털 아이템(digital item)이라고 하며, 디지털 아이템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등 멀티미디어 자원(multimedia resource)과 내용을 설명하는 기술자(description), 그리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상품번호격인 식별자(identification)로 구성된다.
엠페그-2 오디오(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Audio, MPEG-2 Audio)
엠페그-2 표준 규격 중 음성에 관한 압축 규격. MPEG-2 오디오 LSF, MPEG-2 오디오 BC, MPEG-2 오디오 AAC 등 3개가 규격화되어 있다. MPEG-2 오디오 LSF와 MPEG-2 오디오 BC는 1994년에, MPEG-2 오디오 AAC는 1997년에 제정되었다. 주요 특징으로는 LSF는 낮은 표본화 주파수에 대응, 낮은 AAC는 전송 속도에서의 성능 향상, BC는 멀티 채널에 대응, AAC는 고성능화를 목표로 한다.
엠페그 2 표준 규격(MPEG 2,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디지털 TV 방송, 통신, 저장 매체용 컬러 동화상 및 오디오의 부호화/압축 방식의 국제 표준.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의 합동 조직인 JTC 1 산하의 작업 조직 MPEG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다. MPEG 1이 전송 속도 1.5Mbps 정도로 CD-ROM 등 저장 매체를 적용 대상으로 하는 규격인 데 반해서, MPEG 2는 TV 방송, 통신,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 광범위한 적용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고품질의 규격이다. 영상의 전송 속도는 당초에는 4~10Mbps로 하였으나 고선명 텔레비전(HDTV)의 화질을 감안하여 4~100Mbps로 높여 MPEG 1보다 훨씬 고화질의 규격이 되었다. 1995년에 ISO/ IEC 13818-1(시스템), ISO/IEC 13818-2(비디오), ISO/IEC 13818-3(오디오), ISO/IEC 13818-6(디지털 저장 매체 제어 명령) 등의 4개 국제 표준이 확정되었다. MPEG 2는 차세대 디지털 텔레비전인 미국의 고도화 텔레비전(ATV), 유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등의 HDTV,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을 이용한 영상의 전송,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의 디지털 저장 매체의 개발과 소프트웨어 제작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엠페그-4 고도 비디오 부호화(MPEG-4 AVC, MPEG-4 Advanced Video Coding)
MPEG-4 Part10 혹은 H.264로 불리는 동영상 압축 방식.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 산하의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과 ITU 산하의 VCEG(Video Coding Expert Group)가 공동 작업반 JVT(Joint Video Team)을 구성하여 표준화한 것이다. AVC는 기존의 TV나 DVD등에서 사용중인 MPEG2나, MPEG4 Part-2에 비해 최대 2배까지 압축률을 높여 고효율의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하다. 이는 동일한 품질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데 용량이나 대역폭이 1/2만 있으면 된다는 의미이다.
유무선 융합(FMC, Fixed Mobile Convergence)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되어 있는 망, 기술, 사업, 서비스 등의 통합. FMC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이기종 망을 IP 코어망으로 연동하고 IP멀티미디어서브시스템(IMS)을 통해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접속망(any network)이나 단말장치(any device)에 관계 없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최적의 방법으로 값싸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ANET, Mobile Ad-hoc NETwork)
유선 기반망 없이 이동 단말기로만 구성된 무선 지역의 통신망. 유선 기반이 구축되지 않은 산악 지역의 긴급 구조나 전쟁터 등지에서 통신망을 구성해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무선 신호의 송수신은 현재의 데이터 링크 기술을 활용하고, 라우터 기능은 MANET의 이동 단말기가 호스트와 라우터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하는데, 여기에 라우터 프로토콜의 개발과 무선 신호의 보안 문제 해결 기술 등이 필요하다.
인지 무선(CR, Cognitive Radio)
전파환경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파환경에 적합하게 무선기기의 운용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동작하는 무선기술. 예를 들면, 무선기기의 전송용량을 채널특성에 맞게 최대화, 기기간 간섭 최소화, 이기종 시스템간에 상호동작성 촉진, 또는 비사용 주파수를 찾아서 1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이용하는 기술이 모두 이 범주에 속한다. 인지무선기술은 많은 종류의 무선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로써 관련기술개발이 진행중이다. IEEE802.22 working group에서는 WRAN(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에 응용하여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고, 이동통신에서는 seamless communication이나 전송품질의 향상에 응용을 추진하고 있다.
적응 변조 및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무선 채널에서 수신 전력, 페이딩, 혼신 등 전파 상태에 따라 수시로 변조 및 코딩 방식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최대의 데이터 속도를 얻도록 하는 기술. 대표적인 응용 예로서 CDMA EV-DO에서는 근거리 가입자와 원거리 가입자를 구분하여 오류 코딩을 구분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를 가능케 하고 있다. 이러한 적응 기술로는 적응 멀티미디어 변조 기술(adaptive multimedia modulation technique), 적응 터보 코드 변조(adaptive turbo coded modulation), 비트 오류율 기술(BER technique) 등이 있다.
지그비(Zigbee)
저속 전송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 부터 출발한 기술이다.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방식은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이며, 데이터 전송속도는 20~250kbps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데이터를 각 반송파가 직교 관계에 있는 다수의 부반송파에 나누어 실어 다중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 보통의 주파수 분할 다중(FDM)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반송파의 다중이 가능하므로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고, 멀티패스(multipath)에 의한 심벌 간 간섭(ISI)에 강한 특성이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OFDM은 802.11 Wireless LA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xDSL, 4G 이동통신, 와이브로 등 많은 분야의 핵심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직교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반송파의 주파수는 동일하나 위상이 서로 직교하는 I(In-phase) 반송파와 Q(Quadri-phase) 반송파에 각각 디지털 방식으로 진폭변조를 가하여 합성되는 디지털 다치변조(multi-level modulation) 방식. 결과적으로 진폭과 위상의 쌍방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변조 방식이다. 16-QAM의 예를 들면, 피변조파 1파당 4값의 진폭, 4값의 위상을 각각 판별할 수 있어 16개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송파를 2,400Hz로 하면 9,600bps의 전송이 가능하다. 수신 측에서 16값을 정확하게 판별하려면 전화 회선에서 열화된 특성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자동 등화(automatic equalization)라고 한다. 최근에는 자동 등화 기술이 발달되어 더한층 다치화한 64-QAM, 256-QAM 등의 고속 변조기가 등장하였고, 또한 이 기술이 디지털 무선 방식에도 사용되고 있다.
터보 코드(Turbo code)
통신 채널의 비트 오류 확률을 최소로 유지하는 알고리듬에 기반을 둔 오류 정정 부호(ECC)의 하나. 1993년 Berrou, Glavieux, Thitimajshima 등이 제안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섀넌(Shannon)의 이론적 한계에 근접하는 매우 우수한 오류 정정 성능을 제공하므로 고성능의 오류 검사 정정(ECC) 방식이 요구되는 IMT-2000 및 위성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터보 코드는 부호기의 메모리 개수, 블록 크기, 인터리빙 형태, 복호기의 복호 알고리듬, 반복 횟수, 내부 메트릭의 처리 비트 수 등에 의해 성능이 결정되며, 우수한 알고리듬과 작고 효율적인 하드웨어의 제작에 초점이 맞추어져 많은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Hybrid Automatic Request)
오류 발생에 따른 재전송의 횟수를 줄이기 위해 원래 전송된 정보와 재전송되어 온 정보를 결합하여 디코딩하는 개선된 자동 재송 요구(ARQ) 방식. 3.5세대 이동 통신 기술인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 사용되었다.
2007년 1차 신기술동향
IP 카메라(IP camera)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칩, CPU, 네트워크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디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칩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되는 흐름이다. IP 카메라는 외부에서도 집 안 상황을 휴대폰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와 홈 네트워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ISM 대역(ISM band,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ITU-R에서는 ISM 대역으로 13.553~13.567MHz, 26.975~27.283MHz, 40.66~40.70MHz, 433.05~433.79MHz(1지역), 902~928MHz(2지역), 2.4~2.48GHz, 5.725~5.875GHz, 24~24.25GHz, 61~61.5GHz, 122~123GHz, 244~246GHz를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ITU-R에서 지정한 ISM 대역이 일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3지역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433MHz대역과 902MHz대역은 ISM 대역이 아니다. 최근에는 ISM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여, 허가가 불필요한 소출력 무선 기기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이 주파수 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장비는 ISM 기기들과 이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장비 간에 간섭을 용인한다는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2.4GHz 대역은 공중 무선 LAN 서비스, 블루투스, 무선 식별 시스템(RFID), 디지털 코드 없는 전화 등 다양한 통신에 사용되고 있다.
MPEG-A MAF(MPEG-Application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의 차세대 표준. MPEG-A(MPEG-Application, ISO/IEC 23000)는 장시간에 걸친 지속적인 표준화 활동에 따라 확장 응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규격 자체가 복잡해져 실제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어려워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MPEG-A는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부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미 개발된 현존하는 여러 기술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MAF라는 새로운 응용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즉 전체 MPEG 표준 중에서 필요한 프로파일과 기술 들을 개개의 표준 규격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목적하는 응용 포맷을 구성하는 것이다.
계층 변조(HM, Hierarchical Modulation)
하나의 채널에 서로 다른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서비스하는 방식. 원래 위성 방송에서 발생되는 다중 경로로 인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높은 계층으로 사용된 변조 방식을 낮은 계층으로 변조시켜 전송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을 채택한 유럽 지상파 방송이나 미국의 모바일 방송인 미디어 플로에서 원활한 이동 수신을 위해 계층 변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유럽 지상파 방송에서는 Hierarchical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미국의 미디어 플로에서는 Layered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유럽의 DVB-T에서 계층변조는 전체는 64QAM으로 변조하되 수신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토록 QPSK로 변조하고, 수신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위해 16QAM으로 변조를 한다. 미디어 플로는 수신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토록 15프레임을, 수신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위해 30프레임을 전송한다.
공통 보안지침
국가의 모든 연구 개발(R&D) 사업에 적용할 공통의 보안 지침. 국가가 주관하는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연구 기관은 모든 과제를 공통의 보안 지침에 따라 ‘보안’ 등급과 ‘일반’ 등급으로 구분해서 관리해야 한다. 보안 등급 과제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외국 기업의 과제 위탁 및 외국인의 과제 참여가 제한되며 보안 관리 규정을 위반할 경우에는 향후 국가 R&D 사업 참여 제한 등의 제재를 받는다.
광대역 음성코덱(wide band voice codec)
기존의 코덱보다 훨씬 넓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 현재의 전화망과 인터넷, 이동 통신에서의 전화 서비스는 협대역(300~3,400Hz) 정보만을 제한적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정보는 버리는 방식이다. 광대역 코덱은 50~7,000Hz 범위의 음성 정보를 복ㆍ부호화하여 더 나은 음성 품질을 제공한다. G.729.1은 광대역 음성 코덱 기술 표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해 프랑스의 프랑스 텔레콤, 독일 지멘스, 일본 마쓰시타, 미국 마인드스피드, 캐나다 보이스에이지사 등 6개국의 기업들이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국가 공개키 기반구조(NPKI, National Public Key Infrastructure)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전자 거래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공개 키 기반 구조. 전자 서명법에 의해 정보 통신부에서 정책을 담당하고 한국 정보 보호 진흥원이 최상위 인증 기관 역할을 수행하며, 하위에 공인 인증 기관을 지정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전자 서명용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구조이다.
네트워크 프로덕션 시스템(NPS, network production system)
초고속 네트워크와 대용량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 기존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 편집하고 사람이 들고 다녀야 했던 제작 환경이 네트워크 기술의 진전과 대용량 저장 미디어의 등장으로 온라인, 테이프리스(tapeless) 환경으로 변화되어 프로그램 품질 향상은 물론 제작 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듀얼 포맷 플레이어(dual format player)
차세대 영상 저장 장치의 양대 기술인 블루 레이 디스크와 고선명 DVD(HD DVD)를 모두 지원하는 플레이어. 블루 레이와 HD DVD는 게임·영화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풀 HD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영상 저장 장치이다. 그러나 콘텐츠 제작 업체인 영화사와 저장 장치 제조업체들이 블루 레이와 HD DVD 진영으로 나뉘어 차세대 저장 장치 기술의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듀얼 포맷 플레이어는 이처럼 양대 기술의 혼전 양상에서 시장의 접합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메타 블로그(meta blog)
개별 블로그를 하나로 묶기 위한 일종의 블로그 포털 사이트. 블로거가 글 연결 주소(RSS)를 등록하면 블로그에 새 글을 작성할 때마다 메타 블로그에 새 글 목록으로 추가되는 형태로 특정 블로그를 알지 못해도 여러 블로그의 글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다.
반제품 PC(barebone PC)
외장 케이스와 주기판, 전원 등 PC의 뼈대를 이루는 기본적인 골격만 갖춘 반제품 컴퓨터. 중앙 처리 장치(CPU)나 하드 디스크, 광학 드라이브(CD-ROM, CD-RW) 등 나머지 요소는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PC 부품을 제거·추가함으로써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최근에는 주요 기능만을 가진 작고 귀여운 미니 PC의 개념이 강하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gram Provider)
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 또는 위성 방송 사업자와 특정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 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자. 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는 방송 위원회에 등록하거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최근에는 복수의 방송 채널 사용 사업을 운영하는 MPP(multiple program provider)가 등장하였다.
보안 칩(security chip)
하드웨어 플랫폼에 보안 기능을 탑재해 한층 강화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칩.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플래시 메모리 등이 내장된 칩 자체에 보안 기능을 탑재하여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무단 해킹과 같은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User Generated Content)
일반 사용자들이 만들어 유통하는 콘텐츠.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가 생산과 창작이 핵이라면,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는 변형과 편집, 유통을 강조해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황 인지 기술(context cognition technology)
단말에서 제공되는 입력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 주는 기술. 미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지능을 가져야 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상황 인지 기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침 9시로 모닝콜을 정해 놓았을 경우에도 오전 시간의 스케줄 정보 및 날씨, 교통 정보 등을 활용해 모닝콜이 울리는 시간을 단말기가 자동으로 변경해 준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 가능하도록 한 소프트웨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는 소프트웨어 유통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공급 업체가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용한 만큼 돈을 지불한다. 전통적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과 비교할 때 SaaS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품 소유의 여부이다. 기존 기업용 소프트웨어는 기업 내부의 서버 등 장비에 저장해 이용한다는 점에서 고객이 소유권을 갖고 있었지만, SaaS는 소프트웨어가 제품이 아닌 서비스, 즉 빌려 쓰는 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존 라이선스 모델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SaaS는 기업이 새로운 소프트웨어 기능을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을 대폭 줄여 주며, 일정 기간 동안 사용량 기반으로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인프라 투자와 관리 부담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의견·생각·경험·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는 콘텐츠는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지 보드, 팟 캐스트, 위키,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참여와 공유라는 웹 2.0의 등장은 소셜 미디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소프트웨어 임치제도(SW Escrow)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유지 보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스 코드나 관련 기술 정보를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소프트웨어 업체가 도산했을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고 프로그램 심의 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용 절감 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 사업 등 안정적 유지 보수가 강조되는 사업에서는 임치가 필수이며, 임치를 받을 때 단순히 소스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개발 규격도 함께 요구해야 한다.
시스템 E(system E)
일본에서 제안한 위성 DMB 전송 방식. 사용 주파수는 2,630~2,655MHz이고 압축 방식은 비디오는 H.264를, 오디오는 AAC+를 사용하고 전송 방식은 CDM을 사용한다. 우리나라 위성 DMB도 이 규격을 채택하여 방송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 2.0(Enterprise 2.0)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해 웹 2.0 도구들을 기업 경영에 적용하는 것. 미국 하버드 대학교 앤드루 맥아피 교수가 처음 제시한 용어로, 6가지 구성 요소로 검색, 연결, 제작, 태그, 확장성, 신호를 제시하고, 웹 2.0의 기업적 활용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웹 2.0으로 총칭되는 블로그, 위키, 매우 간단한 배급(RSS) 등의 인터넷 기술과 문화가 개인적 차원을 뛰어넘어 기업 및 비즈니스 영역으로 파급되면서 소셜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은 기업의 직원과 외부 파트너, 고객이 함께 이용해 기업 경영과 가치 창출에 기여하게 한다. 웹 2.0과 엔터프라이즈 2.0은 모두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지만, 엔터프라이즈 2.0은 기업의 가치 창출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엔터프라이즈 2.0 SW는 최소한의 시스템과 자원을 필요로 해 설치와 운영 부담이 적고 인터페이스가 간단해 사용자 교육이 쉬우며, 웹 서비스와 공개 소스를 이용해 시스템 통합 및 유연성이 커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원낸드(One NAND)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와 로직을 하나의 칩에 집적하고 시스템 규격에 적합한 소프트웨어까지 제공하는 퓨전 메모리. 퓨전 메모리는 메모리와 로직의 융합을 통해 기존 메모리 기능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시장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삼성 전자가 개발해 출시한 1G 원낸드는 2개의 고속 S램을 버퍼 메모리로 활용하여 노어(NOR) 대비 쓰기 속도와 읽기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낸드 플래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수의 블록 단위로 지울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유레카-147(Eureka-147)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규격. 유레카-147 DAB는 약 1.5MHz의 대역폭으로 MPEG 오디오 계층-II를 기반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 기술을 사용하여 CD 수준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동체 수신에서 다중 경로 페이딩 및 도플러 확산에 대처하기 위해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COFDM)을 사용한다. 전송 규격으로는 지상파와 위성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Ⅰ, Ⅱ, Ⅲ, Ⅳ의 4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고 있으며, 지상파에서는 이동 수신이 잘 되고 단일 주파수망(SFN) 구성이 쉬워 모드Ⅰ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레카-147을 전송 방식으로 채택하였고 비디오 전송 규격을 추가하여 세계 최초로 DMB(T-DMB) 규격을 만들어 방송을 실시 중이며 국제 표준으로 승인되어 보급을 확산하고 있다.
인간 중심 인터페이스(HCI, Human Centric Interface)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사람과 사람 사이처럼 자연스럽게 해주는 모든 기술. 다시 말해 사람과 이야기하듯 기계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입출력 장치의 고도화 기술과 멀티 모달 및 상황 인지 기술 등이 여기에 속한다.
정부 공개키 기반구조(GPKI, 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전자 정부 구축을 위해 행정 기관 간 전자 문서 교환 또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전자 행정 서비스 제공 시 해당 공무원의 신원 확인 또는 행정 전자 문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 정부법에 의해 정부가 정책 및 최상위 인증 기관을 담당하고 있고 각 부처에서 인증 기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정부 공개 키 기반 구조(GPKI)의 업무 범위는 행정 기관에서 금융 기관 및 공공 기관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주파수 경매제(frequency auction system)
경매를 통해 주파수 사용권을 할당하는 제도. 전통적으로 주파수는 공공재적 성격(공물)으로 국가가 자원의 분배는 물론 할당 및 지정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1950년대 코스 교수가 “전파 자원도 사유 재산처럼 소유권을 가지고 사유 재산처럼 취급되어야 한다.”는 재산권 이론 발표 이후 많은 논의 후에 1990년대부터 주파수 경매제가 시행되고 있다. 주파수 경매 제도는 상업용 주파수에 대하여 국가가 개인에게 경매를 통하여 할당하면 사유 재산처럼 용도 및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주파수 경매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고 공공 자산인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주파수 경매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지문자동식별시스템(AFIS, 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전 국민의 지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현장에서 수집된 지문과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 지문 자동 식별 시스템(AFIS)은 개인에 대한 인적 사항과 지문의 원본 이미지나 주요 특징적 정보를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검색 단말기에서 개인의 현장 지문과 저장된 지문을 비교하여 동일인 여부를 확인한다. 주로 과학 수사와 출입국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캐싱 서비스(cashing service)
검색 작업이 복잡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네트워크 응용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호출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 캐싱 서비스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의 일종으로 캐싱 기술을 이용하여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응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분산 시스템에 응용된다. 특히 그래픽 이미지, 플래시 파일 등 웹 콘텐츠의 빠른 전송에 유용하고 이미지가 많은 쇼핑 몰이나 포털, 게임, 검색 사이트에서 안정적인 이미지를 제공한다.
콘텐츠 MD(Contents Manager)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해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상품 기획자. 의뢰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 콘텐츠로 가공·처리한 후 인터넷상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으로 ‘정보 검색사’ 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업체, 대학, 정부 기관 등에서 요구해 오는 자료나 통계 등을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즉시 보내 주거나 정기적으로 뉴스레터 형식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테이크 아웃 인터넷(take out internet)
집이나 사무실 밖에서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유래한 용어. 휴대 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 등장과 휴대폰이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으로 진화하면서 휴대 단말로도 자유롭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고속으로 원하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면서 생겨난 용어로 DMB를 '테이크 아웃 TV'라 하는 경우와 동일한 개념이다.
포토마스크(Photomask)
반도체나 IC 회로 제작 과정에서 회로 배열이나 패턴이 담긴 네거티브 필름 또는 유리.
풀HDTV(Full High Definition Television)
픽셀 수가 200만(1920×1080)이고, 순차 주사 방식을 사용하는 HDTV. 일반 HDTV 수상기는 100만(1366×768) 픽셀을 지원했으나 풀 HD는 200만 픽셀의 HD 화질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주사 방식도 방송이 지원하는 1,080i보다 2배 많은 초당 60번씩 보여 주는 1,080p를 지원한다. 따라서 화질이 HDTV 방송보다 2배가 된다. 하지만 현행 방송이 1,080i로 방송하고 있어 풀 HD를 즐기기 위해서는 풀 HD로 제작된 콘텐츠가 필요하다.
플라스틱 반도체(plastic semiconductor)
복합 이중 결합 구조의 유기 플라스틱 합성 수지로 전기적으로는 반도체 특성을 갖는 것.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들어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경우 훨씬 가볍고 유연해 휴대가 간편하다.
핀구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nFET, Fin Field Effect Transister)
평면형 트랜지스터를 대신할 차세대 입체형 트랜지스터. 구조는 실리콘을 핀(Fin)이라고 하는 얇은 지느러미 모양으로 세우고 그 양면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이중 게이트 구조를 가진다. 이런 핀 구조는 게이트가 실리콘 위에 설치되는 현재의 평면형 게이트 구조에 비해 트랜지스터 구동 시 필요한 구동 전류를 2배로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프 시 누설 전류를 완전 차단할 수 있어 소자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후광효과(Halo law)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그 대상의 어느 한 측면의 특질이 다른 특질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일. 심리학에서 출발한 용어였으나 최근에는 IT 시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아이팟의 성공을 아이폰까지 이어 가려는 애플의 전략이나, 윈도 영향력을 겨냥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 비스타 전략, 초콜릿폰을 저가 시장에서도 활용하겠다는 LG 전자의 마케팅 계획 모두 후광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2007년 신기술동향
3차원 감성 TV폰(3 dimension Sensitivity Television Phone)
3차원 입체 영상에 진동과 발광으로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하는 TV폰. 휴대폰에 전달된 방송 콘텐츠 내용에 따라 진동자의 떨림과 발광 다이오드(LED) 점멸 등으로 사용자의 촉각과 시각을 자극하여, 실감나는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방송 내용 중 폭탄이 터지는 장면이 나오면 휴대폰이 강약을 조절하며 진동하고, 나이트클럽의 현란한 조명을 대신해 키패드의 LED가 점멸해 분위기를 띄울 수 있다.
DMB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DMB MAF, DMB 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PEG에서 제정한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MAF) 중 하나. 공식 표준 명칭은 'ISO/IEC 23000-9'이다. DMB 콘텐츠에 정보 및 보호 메타 데이터를 결합해 특정 파일 형태로 만들어 DMB 방송망은 물론 IP망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AF 콘텐츠는 MAF를 적용한 모든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하고 MAF에 포함된 정보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미리보기, 콘텐츠 검색 등 각종 부가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DMB 멀티미디어 응용 포맷 도입은 콘텐츠 산업 활성화와 사업자의 콘텐츠 판매 이익 증대, 그리고 DMB 단말기의 고부가 가치화로 DMB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매뉴팩처링(e-Manufacturing)
제조 산업의 전 활동 영역에 IT 기술을 접목해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 제조 산업의 활동 영역에는 단순히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기획 및 설계, 생산 시스템의 설치, 운영, 부품의 구매와 공급, 최종 상품의 유통과 판매에 이르는 산업 전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e-매뉴팩처링은 제조업뿐 아니라 나아가 국가 산업 전체의 첨단화를 의미한다.
e-사이언스(e-Science)
그리드(GRID)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연구자, 연구 장비, 연구 정보 등 연구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연구 활동. 기존 연구 활동은 지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물적·인적 자원으로 진행되었다면, e-사이언스 환경에서는 원격에 있는 슈퍼컴퓨터, 첨단 장비, DB 문서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고, 협업 회의를 통해 인적 자원과 정보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기존 첨단 연구 장비의 활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연구 활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형 연구 시설을 지역에 분산 설치할 수 있어 국토의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IPTV 브라우저(IPTV Browser)
웹상에 구현된 기존 콘텐츠를 쉽게 방송용 콘텐츠로 통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브라우저. 웹 표준을 적용한 IPTV 브라우저는 IPTV 서비스의 핵심인 방송 콘텐츠의 개발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범용화된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비용과 효율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또한 IPTV 브라우저는 IPTV, 디지털 CATV, 디지털 위성 방송용 셋톱 박스 등에 탑재되며, 데이터 방송 표준인 ACAP 및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 제한 수신 시스템(CAS) 등도 지원한다.
IT 멘토링(IT mentorring)
IT 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교육 품질 개선을 위한 기업체, 연구소 등의 전문가와 학생이 함께 실습 과제를 수행하는 제도. 기업의 전문가인 멘토가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대학 교수, 학생들과 팀을 구성해 수행하는 제도이다.
SW 임치제도(SW Escrow)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유지 보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스 코드나 관련 기술 정보를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소프트웨어 업체가 도산했을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고 프로그램 심의 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용 절감 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 사업 등 안정적 유지 보수가 강조되는 사업에서는 임치가 필수이며, 임치를 받을 때 단순히 소스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개발 규격도 함께 요구해야 한다.
OGF(Open Grid Forum)
그리드 관련한 모든 표준화를 전적으로 수행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럼. 기업 데이터 센터에 그리드 기술을 접목시키고자 발족된 유럽의 EGF(European Grid Forum)와 아시아 그리드 관련 전문 모임이 모여서 그리드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를 선도해 온 글로벌 그리드 포럼 GGF(Global Grid Forum)를 발족하였으며 이후 기업 지향 그리드 컴퓨팅 개발 및 보급을 촉진하는 EGA(Enterprise Grid Alliance)와 통합되어 그리드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여 그리드 기술의 정착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포럼이다.
가상드라이브 연결 기술(Virtual Drive Link Technology)
인터넷 접속을 통해 읽기 전용 콤팩트디스크 기억 장치(CD-ROM)를 구동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솔루션. 가상 드라이브 연결 기술은 CD나 DVD 형태의 자료를 특정 파일로 전환해 웹 스토리지에 올리면, 자료 내려받기 과정 없이 CD와 DVD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터넷으로 자료에 접근하기 때문에 그동안 CD 자료 반출로 빈번하게 발생했던 CD 분실과 훼손 문제도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웹 스토리지 공유 디스크에 1개 자료만 올려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접근할 수 있어 자료 반출 시 순서를 기다리는 불편함도 없어진다.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VTL, Virtual Tape Library)
가상화 기술을 통해 디스크를 마치 테이프처럼 인식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고, 보유한 서버 수만큼 디스크를 분할해 테이프 라이브러리처럼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복구 및 백업 속도가 테이프보다 빠른 것이 특징이다. 저장 매체로 디스크를 활용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으며 초기 도입비나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다.
가상화 사이징 툴(Virtualization Sizing Tool)
서버에 다수의 가상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를 최적으로 나누는 데 사용하는 툴. 물리적인 하드웨어의 중앙 처리 장치(CPU) 점유율, 트랜잭션 등 다양한 수치를 입력하면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가상화 서버 설치 수를 제안하기 때문에 가상화 규모를 결정하는 데 사이징 툴들의 역할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사이징 툴 없이도 가상화 서버를 구현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가상화 서버를 설치하면 안정성을 해치고 너무 적게 만들면 경제성이 낮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VM 웨어의 커패시티 플래너(Capacity Planner)는 대표적인 가상화 사이징 툴이다.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건물 외벽의 전자판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발전 시스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을 건축 자재화하여 건물의 외벽재, 지붕재, 창호재 등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건축물을 구현할 수 있다.
결합상품(Combination Commodity)
전화, 초고속 인터넷, 이동 통신 등 여러 통신 서비스를 묶어서 판매하는 것. 통신 시장이 모바일 컨버전스로 발전되면서 유무선 개념이 사라지고 하나의 단말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다양한 결합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고객 경험 관리(CEM,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기업이나 제품과 관련된 고객의 경험을 전략적으로 관리해 고객 경험 이해를 바탕으로 기업 내부를 고객 중심적으로 혁신해 나가는 경영 전략. 고객 경험 관리(CEM)는 고객 관계 관리(CRM)의 다음 단계로,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CRM과 달리 고객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매장 방문, 구입, 구입 후 이용 등 거래 단계별로 고객이 무엇을 보고 느끼는지를 파악해 이를 토대로 고객 경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고객 소리 관리 시스템(CVMS, Customer Voice Management System)
이메일을 비롯해 전화, 팩스, 엽서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들어오는 고객의 불만이나 요구 사항을 통합 접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시스템. 고객의 소리를 문장화해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관련 부서에 전달해 향후 고객 관리나 마케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공공 디스플레이(PD, Public Display)
공공 장소에서 특정 개인이 아닌 대중을 상대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기술 발달과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활용 분야는 공항과 터미널 등에서 교통 및 항공 정보를 알려 주는 운송 분야를 비롯해 학교와 학원 교실에서 사용되는 교육 분야, 매장과 쇼핑 몰에서 광고 및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 주는 디지털 간판용, 화상 회의와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회의실용, 경기장, 박물관, 호텔 로비 등에서 사용되는 실내 디스플레이용 등 다양하다.
공급망 이벤트관리(SCEM, Supply Chain Event Management)
전체 공급망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구. 전체 공급망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확보된 가시성을 바탕으로 공급망상에서 발생하는 예외 및 문제 상황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 및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이벤트란 공급망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예상하지 못한 상황, 특히 예외적인 상황을 가리킨다. 이전까지 자동차를 앞만 보고 운전했다면 공급망 이벤트 관리(SCEM)는 백미러 또는 내비게이터를 통해 앞뒤 좌우 모든 것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자동차가 미끌어질 경우, ABS가 자동으로 잡아 주듯이 공급망상에서 어떠한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잡아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국가 과학기술 전자 도서관(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한국 과학 기술원(KAIST)에서 제공하는 해외 학술 저널, 프로시딩 등에 대한 DDS 서비스. KAIST는 과학 기술부 산하 기관이며 국가 과학, 기술 정보 분야의 전문 연구 기관으로 과학ㆍ기술 및 이와 관련된 산업에 관한 정보를 수집ㆍ분석ㆍ관리하고 정보의 관리 및 유통에 관한 기술ㆍ정책ㆍ표준화 등을 전문적으로 조사ㆍ연구하며 연구 개발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구축ㆍ운영한다.
국제표준화기구 27001(ISO 27001,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7001)
국제 표준 정보 보호 관리 체계(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국제 정보 보호 관리 체계 국제 규격. 현재 정보 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인증 규격으로 지난 2005년 10월 영국 표준인 BS7799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ISO 17799를 새로운 국제 표준인 ISO 27001로 승격, 위험 관리와 보안 정책 자산 분류 등 11개 분야 133개 항목에 대한 규격을 담고 있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International Thermalneclear Experimental Reactor)
핵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평화적인 목적의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 개발 사업. 핵융합 에너지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플라스마 상태로 만든 뒤,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생산하는데, 연료가 무한하고 온실 가스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 무한 에너지라고 한다. 국제 핵융합 실험로(ITER) 프로젝트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원 아래 미국, 유럽 연합, 일본, 러시아 등이 공동 협력하여 진행해 왔으며 중국, 한국, 인도도 동참하였다. 2015년까지 핵융합 실험로를 공동으로 건설하고, 핵융합 에너지의 실용화를 위한 공학 기술적 실증 실험을 수행하는 국제 공동 연구 개발 사업이다.
그래픽 메모리(GDDR, Graphic Digital Disk Recorder)
컴퓨터 게임기 등에 탑재되어 영상과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디스크 메모리. 범용 디지털 디스크 기록기(DDR)보다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최근 5세대인 1Gb GDDR5가 개발되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컴퓨터 게임과 그래픽 디자인의 품질 향상은 물론 차세대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VR)인 블루 레이나 풀 HD급 영상 처리 기기 등에서도 수요가 늘고 있다.
그린 그리드(Green Grid)
전 세계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모를 낮추는 방법을 찾기 위한 IT 회사와 전문가들의 컨소시엄. 그린 그리드의 회원사들은 데이터 센터 운영 및 구축, 설계와 관련한 최선의 방법론을 규명하고, 제안을 통해 데이터 센터는 물론 기타 IT 관련 시설들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린 그리드에는 AMD, 휴렛팩커드, 선, IBM, 인텔 등이 참여하고 있다.
기성제작 콘텐츠(RMC, Ready Made Contents)
전문가들이 제작하는 동영상 콘텐츠. 영화사나 방송사 같은 전문 제작 업체 및 내용과 관련 있는 전문가들이 제작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만드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에 비해 전문적이고 알찬 내용을 담고 있어 그만큼 정보로서 가치가 높고 저작권 문제도 없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동영상 전문 사이트나 주요 포털에서 기성 제작 콘텐츠(RMC)의 도입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기술경영(MOT, Management Of Technology)
과학 기술과 경영 원리를 결합하여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 기술 경영(MOT)은 과학 및 공학 기술과 경영 원리를 구분하여 관리하던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과 경영 능력을 연결하여 엔지니어링, 경영학, 과학 등에서 도출된 지식을 결합하여 MOT를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기업에서는 MOT를 통하여 기술 자체와 개발을 관리하고 다양한 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노 큐플러스(Nano Qplus)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10KB 미만의 센서 노드용 초소형 운영 체계(OS). USN 기술의 활성화를 위한 초소형 OS로 산학연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의료, 환경, 방재, 디지털 홈, 국방, 산업 기기 등의 응용 분야에 적합한 기술이다. 비용 절감이나 간편한 노드의 설치 등 산업 전반에 걸쳐서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넥스트 디스크 카드(ND 카드, Next Disc Card)
디지털 카메라나 MP3 플레이어용 메모리 카드인 SD 카드에 콘텐츠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탑재한 차세대 저장 매체.
다운로드 수신제한 시스템(D-CAS,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신제한 기능을 셋톱박스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다운로드형 수신제한 시스템(DCAS)은 헤드엔드에서 망을 이용하여 수신제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셋톱박스로 다운로드하여 수신제한 기능을 쉽게 변경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내장(임베디드) 방식이나 케이블카드 방식에서는 방송 사업자들이 수신제한 시스템(CAS)을 교체하거나, 가입자가 다른 방송 사업자의 서비스 권역으로 이사할 경우에는, 기존의 셋톱박스를 교체하거나 셋톱박스에 삽입된 케이블카드를 교체해야 서비스가 가능하였으나, 다운로드형 수신제한 시스템은 셋톱박스나 케이블카드의 교체 없이도 새로운 방식의 제한수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단일 미디어 다수 장치(SMMD, Single-Media Multi-Device)
미디어의 실감 재현을 위한 방법으로 하나의 미디어를 다양한 사용자 주변의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기술. 미디어 기술 발달로 실감 미디어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단일 미디어 다수 장치(SMMD)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개발 중인 기술이며 개념도는 그림과 같다. 예를 들어 애인에게 장미꽃을 선물하는 장면에서 장미꽃향을 내뿜는 발향 장치가 동작하고, 바람이 부는 장면에서 풍향 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에게 미디어의 분위기를 사실적으로 연출해 주는 것 등이다.
데이터보안표준(DSS, Data Security Standard)
비자, 마스터, JCB,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 주요 카드사가 신용 카드 정보 유출 사고를 막기 위해 보안 표준 협의회(PCI)를 결성하여 만든 글로벌 표준. 이 표준은 가맹점 등이 신용 카드 정보를 불필요하게 저장하지 못하도록 하고 카드 번호와 회원 이름, 유효 기간에 한해 불가피한 경우 암호화해 저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웹 서비스 보호와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토콜의 안전한 사용 강화, 사용자와 프로세스 인증 등이 포함되었다.
디빅스 플레이어(Divix Player)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내장된 재생 기기. 영화,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음악, 사진, 그림 등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 후 TV나 프로젝터 등에 연결해 감상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물론 차 안에서도 차량용 TV, 내비게이션 등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디지털디스크(DD, Digital Disc)
저작권이 보호된 디지털 음원을 플래시 메모리에 담아 음반처럼 개별적으로 판매하는 것. 디지털 디스크는 MP3 플레이어와 같이 재생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MP3 플레이어와 원리는 같지만 재기록이 불가능하고, 복제가 어렵다는 점에서 음반 시장을 이끌 차세대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 무엇보다 디지털 디스크는 이어폰만 연결하면 즉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미리 담겨진 콘텐츠를 사용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처럼 콘텐츠 제공 업체에 회원으로 가입할 필요가 없으며 IT 기기를 잘 모르는 사람도 접근성이 높다. CD에 비하여 충격에 강하고 반영구적이며 저장 용량을 마음대로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 배우(Digital Actor)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CG) 기술로 만든 가상의 배우. 실제 배우 수준의 외형과 동작을 가진 배우로, 얼굴 표정, 피부, 머리카락 표현 등의 섬세함은 물론 동작이 자연스러워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CG 기술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미래 방송, 영화 등 영상물 시장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기술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라이프 캐싱(Life Caching)
개인이 자신의 기록과 일상생활을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 미니홈피나 블로그 등을 통해 공개하는 것. 2, 30대의 콘텐츠 세대가 스스로 만족하기 위해 디지털 매체와 기기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남에게 인정받기 위해 강한 자기 표현 욕구를 갖고 있다는 데서 착안한 말이다. 양방향 방식의 자서전 대필 업체 바이오라이터나 우리나라의 시민 기자 형식을 도입한 인터넷 매체, 일반인의 사진을 대신 팔아 주는 영국의 스코프사가 대표적인 사례다.
라토나 칩(latona chip)
시스템 온 칩(SoC) 하드웨어를 이용한 표준 소켓 입출력 처리 방식인 네트워크 프로토콜 가속 엔진. 기존의 서버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나 동시에 많은 사용자가 서버에 집중되는 경우 서버의 네트워크 처리 요구가 급증하여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라토나 칩은 칩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직접 처리하므로 이와 같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부하의 자체 처리 능력으로 인해 서버의 추가 증설도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세션의 연결 수를 최대 1만 개까지 지원하므로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서비스 제공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리드아웃 IC(readout IC)
필름 없이도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FT-LCD) 디스플레이를 터치스크린으로 만들 수 있는 반도체. 기존 터치스크린은 하단의 유리와 상단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터치한 순간 정전 용량의 변화나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좌표값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의 구성품은 유리와 필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와 드라이버 등이다. 그러나 리드아웃 IC를 사용하면 터치한 순간에 TFT-LCD에 비친 그림자나 영상을 리드아웃 IC가 읽어 좌표로 반영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이나 압력 변화를 측정해야 하는 별도의 필름이 필요 없다. 또한 리드아웃 IC 자체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때문에 ADC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원가 절감은 물론 디스플레이의 두께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유리와 필름으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은 정확성과 응답 속도가 떨어지지만, 리드아웃 IC를 사용하면 필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터치한 값의 좌표값을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만족도 기준 과금방식(CPS, Cost Per Satisfaction)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를 광고 매체로 활용하기 위한 광고비 지불 방식의 한 기법. 광고주들이 광고 영상과 광고 비용을 포함한 광고비 지불 조건을 먼저 제시하면, UCC 제공자는 광고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조건의 광고를 선택해 등록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배너 광고에 주로 사용되는 노출 빈도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하는 정액제 광고(CPM) 방식이나 클릭 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하는 종량제 광고(CPC) 방식 등과 달리 만족도를 과금과 수익 분배의 핵심 기준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멀티미디어콘텐츠 판별시스템(Multimedia Contents Discrimination System)
인터넷상의 불법ㆍ유해 콘텐츠를 키 워드 검색이 아닌 내용 분석을 통해 판별하는 시스템. 비디오의 경우 장면 전환 정보, 컬러 정보, 위치 정보 등을 복합적으로 비교해 찾는 방식으로 오디오의 경우 주파수 특성을 분석해 불법 콘텐츠를 찾는다.
멀티 플랫폼 릴리즈(multi platform release)
영화를 극장, DVD,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동시에 개봉하는 것. 멀티 플랫폼 릴리즈는 과도한 극장 매출을 줄이고 영화의 다양한 생산과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배급 혁명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영화는 극장에서 상영한 다음 DVD로 출시되고 TV에서 방영하는 방법으로 시간차를 두면서 공개하는 홀드백 방식이 널리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차세대 DVD 플레이어, 인터넷, 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멀티 플랫폼 릴리즈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메신저 뱅킹(Messanger Bangking)
메신저를 이용한 뱅킹 서비스. 메신저 뱅킹을 이용하면 가상 계좌를 만들지 않고 실제 내 계좌를 가지고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메신저 사용 인구가 늘고 있고, 사용 연령대도 다양해짐은 물론 소액 결제도 활성화되고 있어 메신저 뱅킹 서비스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트온의 플랫폼을 이용한 신한은행 메신저 뱅킹 서비스가 있다.
무연솔더(Pb-free soldering)
전기, 전자 부품이나 제품 제작 시 부품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던 납(pb)을 사용하지 않는 기법. 납은 환경 유해 물질로 유럽 연합은 물론 미국과 중국에서도 납 등 유해 물질이 포함된 제품에 대한 역내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대체재로는 주석(Sn), 은(Ag), 구리(Cu)의 합금계가 있다.
미메일(Me Mail)
이메일에 아바타나 사진·동영상·문구·블로그 링크 등을 삽입해 나만의 독특한 이메일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 획일적인 이메일을 탈피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싶어하는 개인이나 전문 블로거 또는 기업 홍보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첨부된 동영상 등으로 용량이 커져 스팸 못지않은 네트워크 과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
바이오 셔츠(Bio shirt)
컴퓨팅 스포츠 웨어. 입는 것만으로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심박수, 호흡 수, 체온, 운동량 등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신체 조건에 적합한 체육 활동과 건강 관리, 불의의 사고 방지가 가능한 최첨단 미래형 스포츠 웨어이다.
박막 태양전지(Thin Film solar cell)
실리콘 대신 유리와 같은 값싼 기판 위에 박막 형태의 태양 전지를 증착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태양 전지 시장은 실리콘(Si)을 소재로 해 기술적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최근 LCD 박막 기술 발달로 박막 태양 전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박막 태양 전지는 고가의 실리콘 대신 유리 기판을 소재로 활용하고 있어 실리콘 태양 전지에 비해 단가는 낮지만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부정클릭
인터넷 이용자가 클릭할 경우에만 과금이 되는 종량제 광고(CPC) 방식의 검색 광고에서 악의적인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클릭이 발생하도록 하는 행위. 광고주들이 입금해 놓은 돈이 클릭 수에 따라 지불되기 때문에 최근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검색 광고 부정 클릭을 방지하기 위해 대처 법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부정클릭 방지시스템(CTP, Click Through Protection System)
부정 클릭 실시간 자동 차단 시스템. 광고주가 자신에게 적절하지 않은 클릭이라고 판단하여 신고하면 부정 클릭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분자선 결정 성장시스템(MBE, Molecular Beam Epitaxy)
다양한 성장 재료들을 분자 형태로 쏘아서 증착시킴으로써 원하는 물질을 기판 위에 쌓는 방법. 분자선 결정 성장 시스템(MBE)은 초고진공 속에서 다양한 결정의 구성 원소가 함유된 셀을 가열하여 나오는 증기를 분자선 형태로 방출시키고,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 기판 위에 반도체 단결정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MBE는 크기가 균일하고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고 있어, 나노 트랜지스터나 나노 레이저, 메모리 등 나노 소자 제작에 필요한 나노 와이어의 핵심 기술이다. 성장 속도는 느리지만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블루슈머(bluesumer)
블루오션(blue ocean)과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로 경쟁자가 없는 시장의 새로운 소비자 그룹. 통계청은 최근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맞춰 등장한 신소비 계층인 블루슈머를 발표하고, 이들이 밀집한 지역을 지도 위에 각종 관련 통계와 함께 보여 주는 블루슈머 지리 정보 시스템(GIS)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서비스는 블루슈머를 이동족(Moving Life), 무서워하는 여성(Scared Women), 20대 아침 사양족(Hungry Morning), 피곤한 직장인(Weary Worker), 3050 일하는 엄마(Working Mom), 살찐 한국인(Heavy Korean) 등 6개 부류로 나누어 각 지역별 분포도 등을 소개하였다. 이 자료를 활용하면 창업이나 판매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비공개 테스트(CBT, Close Beta Test)
온라인 게임 분야에서 제한된 인원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테스트. 게임 개발 과정에서 버그 수정과 안정성 점검을 위한 시험 과정을 거치는데, 제한된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비공개 테스트(CBT)를 실시한 후 일반인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공개 테스트(OBT)를 거쳐 완성작을 만든다.
비즈니스 서비스 관리(BSM, Business Service Management)
비즈니스와 IT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IT 조직의 관리 솔루션. 비즈니스 서비스 관리(BSM)는 IT 거버넌스와 IT 서비스 관리(ITSM)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고객의 IT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와 워크 플로우를 효과적으로 자동화하여 IT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즈니스의 목표와 우선 순위에 맞게 IT를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User Generated Content)
일반 사용자들이 만들어 유통하는 콘텐츠.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가 생산과 창작이 핵이라면,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는 변형과 편집, 유통을 강조해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이버 페트(Cyber Pet)
휴대폰으로 기르는 가상의 애완 동물.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데이터 서비스 등 휴대폰 서비스 이용량에 따라 발생한 마일리지로 아이템을 구매해 휴대폰 속 애완 동물을 키운다. 문자 서비스 등을 통해 사이버 페트와 양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를 받아 사이버 애완 동물의 감정 상태, 건강, 배고픔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사파이어 기판(sapphire board)
발광 다이오드(LED)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기초 웨이퍼로LED의 원천 소재. 사파이어 기판은 방위의 정도가 높고, 정밀한 폴리싱으로 흠이나 자국이 없으므로 LED용 질화물이나 화합물 반도체의 증착 기판으로 사용한다. 사파이어 기판은 증착과 성장 공정을 거쳐 에피웨이퍼로 제조한 후 칩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상충관계(trade off relation)
2개의 정책 목표 가운데 하나를 달성하려고 하면 다른 목표는 희생되어야 하는 관계. 상충 관계는 실업과 인플레, 금리와 주가, 환경 보호와 경제 성장 등의 경제 현상에서 많이 보여졌으나 최근에는 IT 분야에서도 서비스 품질(QoS)과 정보 보호, 처리율과 이동성 등에서 상충 관계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 보호와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QoS 분야에서의 상충 관계가 쟁점이 되고 있다.
상황 인지 기술(context cognition technology)
단말에서 제공되는 입력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 주는 기술. 미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지능을 가져야 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상황 인지 기술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침 9시로 모닝콜을 정해 놓았을 경우에도 오전 시간의 스케줄 정보 및 날씨, 교통 정보 등을 활용해 모닝콜이 울리는 시간을 단말기가 자동으로 변경해 준다.
서비스 과학(service science)
정보 기술(IT) 산업의 발전을 위해 서비스 분야를 체계화하는 학문. 다양해진 고객의 요구 사항과 IT 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증명을 통해 투자에 대한 불안을 없애고, 성공에 대한 확신을 주기 위해 경영학, 사회 과학, 산업 공학, 컴퓨터 공학 등 여러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는 학문이다.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사용자가 창조하고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영속적인 온라인 3D 가상 세계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꿈꾸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으며 상상하는 인물을 창조 또는 자신이 그 인물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미국 IT 기업 린든 랩이 2003년 개설한 3차원 온라인 가상 현실 사이트.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해 온라인 세계에서 제2의 인생을 살아간다. 사용자 활동 공간을 섬이라고 부르며 이를 구입해 집을 짓고 친구를 사귀며 다양한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땅·건물·옷·가구를 사고파는 데 가상 화폐인 린든 달러가 통용된다. 가입자 수가 증가하면서 대기업인 도요타, 델, IBM사 등이 점포를 개설하고 온라인 쇼핑 몰처럼 자사 제품을 판매하거나 고객들과 만남을 가지고 있으며, 선거에서는 유세의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셀 시스템(cell system)
수십에서 수백 명의 직원이 기계적으로 일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대신에 혼자 또는 소수 직원이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방식. 자기가 책임을 지고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형태에 따라 1인 방식, 순회 방식, 분할 방식 등이 있다. 캐논사가 처음 도입해 성공을 거두었으며 국내에는 인쇄기, PC 등 다품종 조립 제품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컨베이어는 초보와 베테랑이 모두 똑같은 벨트 흐름에 따라 작업을 하고 단순 업무만 반복하는 단점이 있지만 셀은 능력에 맞춰 라인을 구성해 업무 효율이 높고 공정 개선도 쉽다.
소비자불만 관리 시스템(CCMS, Consumer Complaints Management System)
기업이 사전에 자율적으로 소비자들의 불만 사항을 최소화하고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소비자의 불만과 피해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 이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 간의 분쟁을 자율적으로 해결하자는 취지이다.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소비자 피해 예방 시스템 가운데 하나이다.
수주 가치 평가(VRB, Value Review Board)
수주 이전에 수주 관련 전략 및 가치성에 대해 검토하는 회의체. 수주 가치 평가는 공공 사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 수주 전에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회의체에서 사업의 수익성을 철저히 분석하여 저가의 출혈 경쟁 방지 및 이윤 극대화를 도모하는 제도이다. 국내외 IT 업체를 중심으로 수주 가치 평가(VBR)를 도입하여 수주율을 높이고, 이익을 증대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스마트워킹(smart working)
업무의 낭비 요소를 줄이고 몰입도를 높여 고객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업무 개선 방법. 이메일 보고와 화상 회의, 전화 회의 등을 적극 활용하고, 대면 회의는 최소화하며 회의 자료의 양과 참석자도 최대한 줄여서 불필요한 업무와 회의ㆍ보고 등 부수적인 일에 소모되는 수고를 최소화하고 실제 핵심 업무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일의 능률은 높이면서 업무 스트레스는 최소화하는 업무 개선 방법이다.
시스템 해킹(system hacking)
시스템의 프로그램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기법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라든지 포맷 스트링(format string)과 같은 기법들을 이용하여 취약한 시스템을 공격하여 해당 시스템에 접속,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식스 시그마(six sigma)
품질 혁신과 고객 만족을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 1980년대 말 미국의 모토로라사에서 품질 혁신 운동으로 시작되어 성공을 거두자 제너럴 일렉트릭(GE),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소니 등 세계적인 초우량 기업들이 채택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삼성, LG 등에서 도입하여 품질 혁신에 성공함으로써 많은 기업들이 도입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고객이 존재하는 금융, 서비스, 통신, 의료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식스 시그마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신화학물질 관리제도(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화학 물질 관리에 기본 축이 되는 법령으로서 건강과 환경을 보존하는 동시에 화학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유럽 연합(EU)에서 제정한 신화학 물질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제도. 신화학 물질 관리 제도(REACH)는 산업체가 필요한 자료를 만들고 평가하며, 과학적 근거를 기초로 화학 물질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도이다. REACH의 핵심은 등록과 허가로서 연간 1톤 이상 제조되거나 수입되는 화학 물질 및 완제품 내의 화학 물질은 EU의 평가를 통해 허가와 등록 절차를 받는다.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솔루션(Application Virtualization Solution)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파일 형태로 묶어 제공하는 기술. 오피스, 포토샵 등의 주요 상용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일일이 PC에 설치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실행 파일(.EXE)로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PC와 운영 체계를 바꿀 때마다 한 번 설치한 실행 파일은 다른 PC에 그대로 옮겨 쓰지 못하지만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솔루션을 이용하면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닷넷, 자바, 시스템 DLL의 환경까지도 함께 묶어 놓기 때문에 어느 PC든 어느 환경이든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액침노광(Liquid Immersion Lithography)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노광기의 스테퍼와 웨이퍼 사이에 물을 넣어 미세 회로를 구현하는 방식. 액침 노광 기술은 기존의 불화아르곤(ArF) 광원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스테퍼와 웨이퍼 사이에 있는 물이 만들어 내는 빛의 굴절을 이용해 회로의 패턴을 더욱 미세하게 할 수 있다.
에지라인(edge line)
잉크 분사와 레이저 프린트 기술의 장점을 결합한 휴렛팩커드(HP)사의 초고속 프린트 기술. 잉크젯의 단순성과 레이저의 섬세한 용지 핸들링 기술을 채택하여 기존 잉크 분사 제품처럼 프린터 헤드가 움직이는 대신 용지가 움직이는 것이 특징으로 분당 최고 71페이지 출력이 가능한 초고속이며, 운영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엔드팹
반도체 제조 전체 공정 가운데 메탈 및 마무리 공정만을 처리하는 공정.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는 팹 공정은 트랜지스터·커패시터 제조를 위하여 이온을 주입하는 초기 공정, 커패시터 등을 생산하는 폴리 공정, 배선과 보호막을 씌우는 메탈 공정, 마무리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생산 절차는 초기 공정과 폴리 공정이 70∼75%, 메탈 공정과 마무리 공정이 25∼30% 수준이지만 메탈 공정과 마무리 공정을 처리하는 시간이 초기 공정과 폴리 공정에 비해 1.3∼1.5배 길다. 엔드팹은 생산 라인에서 병목 현상이 생기는 지점의 처리 능력을 이원화해 강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 효율성을 높인다.
엔터프라이즈 2.0(Enterprise 2.0)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해 웹 2.0 도구들을 기업 경영에 적용하는 것. 미국 하버드 대학교 앤드루 맥아피 교수가 처음 제시한 용어로, 6가지 구성 요소로 검색, 연결, 제작, 태그, 확장성, 신호를 제시하고, 웹 2.0의 기업적 활용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웹 2.0으로 총칭되는 블로그, 위키, 매우 간단한 배급(RSS) 등의 인터넷 기술과 문화가 개인적 차원을 뛰어넘어 기업 및 비즈니스 영역으로 파급되면서 소셜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은 기업의 직원과 외부 파트너, 고객이 함께 이용해 기업 경영과 가치 창출에 기여하게 한다. 웹 2.0과 엔터프라이즈 2.0은 모두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지만, 엔터프라이즈 2.0은 기업의 가치 창출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엔터프라이즈 2.0 SW는 최소한의 시스템과 자원을 필요로 해 설치와 운영 부담이 적고 인터페이스가 간단해 사용자 교육이 쉬우며, 웹 서비스와 공개 소스를 이용해 시스템 통합 및 유연성이 커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엘러먼터리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
아날로그 비디오와 오디오 콘텐츠가 MPEG 2 인코더에서 부호화와 압축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 디지털 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각 콘텐츠(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기본 엘러멘터리 스트림(ES)이 만들어진다. 즉, ES란 프로그램의 내용물이 부호화되고, 압축된 하나의 스트림인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ES는 패킷타이징(packetizing)이라는 과정과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라는 과정을 거쳐,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 흐름(PS)과 전송 흐름(TS)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오픈ID(Open Identification)
하나의 ID로 여러 사이트를 로그인할 수 있는 서비스. 신규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복잡한 가입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오픈ID를 발급한 사이트에서 사용자를 인증해주는 방식이다. 인증을 위해 오픈ID 발급사이트가 신규 사이트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승인이 필요한 사용자 중심의 ID 시스템이다.
웨이퍼레벨 적층 패키지(WSP, 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
차세대 D램 패키지 기술로서 관통 전극형(Throuth Silicon Via) 칩 접속 방식. 칩을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이곳을 통해 회로의 전극을 서로 연결시키는 관통 전극형 패키지 방식으로, 두 칩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간격이나 공간이 없어져 패키지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웹오피스(web office)
PC에 설치하는 기존 패키지용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웹상에서 내려받아서 사용하는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의 하나. 새로운 소프트웨어(SW) 유통 방식으로 고객에게 SW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한 만큼 대가를 지불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윈도 원캐어 라이브(Windows OneCare Live)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통합 온라인 보안 서비스. 방화벽과 안티바이러스, 안티스파이웨어, 백업 기능을 두루 갖추고 인터넷을 통해 모든 서비스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일반 소프트웨어처럼 업데이트 버전을 추가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유비쿼터스 터미널 컴패니언(UTC, Ubiquitous Terminal Companion)
인간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실감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미래형 단말기. 오감 및 환경 인식 센서 기술과 지능형 자가 판단 기술 등이 내장되어 실감 전달이 가능하고, 궁극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교감 전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노 기술을 융합한 오감 센서 기술은 물론 유니버설 칩, 자가 충전 장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음성 일회용 비밀번호(V-OPT, Voice One Time Password)
카드 내에 음성 칩과 스피커를 탑재, 비밀 번호 생성 과정에서 만들어진 소리를 암호화해 마이크(인터넷 뱅킹)나 전화(폰 뱅킹)를 통해 서버에 전달해 주는 일회용 비밀 번호. 이를 이용하면 이용자는 따로 인증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
이미지 스팸(image spam)
스패머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로 바꾼 메일. 유해한 내용이나 광고를 텍스트에 기반해 잡아 내는 스팸 차단 솔루션을 우회하기 위해 등장한 신종 기법이다. 그동안 대부분의 스팸은 텍스트로 구성이 되어 스팸 차단은 각종 텍스트 필터링 기술을 이용했다. 이에 스패머들은 새로운 기법으로 이미지를 선택하고 아웃룩 익스프레스나 선더버드 등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본문 내 이미지 첨부 방법을 악용해 이미지 스팸을 대량 발송하고 있다.
인간 중심 인터페이스(HCI, Human Centric Interface)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사람과 사람 사이처럼 자연스럽게 해주는 모든 기술. 다시 말해 사람과 이야기하듯 기계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입출력 장치의 고도화 기술과 멀티 모달 및 상황 인지 기술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인터넷 트래픽 관리(ITM, Internet Traffic Management)
네트워크나 서버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관리 방식. IT 인프라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버나 트래픽을 분산하는 방식이다. 접근 방식이나 알고리듬에 따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관리, 대역폭 관리 등으로 크게 구분되며, 서비스로는 빠른 콘텐츠 전송을 위한 캐시 서버,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다계층 스위치, 대역폭 관리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콘텐츠 배포를 빠르게 하는 콘텐츠 전송망(CDN) 등이 있다.
자율 통신(autonomous communication)
우리 몸의 자율 신경계처럼 통신 시스템들이 지능화되어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의 상태를 인식해 처리하도록 하는 개념.
저온 분사코팅(low temperature spray coating)
압축·팽창으로 생기는 초음속 기체 기류를 이용하여 분말이 코팅 대상물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점착되면서 코팅되는 기술. 저온 분사 코팅은 코팅용 분말을 가열해 코팅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상온에서 코팅이 가능해져 소재의 변형·변질을 막을 수 있고, 내마모성·내피로성·내열성·내식성 등을 크게 향상시켜 자동차·항공·선박·반도체 부품의 수명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처럼 열에 약한 소재나 산화하기 쉬운 알루미늄·구리 복합재 등 기존 고온 방식의 코팅을 적용하기 어려운 소재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적층 반도체 디스크(MLC SSD, Multi Level Cell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 셀 하나에 다수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적층시킨 반도체 공정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다수의 전압 레벨로 변화시켜 셀 하나에 다수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다중 레벨 셀(MLC) 기술을 반도체 디스크(SSD)에 적용한 기술이다. 따라서 기존의 SLC보다 소형, 고용량의 SSD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의 저장 시간은 SLC보다 길다는 단점이 있다.
전환형 디지털 비디오(SDV, Switched Digital Video)
시청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만 송출하는 기술. SDV는 시청자가 많이 보는 채널만 송출하고 여분의 대역폭에는 고화질 주문형비디오(VoD) 등 부가서비스나 광고에 활용할 수 있다. 시청자의 채널선택 정보를 기록해 생활스타일에 맞춘 마케팅도 벌일 수 있다.
정부 정보자원관리 프로세스 프레임워크(G-IRMPF, Government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Process Framework)
정부 부처들이 하나의 조직처럼 정보 자원 관리를 체계적이고 일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준. 정보 자원 관리는 행정 기관의 업무 목적 달성에 필요한 행정 정보 시스템, 행정 정보, 정보 기술, 정보화 예산, 정보화 인력 등 행정 정보 자원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계획, 구축, 운영 및 평가하는 활동이다.
중계국(transposer station)
다른 국에서 신호를 받아 또다른 채널로 재방송하는 송신국. translator는 단지 주파수만 변경하지만 transposer는 일반적으로 복조와 재변조 기능을 포함한다.
중성자 비 파괴 검사(neutron non-destruction inspection)
중성자가 물질을 투과할 때 물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기가 감쇠하는 현상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 방법. 기존의 X선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가 전자와 반응을 통해 검사를 하는 것인 반면에 중성자 비파괴 검사는 중성자가 원자핵과 반응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다른 검사와 달리 침투 정도가 훨씬 깊고, 분해능도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금속과 같이 밀도가 높은 물질이나 폭약류, 수소 화합물과 같이 가벼운 원소로 구성된 복합 물질의 비파괴 검사에 이용된다.
중소기업 로봇(SME 로봇,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로봇. 기존의 산업용 로봇 장비는 중소 업체들이 쉽게 적용하기에는 복잡하고 고가이다. 중소기업 로봇은 자동화의 사각 지대에 놓인 중소 업체의 생산성을 높이고 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로봇이다. 비숙련자도 쉽게 설치·운용할 수 있고, 사람과 같은 작업 공간에서 안전하게 협업이 가능하며, 가격대도 저렴해야 한다.
초 저가형 노트북PC(OLPC, One Laptop Per Child)
개발 도상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저렴한 교육용 노트북 PC 공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비영리 기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미국 MIT 교수의 ‘어린이에게 노트북 PC를’이라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초저가형 노트북 PC(OLPC)에서 계획하고 있는 노트북 PC는 ‘XO’라고 명명하고, AMD CPU, 리눅스 및 공개 소스 계통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다. 저장 장치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대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또한 개발 도상국의 열악한 전력 인프라를 고려해 자가 발전 형태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출력관리 서비스(MPS, Management Printing Service)
기업의 문서 출력 환경을 분석해 기업의 최적의 문서출력 환경을 구축해주는 하드웨어와 솔루션, 서비스가 결합된 상품. 원격으로 프린트기기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전문가가 알아서 출동하는 서비스로 기기의 수리, 토너, 용지교환은 물론 업무환경 개선 컨설팅, 문서보안 솔루션 등 전문화된 문서관리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통상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과금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MPS 도입은 기업입장에서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프린터 업체 입장에서는 기업 시장에 효과적으로 들어가고 매출 확대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텐츠 MD(Contents Manager)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해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상품 기획자. 의뢰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 콘텐츠로 가공·처리한 후 인터넷상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으로 ‘정보 검색사’ 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업체, 대학, 정부 기관 등에서 요구해 오는 자료나 통계 등을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즉시 보내 주거나 정기적으로 뉴스레터 형식으로 공급하기도 한다.
테라헤르츠파 발진기(tera hertz wave oscillator)
파장이 적외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에 속하는 초고주파 발진기. 테라헤르츠파 발진기는 조지프슨 접합 기술을 응용해 초고주파를 발진시키는 기술이다. 테라헤르츠파는 X선보다 안전하게 생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흉기 탐지나 물질의 비파괴 검사, 초고속 무선 인터넷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공학적 기법이나 광학적 기법으로는 테라헤르츠파의 발진이 어려워 소자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국내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테라헤르츠파 발진기를 개발했다.
텍스타일 센싱 밴드(TSB, Textile Sensing Band)
심장 근육의 수축에 따른 활동 전위를 전달받아 생체에 관련된 호흡, 심박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해 주는 센서. 텍스타일 센싱 밴드(TSB)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 조치 및 환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만성 질환자, 노인 등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운동 처방 및 조절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소방, 경찰, 군 작전 등의 위험 업무를 위한 작업복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텔레비전피시(TVPC)
텔레비전과 PC의 기능을 복합한 단말기. TV 내부에 PC를 내장한 것으로, TV를 시청하면서 인터넷 접속이나 문서 작성 등 다양한 PC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 호출도 가능하다. 리모컨으로 간편하게 TV 또는 PC로 전환할 수 있고, 버튼 하나로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넷 지식 검색 결과를 확인하거나 관련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통합 커뮤니케이션(UC, Unified Communication)
메신저, 이메일, 전화뿐 아니라 영상 회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든 의사 소통 수단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통합 커뮤니케이션(UC)은 네트워크와 통신 장비, 소프트웨어 등을 통합하여 기업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통합된 사용 환경으로 구현한다. UC를 도입하면 회사 내의 장소와 무관하게 신속한 의사 소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스마트 폰을 활용한 모바일 오피스 환경으로의 확장도 가능하게 한다.
파이로 프로세스(pyroprocesser)
사용한 핵연료를 핵 확산 위험성이 없도록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기술. 고온의 용융염 매질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핵연료를 처리하는 기술로, 맨 먼저 핵연료를 금속 물질로 변환시키고, 이를 다시 유사한 고온의 용융염 매질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우라늄만을 회수한다. 그 후 다시 전기를 이용하여 잔여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포함한 미량의 핵물질군을 함께 회수한다. 회수된 핵연료 물질은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고속로에서 전기를 생산하면서 모두 안정한 원소로 변환시켜 주기에 핵연료가 지니는 위험성은 거의 없다. 또 사용 후 핵연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융염 폐기물은 거의 대부분이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버리지 않고 원래의 공정 시스템으로 순환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재처리 기술의 위험적 요소를 제거하고,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규모도 기존의 직접 처분에 비해 100배가량 감소시킬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포럼/콘소시엄 표준(Forum Specification)
몇몇의 복수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결합하여 포럼 또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제정하는 표준. 사실 표준이나 시장 표준에서 낙오된 후발 주자들이 연합하여 승자인 선두 기업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단일 표준이 시장을 지배하지 못한 경우 동일 분야에서 복수의 포럼을 구성하여 패권을 다투는 경우도 있다. 포럼 표준은 시장에서 승리하여 시장 포럼이 되거나 공식 표준화 기구에 제안하여 공식 표준이 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포럼 표준은 잠정 표준이라 하고 명칭을 규격(Specification)이라 한다.
포렌식 워터마킹(Forensic Watermarking)
상영되고 있는 영화의 비디오 카메라 녹화를 통한 콘텐츠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녹화된 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어느 스크린에서 촬영되었는지, 필요하다면 극장 내 어느 위치에서 촬영되었는지 등까지도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 유출의 경로까지 파악할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얇은 금속 필름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광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분과 양을 측정하는 기술. 금속 필름에 독성 물질들이나 항독소 항체 분자들(antitoxin antibody molecules)이 부착되고,부착된 분자들은 광선의 굴절 방법에 변화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광선 강도의 변화를 광학적 검출기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식품 시료에 함유된 독소 물질들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브카드(probe card)
반도체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하여 반도체 칩과 테스트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 프로브 카드에 장착되어 있는 프로브 바늘이 웨이퍼를 접촉하면서 전기를 보내고, 그때 돌아오는 신호에 따라 불량 반도체 칩을 선별한다.
프로테옴(proteome)
프로테인(단백질)과 옴(전체)의 합성어로 단백질의 총합.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으로 인간 유전자를 모두 해독하더라도 세포나 조직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백질의 정체가 연구되지 않으면 생명의 신비를 밝혀 내는 데 한계가 있는데 이것을 밝히는 것이 프로테옴 프로젝트이다.
플라즈마 라이팅 시스템(PLS, Plasma Lighting System)
전극이 없는 전구(bulb)에 고주파(2.4GHz)를 입사해 플라스마를 발생시키고, 플라스마로부터 가시광선이 방출되는 원리를 응용한 조명 장치. 플라스마 라이팅 시스템(PLS)은 기존의 조명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전극, 필라멘트, 수은을 사용하지 않고, 형광체가 아닌 비형광체 발광이란 점에서 신개념의 조명 시스템이다. 손톱 크기의 PLS 전구로 축구공만한 가로등 이상의 밝기를 낼 수 있을 만큼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이며, 수명도 반영구적이다.
플렉시블 박막트랜지스터(flexible TFT)
무기물 반도체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로 용액 상태의 무기물 나노 입자를 이용해 트랜지스터 활성층 형성 온도를 150℃로 낮춰 플라스틱 기판 위에 플렉시블 박막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전자 종이, 스마트 카드 등에 응용이 기대된다.
피셀(pCELL)
SK 텔레콤이 상용화한 네트워크 방식의 위치 기반 솔루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이 아닌 네트워크 방식으로 가입자의 동선을 유추해 건물 내부 등 GPS 음영 지역에서도 수십 미터 오차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추적 기술이다. 따라서 수 km에 이르는 셀 단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셀 ID 방식보다 5배 이상의 정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보안 토큰 (HSM, Hardware Security Module)
전자 서명 생성 키 등 비밀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 보관할 수 있고 기기 내부에 프로세스 및 암호 연산 장치가 있어 전자 서명 키 생성, 전자 서명 생성 및 검증 등이 가능한 하드웨어 장치. 기기 내부에 저장된 전자 서명 생성 키 등 비밀 정보는 장치 외부로 복사 또는 재생성되지 않으며 스마트 카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토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다.
2006년 2차 신기술동향
관계기술(RT, Relation(al) Technology)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기술위주로 발전하는 정보기술(IT)에 나와 너, 사람과 사람 등 문화, 인문학 등의 논리위주의 관계기술(RT)이 접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어령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웹2.0이 독자참여형이고 개방형을 의미한다고 할 때 이를 이끌어 가는 논리의 주축은 RT가 되며, RT에서는 가나다, .. ABC와 같은 기술적인 순서보다는 사람들의 관심에 따라 무작위로 순서가 정해지는 폭소노미(folksonomy)가 더 큰 의미가 있다. 현재, 다수 소비자들의 RT에 의해 탄생된 인터넷 사전(위키피디아)이나 블로그는 기존의 그 어느 전문 제작자의 제품도 능가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디지로그(digilog)
Digital과 Analog의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정서가 결합한 제품과 서비스, 또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가는 변혁기에 위치한 세대.
디지털의 장점을 수용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날로그 시스템으로 구성된 제품을 일컫는다. 아날로그적 사고는 디지털 사회에서도 여전히 필요한 요소이며 아날로그적 행태가 디지털 사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 준다는 인식 아래 첨단 외양에 인간적 정감과 추억이 깃든 상품에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말이다.
롱테일(Long tail)
1년에 단 몇 권밖에 팔리지 않는 '흥행성 없는 책'들의 판매량을 모두 합하면, 놀랍게도 '잘 팔리는 책'의 매상을 추월한다는 온라인 판매의 특성을 이르는 개념.
20%의 핵심고객으로부터 80%의 매출이 나온다는 유명한 파레토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역(逆) 파레토 법칙'이라고도 한다. 무한대의 진열이 가능한 인터넷 서점 '아마존닷컴'에서 일 년에 몇 권 안팔리는 80%의 소외 받던 책들의 매출 합계가 20%의 베스트셀러들의 매출을 능가하는 의외의 결과를 두고 인터넷이 가져다준 유통혁명과 관련지어 미국의 인터넷 비즈니스 잡지 와이어드의 크리스 앤더슨 편집장이 만든 개념이다.
망중립성(network neutrality)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망운영의 근본적인 원칙으로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차별ㆍ상호접속ㆍ접근성 등 3가지 원칙이 모든 통신망에 동일하게 적용되야 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초 미국에서 처음 언급되어, 유럽연합(EU)가 정보사회보고서에서 망규제는 상호접속 및 상호운용성을 요구한다.
반달리즘(Vandalism)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개된 문서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엉뚱한 제목으로 변경하고 낙서를 하는 일.
스팸을 끼우거나, 내용의 부분 혹은 모두를 지우고, 내용을 고의로 왜곡시키거나, 문서의 내용과 무관한 선전 광고를 일삼는다. 욕을 써넣거나 저질의 낙서를 하고, 불쾌감을 주는 그림을 올리며, 남을 비방하는 글을 써넣는다. 반달행위에 대해 관리자는 해당 IP와 ID에 대하여 접속 차단, 명단 발표, 그리고 법적 경고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유럽 중세시대의 민족이동 당시에 악평이 자자하던 반달족의 무자비한 로마문화 파괴 및 약탈 행위를 비유하는 말이다.
보안서버(secure server)
인터넷상에서 전송되는 자료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서버(웹 사이트).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보안 서버는 H/W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웹 서버에 SSL 인증서를 설치하는 'SSL 방식 보안 서버'와 암호화 툴키트를 적용하여 암호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방식 보안 서버'가 있다.
부요 리눅스(Booyo Linux)
공개소프트웨어 리눅스의 한국형 데스크톱 및 서버용 운영체제 표준 배포판. 국내 관련 기업과 소프트웨어진흥원 그리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협력하여 개발하고, 공인인증기관인 TTA의 인증을 받은 국내의 표준 리눅스 플랫폼이다. 특정 업체가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상업 소프트웨어와 달리 공개소프트웨어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기 때문에 수많은 배포판이 존재하게 된다. 공개소프트웨어의 대표격인 리눅스만 해도 레드햇, 수세 등을 포함해 전 세계 수백여개 배포판이 있으며, 국내에도 여러 배포판이 난립하고 있어 이들 제품간의 호환성 문제가 공개 소프트웨어의 확산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인터넷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어 유통되는 콘텐츠. 사용자가 질문하고, 또한 사용자가 각종 지식과 경험을 댓글해 주는 포털의 지식검색 서비스나 위키(wiki)사전 등이 UCC의 효시라 할 수 있다. UCC는 텍스트에 이어 최근 이미지·동영상·음악 등 멀티미디어로 분야를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웹2.0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정보들 창조하고, 공유할 수 있어이 또한 향후 유통되는 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소셜 서치(social search)
불특정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특정 질문에 답변을 제시하거나 또는 공통적 관심사가 포함된 웹사이트나 여타 자료원으로의 링크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서비스. 누구나 질문을 올릴 수 있고 전문가나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로부터 이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질의응답 또는 지식검색 사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순한 검색엔진과는 달리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새로운 검색 영역을 개척할 수 있어 포털 사이트들의 중요한 사업 형태로 인정받고 있다.
시야각(Viewing Angle)
화면 표시장치에서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 있는 최대한의 측면각도.
브라운관과는 달리 액정 디스플레이는 보는 각도에 따라서 밝기, 또는 명암비가 크게 변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명암비가 어느 값 이상 유지되는 각도를 시야각으로 표현한다. 수평 시야각 160˚는 정면을 0˚로 하여 좌우 각각 80˚범위에서는 정상적인 밝기로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식별(ID, IDentification)
사람이나 객체의 유일성을 확인하는 절차, 또는 사용자 식별 부호(ID).
식별, 신원 증명, 신원 확인 등의 뜻으로, 패스워드와 함께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통신망에서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중받는 절차의 필수요소이다. 사용자의 신원확인을 위해서는 내부의 객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식별(identification)하고, 인증(authentication)하게 되는데, 이때 식별은 ID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 자신이 다른 사람과 중복되지 않는 유일함을 확인하는 과정이며, 인증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하여 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된다. 일반적으로 ID는 15자 이내의 영문자나 숫자를 조합한 문자열로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도록하여 사용자 자신이 선정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망에 접속할 때는 ID와 함께 패스워드도 입력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주 컴퓨터는 입력된 ID와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그것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면 접속을 허가하게 된다. ID는 타인에게 알려져도 문제가 없지만, 패스워드가 알려지면 타인이 무단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우려가 있으므로 잘 관리해야 하며, 변경이 가능하다. 게시판 등에서는 ID 대신 별명을 사용하여 ID의 무분별한 공개를 피하기도 한다.
심리스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서비스 품질(QoS)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 QoS는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면에서의 핸드오버만을 의미하는 일반 핸드오버에 대응되는 말이다.
안티스파이웨어연합(ASC, Anti-Spyware Coalition)
스파이웨어 대책 소프트웨어 업체와 소비자 단체들로 구성된 비영리 민간 기구. 스파이웨어에 대한 정의와 인터넷 이용자의 충분한 동의 없이 설치 되어 개인정보의 수집, 사용 등 사용자에게 해가 될 가능성 있는 기술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인터넷 이용자들을 괴롭혀온 귀찮은 프로그램을 검출하고, 평가해, 이를 예방하는 표준적인 가이드 라인을 발표한다.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가하면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 힘을 가해 변형을 주면 표면에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소자가 이동하거나 힘이 발생하는 현상. 압전 효과를 이용한 대표적인 제품은 마이크로폰, 스피커, 초음파 탐지기, 수정시계 진동자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같은 크기의 소형 모터보다 출력이 높고 소음이 적은 점 때문에 휴대폰 카메라모듈의 줌/자동초점 기능을 위한 렌즈 구동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One Source Multi Use)
우수한 기획을 통해 제작된 1차 콘텐츠를 시장에 성공 시킨후 재 투자 및 라이센스를 통해 2차, 3차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전략으로써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매체로 이용하거나 2차 제작물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식. 일례로 인기를 모았던 드라마 경우 지상파, 위성, CATV,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방송되고, 영화도 극장 개봉을 거쳐 비디오로 출시, 방송에서 방영되기도 하며, 수출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캐릭터 상품까지 만들어 원소스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웹 2.0(web 2.0)
제공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누구나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웹 환경. 기존 웹에서는 포털 사이트처럼 서비스 업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수신만 하는 형태였으나 웹 2.0 환경에서는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웹 2.0의 대표적인 예로, 구글이 제공하는 구글맵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개인의 홈 페이지에 연결하여 이용하는 부동산이나 여행 안내 사업이 있다. 웹 2.0의 근본 개념은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이끌어 가는 문화, 집단 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정보의 공유 등이며, 기술로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블로그에서 주로 사용되던 매우 간단한 배급(RSS)이나 트랙백(TB), 비동기 자바 스크립트와 XML(AJAX)과 같은 표준 기술들을 활용한다.
인터넷 개인식별번호(i-PIN,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웹 사이트에 주민 등록 번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 번호로서 인터넷상에서 주민 등록 번호가 유출되어 도용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만든 서비스. 이용상의 불편과 연계 기능 보완을 위하여 i-PIN 2.0에서는 i-PIN 통합 ID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 절차를 2단계로 줄였고, 발급 과정에서 불필요한 동의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전자정부(eGov, e-Government)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온라인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객의 접근과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형 정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서비스체계를 일원화하고 공개함으로써 정부업무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대민 서비스의 전자적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전자정부의 구현목표는 첫째, 국민 지향적 대민 서비스 실현과 둘째, 정부, 기업 간 업무처리의 효율성과 투명성 극대화, 셋째, 정부행정업무 처리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극대화, 넷째,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유통 인프라 구축이 있다.
체감 품질(QoE, Quality of Experience)
서비스 이용자가 각자의 기대치(expectation)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의 총체적인 허용도.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척도로서는 NP(망성능)와 QoS(서비스품질), QoE 등이 있다. NP는 망 자체의 성능이 중심이 되고, QoS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제공할 수 있는 품질로서 이들은 서비스를 받는 개개의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한 서비스에 대하여 기대하는 기대치를 근거로 규정하는 품질 척도가 QoE이다. 품질은 좀 낮아도 요금이 싼 서비스가 최고 품질의 서비스보다 QoE가 더 높을 수 있다.
퀵돔(Quickdom)
영어의 'Quick'과 'Domain'이 결합된 합성어로, 2단계 영문 kr도메인의 브랜드명. 퀵돔은 xxxx.kr과 같이xxxx.co.kr과 같은 3단계 형태의 도메인에 비하여 짧은 형태의 도메인으로 기억하기 쉽고 주소창에 입력하기도 간편하다.
키 페어(key pair)
공개키 암호 알고리듬에 사용되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쌍. 두 개의 키는 서로 수학적인 방법에 의해 암호화 및 복호화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원래의 평문을 추출할 수 있음. 개인키와 공개키 쌍은 1개는 암호화에 이용되고 또 다른 1개의 키는 복호화에 이용된다.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
킬러 애플리케이션은 줄여서 킬러 앱 이란 말로 시장에 나오자마자 기존의 사회구조나 산업을 변화시키고 시장을 재편하는 것은 물론 완전히 새로운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위력적 기술이나 서비스를 의미하며 “킬러”라는 단어를 쓴 것은 “기존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어 놓으며, 여기에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된다”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미국의 주식 투자가들이 실리콘밸리나 보스턴의 테크놀러지센터와 같은 곳에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둠'이나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발명품들을 '킬러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르면서 명명되었다.
태그달기(tagging)
콘텐츠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검색용 꼬리표인 키워드, 또는 태그(Tag)를 다는 것. 글을 올린 사람이나 사이트 관리자가 글이나 이미지를 관련된 주제나 카테고리의 형태로 분류될 수 있도록 키워드 처리를 해주는 것으로서 주로 블로그나 웹 페이지 상에서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태깅이 된 글이나 콘텐츠의 태그는 태그를 종합 관리하는 사이트에서 주제나 카테고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어 나열되므로 일반 사용자들은 이를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를 찾아가게 된다.
택소노미(Taxonomy)
가나다, ... ABC, ...와 같이 표준화되고 체계적으로 분류된 전통적인 분류학(taxonomy) 기반의 분류체계. 트리형의 위계적 구조로서 이미 결정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스어로 ‘분류하다’라는 ‘tassein’과 ‘법, 과학’이라는 ‘nomos’의 합성어로 사람들에 의해 이해되는 관계를 기준으로 분류되는 폭소노미(folksonomy)에 대비되는 용어이다.
통합 리모컨(Universal Remocon)
하나의 리모컨에 다수의 제어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 코드들을 구비하여 각각 또는 동시에 대상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근래에는 TV, 오디오, VTR, DVDP, 에어컨 등 한 가정에서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고, 기기마다 리모컨이 있어 많은 수의 리모컨을 관리하기도 어렵고, 각각의 리모컨 조작법을 익히기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통합 리모컨은 리모컨에 미리 여러 개의 제어코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필요시에 모드 전환 버튼 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방법과 종래의 리모컨 장치에 추가하여 다수의 제어명령 코드를 구비한 셋톱 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2006년 1차 신기술동향
e-폐기물(e-waste, Electronic waste)
오래된 휴대폰, PC, TV 등 전자 장비 및 부품에서 나오는 쓰레기. PC의 브라운관과 납, 수은, 코발트를 포함한 각종 부품들은 장비 폐기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전자 쓰레기 문제가 세계 문제화되어 e-사이클링 등 오래된 전자 장비 재사용과 독성이 없는 대체 부품의 사용이 촉진되고 있다.
e-폐기물처리지침(WEEE,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생산자의 폐전기·전자제품에 대한 회수와 품목별 재활용 목표를 의무화하는 유럽연합(EU)의 전기·전자장비 폐기물처리 지침. 2005년 8월 13일부터 실시된 것으로 EU 25개국 내에 버려지는 폐전기·전자제품은 생산 또는 수출자가 직접 회수 및 처리하고, 품목별로 재생의무비율을 준수해야 하며, 이 규정을 지켜야만 수출·판매할 수 있다. 대상 제품에는 이 지침이 적용됨을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로고가 부착된다.
TV 뱅킹(TV banking, TeleVision banking)
텔레비전 방송이나 IPTV의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예금 조회, 자금 이체 등을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소파에 앉아서 편하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소파 뱅킹'이라고도 한다. 각종 예금 조회, 자금 이체, 공과금 납부, 금융 상품 안내, 사고 신고 등 인터넷 뱅킹 수준의 서비스를 집 안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u-시티(u-City, ubiquitous-City)
도시의 모든 시설물이 정보 기술(IT)로 지능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며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주는 도시.
u-헬스(u-Health, ubiquitous-Health)
정보통신과 보건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e-Health가 시민, 환자, 보건의료기관, IT 기업, 솔루션 업체 사이에서 전자적으로 보건의료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라면 u-Health는 이들을 포괄하는 물리적 공간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첨단 보건의료 기술의 전자적 공간을 연결하여 보건의료 대상자의 삶과 진료가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건의료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보의 디지털화, 통신의 광대역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멀티미디어 처리 및 저장 기술의 발전, RFID를 비롯한 각종 유비쿼터스 환경의 등장으로 u-Health의 현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전자우편, 채팅, 게시판, 뉴스그룹, 블로그, 게임, 포럼 등 인터넷을 통해 형성된 사람들의 온라인 집단. 관심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상공동체가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고, 또한 오프라인 공동체와의 연계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공동체가 실존하는 인간 중심의 통제와 구속력이 있는 반면에 가상공동체는 단순히 인간사이의 연계나 상호 이해관계에만 의존하는 것이어서 구성원으로서의 의식과 통제력이 약하다. 따라서 가상공동체는 공동체로서의 정확한 정의나 법적인 지위는 아직 부여되지 못하고 있다.
가상 인터넷 주소(VIPA, Virtual IP address)
실제 인터넷에서 정식으로 부여 받은 주소가 아니고 시스템 자체나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만 통용되는 네트워크 주소. localhost인 127.0.0.1이나 공유기 설정에 사용되는 192.168.x.x와 같이 각종 도메인 시스템이나 서버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중복 사용되는 인터넷 주소가 그 한 예이다. 또한, 배정받은 IP 주소가 부족하거나 여러 서버의 트래픽을 도메인내에 분산 처리할 경우 또는 인터넷 통신 중에 발생하는 네트워크 장애에 대비하여 여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경로를 자동으로 라우팅하게 할 때 사용된다. 실제 네트워크 통신은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카드 중 통신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주소에 의해 결정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가상화(Virtualization)
가상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기초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 장치들은 실제 물리적인 위치와 실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통로에 관계없이 가상 세그먼트에 연결이 된다.
감각 인터페이스(haptic interface)
피부가 물체 표면에 닿았을 때 느끼는 촉감이나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이 방해될 때 느껴지는 감각적인 힘을 통한 인간과 장치와의 정보 교환 시스템, 또는 장치. 시각, 청각과는 달리 피부 감각의 정보 표현 방법은 아직 체계화되고 표준화된 형태가 없지만 피부를 통한 자극의 전달 속도가 20ms로 시각에 비해 5배나 빠르고, 사람의 피부 면적은 약 2m2로 신체 기관 중 가장 큰 조직이므로 착용형 컴퓨터 등 향후 인간과 컴퓨터가 밀접환 환경이 될 때 정보의 인지와 표현을 위한 필수 통신 채널로 여겨지고 있다.
광학 줌(Optical Zoom)
여러 개의 조합된 렌즈의 동작으로 초점 거리를 줄이거나 늘려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 기능. 디지털화된 이미지의 일부를 다시 확대하는 디지털 줌과는 달리 선명도나 색도 등 화질의 저하가 없다. 광학 줌이 한계에 다다를 때에는 보다 크게 확대하기 위해 추가로 디지털 줌을 사용하기도 한다.
광 확산판(LDP, Light Diffusion Plate)
점이나 선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면에 따라 확산시켜 화면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해주는 반투명 부품. 형광등을 여러 개 넣어 만든 광고 간판의 아크릴 판이 광확산 역활을 한다. LCD 모니터에서는 보호판·반사판과 함께 백라이트유닛(BLU)의 필수 부분으로서, 주로 필름 형태나 고순도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고른 확산이 되도록 경사도 유지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최근에는 고른 면광원을 사용하여 확산판이 필요 없는 BLU도 등장하고 있다.
글로벌 로밍(global roaming)
개인이 사용하는 휴대폰을 가지고 해외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로밍 서비스는 사업자간의 협약에 의해 이루어지며, 여기에 기술적인 요인과 비즈니스적인 요인의 해결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GSM이나 CDMA 등 여러 이동통신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겸용 단말기와 멀티밴드 지원 기능이 필요하고, 로밍 서비스에 필요한 사업자간 제반 협의와 상호협약이 체결되어야 하는데, 상호협약은 사업자간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관세, 사업자 특화된 요구, 부가가치 서비스 등과 관련된 조항을 포함한다. 현재 우리 나라의 로밍 서비스는 CDG International Roaming team의 주도 하에 CDMA 국가의 사업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통해 자동로밍 서비스에 필요한 협의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 로드맵(technology roadmap)
제품이나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 대안들을 발굴, 선정하고 그들간의 관계를 시간 좌표로 표시하는 과정. 이를 기반으로 관련 프로젝트의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기술기획(Technology Planning)이 추진된다. 기술 로드맵은 성능 목표(Performance Target)에 도달할 수 있는 핵심 기술 혹은 기술 격차(Technology Gap)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구성원들간 연구활동을 조정함으로써 R&D 투자 관련 의사결정을 조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에 과도한 투자를 하거나 중요 기술들을 간과하는 일을 피할 수 있고 핵심 기술들을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정부 차원에서는 R&D 예산의 효율적인 배분을 가능케 한다. 기술 로드맵은 작성 주체에 따라 기업, 산업/협회, 정부주도의 기술 로드맵으로, 그리고 용도에 따라 제품 기술(Product Technology) 로드맵, 유망 기술(Emerging Technology) 로드맵, 이슈 관련(Issue-oriented) 로드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나노 기술(NT, Nano Technology)
나노스케일 즉 수nm에서 100nm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물리적 화학적 현상 및 특성을 연구하고 이용하는 기술. 양자역학이란 새로운 물리법칙 아래 물질의 분자 혹은 원자 수준을 조절하는 초미세 극한 기술로서 물질 내부의 전자가 갖는 에너지가 기존 물질과는 판이하게 다르고, 같은 물질이라도 촉매활성, 자기 특성, 광학 및 전자 특성 등에서 전혀 예기치 못한 성질이 나타나기 때문에 나노스케일에서의 물질을 제어하게 되면 이는 곧 엄청난 기술혁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나노의 세계를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1959년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리처드 파인만 (Richard Phillips Feynman; 1918-1988)이다.
능동 태그(Active tag)
전파식별(RFID) 시스템에서 자체 전원이 내장된 태그. 태그에 전지가 내장되어 자체 전원으로 식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수동형 태그보다 통달 범위가 좀더 길다.
디지털 기회 지수(DOI, Digital Opportunity Index)
인터넷 보급률 같은 인프라 보급과 소득대비 통신요금 비율 등 기회 제공, 인터넷 이용률 등을 종합 분석해 해당 국가의 정보통신 발전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지표. DOI는 정보사회 정상회의(WSIS)에서 채택한 공식지표, OECD, UNCTAD, UNESCO 등 11개 국제기구가 합의한 검증 가능한 데이터만으로 산출하여 ITU가 발표하는 공신력 높은 지표로서, 2005년 튀니지에서 열린 WSIS에서 우리 나라가 DOI 지수 세계 1위임이 공식 발표된 바 있다.
디지털 배달(Digital Delivery)
고객에게 비즈니스 서비스를 전달하는데 있어 e-비지니스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지원되고 수행되어 시간 독립적으로 다른 장소 및 조직에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 서비스 산업에서 시장의 접근 폭을 넓히고(Reach), 고객과의 풍부한 상호작용(Richness)을 가능케 하는 e-비지니스의 보완적·지원적 수단으로 발전 잠재력이 상당히 높아 SW 및 IT 서비스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 역공학)
완성된 제품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제품의 기본적인 설계 개념과 적용 기술들을 파악하고 재현하는 것. 설계 개념→개발 작업→제품화의 통상적인 추진 과정을 거꾸로 수행하는 학문이다. 보통 소프트웨어 제품은 판매시 소스는 제공하지 않으나 각종 도구를 활용하여 컴파일된 실행 파일과 동작 상태를 정밀 분석하면 그 프로그램의 내부 동작과 설계 개념을 어느 정도는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면 크랙, 즉 실행 파일을 수정하거나 프로그램의 동작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유사한 동작의 복제 프로그램이나 보다 기능이 향상된 프로그램도 개발해 낼 수가 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역공학 자체는 위법 행위가 아니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이의 금지를 명문화 하고 있어 이러한 수법으로 개발한 제품은 지적 재산권을 침해할 위험성이 있다.
마이크로 연료전지(MFC, Micro Fuel Cell)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초소형, 초경량 연료전지. 작은 용적에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고, 카트리지를 이용할 경우 충전도 간편하며, 연소과정과 기계적 에너지로의 변환과정이 없어 효율도 높다. 또한 유해가스의 배출이 1% 이하로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원이다.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C: PEMFC)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C: DMFC)가 주로 연구되는데 DMFC는 소형화에 적합하고, PEMFC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운용 온도가 낮기 때문에 휴대형 가전제품에 적합하다.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무선인터넷 망의 데이터 서비스에 추가하여 음성전화급의 인터넷전화(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VoIP를 이동성 정도에 따라 고정 VoIP(Fixed VoIP)와 모바일 VoIP(Mobile VoIP)로 분류할 때 초고속인터넷 망을 이용하면 고정 VoIP이고,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HSDPA나 와이브로와 같은 무선인터넷 망에 기반을 두면 모바일 VoIP이다. 네트워크가 ALL-IP화나 무선 기술이 미처 이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는 현재의 환경에서도 통화 품질은 다소 떨어지나 거의 무료에 가까운 통화료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와이브로, 와이맥스, 그물형 망, 3G(WCDMA, HSDPA) 등 새로운 모바일 기술들에 모바일 VoIP를 접목해 이동통신 서비스의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려는 움직임들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 프린트(mobile printing)
휴대폰, 카메라 등 모바일기기에서 찍은 사진을 PC없이 바로 프린터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것. 적외선방식(IrDA)나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무선방식과 PictBridge라고하는 USB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방식이 있다.
모의 해킹(Penetration Testing)
인가받은 해킹 전담 컨설턴츠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대상 서비스와 서버에 대해 실제 해커가 사용하는 해킹도구와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으로의 침투 가능성을 진단하는 선의의 해킹(ethical hacking). 웹, 메일, 메시징 등 대내외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는 웹서버, DB서버, 방화벽, 라우터, 스위치 등의 장비가 대상이다. 모의해킹은 취약점의 발견 이외에도 내부 시스템에 어느 정도까지 침투할 수 있고, 어떠한 정보나 시스템의 관리 권한을 불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진단 모듈에서 발견된 취약점들이 어떻게 해킹에 이용되는지 등을 점검한다. 모의 해킹을 통해 불법 침입의 가능성이 발견될 경우, 취약한 부분에 대한 대응책 및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보안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모의해킹은 주로 자동화된 프로그램이나 전문 서비스 업체에 의뢰하여 실시간으로 수행되거나 방어팀과 해킹팀을 구성하여 사이버 대결 형식으로 진행된다.
무전극 램프(induction lamp)
외부로부터의 전압이나 전류 인가용 전극이 없는 형광 방전 램프. 고효율, 고연색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일반 전구와는 달리 내부에 필라멘트가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므로 보수교환이 어려운 시설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원리는 방전관 외부에 설치된 코일에 고주파가 흘러 발생된 자기장이 방전관을 통과하면 패러데이의 원리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된다. 이 기전력에 의해 여러 가지 가스가 혼합된 방전관 내에서 전자가 가속되어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여기에서 나온 자외선은 유리관 내부에 도포된 형광체를 자극하여 조명에 알맞는 편안한 가시광선만을 방출하게 된다.
묶음 서비스(bundling service)
시내전화와 장거리전화, 인터넷, 무선전화, 무선호출 등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들을 묶어서 단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결합서비스는 마케팅 통합(commercial convergence) 측면에서 서비스의 단순묶음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서비스 제공자들은 유사 부문의 통폐합에 의한 비용절감과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고, 소비자들은 요금 할인 또는 요금청구 단일화(single billing) 등의 혜택을 받는다.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
사람의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고 분석하여 정확하게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 광의로는 생물 데이터를 측정ㆍ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하나 특히, 정보 기술에서는 지문, 눈의 망막 및 홍채, 음성, 얼굴 표정, 손 측정 등 인증 목적으로 사람의 신체 특성을 측정ㆍ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측정 장치는 스캐너,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데이터의 정합점을 비교하여 알고리듬으로 처리한다. 또한 지문, 표정, 기타 데이터를 스마트 카드에 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바이오 여권(bio passport)
지문, 얼굴, 눈동자의 홍채 등 소유자의 바이오 매트릭스(생체 정보)가 저장되어 출입국시 본인임을 보다 정밀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여권. 9.11 테러사건 이후 강력한 출입국 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 됨에 따라 도입이 본격화 되기 시작하였으며, ICAO 와 ILO가 중심이 되어 ISO/IEC JTC 1/SC 17(IC카드의 접촉식, 비접촉식 IC 칩규격), SC 27(PKI 등 바이오 정보 보호 기술), SC 37(인터페이스, 데이터포맷 및 전반적인 바이오 인식기술)을 비롯한 각종 표준화된 기술을 준용하는 바이오 여권의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백색 LED(white LED, white Light Emitting Diode)
흰빛을 발광하는 LED. 백색 LED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청색 또는 자색 LED 칩에 형광 물질을 결합하여 백색을 얻는 단일칩 방법과 서로 보색 관계에 있는 2개의 LED를 결합하거나 몇개의 LED칩을 조합하여 백색을 얻는 멀티칩 방법이 있다. 백색 LED는 기존의 광원에 비해 극소형으로서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예열시간이 없어 빠른 응답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과 같은 유해파 방출이 적고, 수은 및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조명 광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복제폰(clone cellular phone)
다른 휴대폰의 고유번호(ESN:Eletronic Serial Number)가 복제되어 입력된 휴대폰. ESN은 휴대폰의 관리를 위해 사업자가 부여하는 고유 번호로서 사용자 관리 및 요금 청구의 기준이 된다. 휴대폰 복제는 ESN을 알아 내는 기기를 이용하여 ESN과 전화번호를 직접 읽어 내거나 통신회사의 자료를 입수하여 이루어 진다. 복제 휴대폰은 요금을 전가하거나, 통화 노출을 숨기는 경우, 타인 휴대폰의 불법 도청, 도난 휴대폰의 판매 사기 등 주로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되므로 ESN을 제공하거나 제공받는 것, 복제하는 것, 복제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불법복제를 의뢰한 것 모두가 처벌 대상이 되고 있다.
상호인정협정(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정부 혹은 민간기관이 수행하던 시험, 인증 등 적합성 평가절차를 협정을 맺은 당사국간에는 상대국 승인기관이 대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를 상호 채택하는 협정. 안전, 보건, 환경 및 소비자 보호 등을 위해 각국이 정한 규제품목에 대한 시험, 인증, 적합성 평가 등을 수입국이 아닌 수출국 정부의 기관에서도 행할 수 있도록 수락하는 일련의 협정 활동으로 수출 제품의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기술장벽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무역상기술장벽협정의 취지에 부합한다.
색 공간(color space)
일반적으로 적, 녹, 청 3원색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색 모델 좌표계에서 나타낼 수 있는 색상의 범위. 사람의 눈은 전자 장치가 복사할 수 없는 다양한 색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포괄적인 색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효율적인 컬러 영상처리를 목적으로 개발되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CIE(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국제조명위원회) 색도도가 주로 사용된다. 모니터나 프린터가 재현하는 색상의 범위. 색상 범위(color gamut)와 같은 의미이다.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
CPU, 메모리, 입출력 등 단일 플랫폼 상의 서버 자원을 사용자가 여러 도메인이나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 분할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물리적으로 한대의 시스템 상에서 윈도우나 리눅스 등 각기 다른 운영체제의 다양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서버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서버 가상화는 자바 가상머신처럼 현재의 운영체제 위에 가상머신을 만들어 마치 컴퓨터가 여러대 있는 것처럼 시스템을 구축하여 동시에 운영하는 방식과 하드웨어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운영체계를 얹는 방식, 그리고 다중 운영체계와 하드웨어 사이에 가상화의 계층을 두는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소프트웨어 로봇(software robot)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세계 객체와 통신하며, 언제, 어디서나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새로운 지능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로봇은 일반 로봇과 마찬가지로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할 일을 계획하며, 그 결과를 수행하거나 그 행위를 로봇이나 주변의 다른 기기에 대행하도록 한다. 또한, 나를 알아 보고 내 말을 알아 들으며,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현재의 상황을 이해해서 그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로봇은 인간과 함께 생활하면서, 지적 감성적 동반자로서 개인 비서, 친구 또는 가정의 집사 역활을 하게 된다.
수동 태그(Passive tag)
전파식별(RFID) 시스템에서 RFID 판독기로부터 전자유도나 전파로 전력을 받는 태그. 안테나 코일과 칩으로 구성되어 있고, 능동 태그보다 소형•경량으로 통달 거리가 짧다.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
시각장애인들에게 화면의 내용과 자신이 입력한 키보드 정보나 마우스 좌표 등을 음성으로 알려주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화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고, 마우스의 위치나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없는 시각 장애인(시력 0.3 이하 또는 시야가 10도 이하)들이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스크린 리더는 컴퓨터 내부의 동작 정보나 발생하는 이벤트, 그리고 키보드 등의 입출력 내용을 감시하다가 필요한 경우 음성으로 출력한다. 장애 정도가 경미하여 화면을 파악하거나 키보드 혹은 마우스로의 입력을 어느 정도 할 수는 있으나 그 내용을 쉽사리 확인할 수는 없는 준맹이나 저시력자는 화면 확대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스파이웨어(spyware)
사용자의 동의 없이 또는 사용자를 속여 설치되어 광고나 마케팅용 정보를 수집하거나 중요한 개인 정보를 빼가는 악의적 프로그램. 구체적으로, 브라우저의 기본 설정이나 검색, 또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거나 각종 보안 설정을 제거하거나 낮추고, 사용자 프로그램의 설치나 수행을 방해 또는 삭제하나 자신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제거하지 못하도록 하며, 다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심한 경우에는 키보드 입력 내용이나 화면 표시 내용을 수집, 전송하기도 한다. 대개 인터넷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때 사용자도 모르게 함께 설치되며, 트로이목마나 백도어와는 달리, 치명적인 피해나 불편을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여러가지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탐지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티 스파이웨어(anti-spyware)
각종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이나 그 피해로부터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프로그램. 최근 스파이웨어에 의한 PC의 동작 지연과 각종 소프트웨어의 파괴 등 피해가 잇달아 컴퓨터 및 네트워크 시큐리티 개념에 스파이웨어가 포함되고 보안회사들의 안티 스파이웨어 프로그램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다. 안티 스파이웨어는 스파이웨어를 시그너처 기반으로 검색하여 제거하는 스파이웨어 스캐너(scanner) 방식과 체크리스트에 근거하여 Active X 콘트롤의 설치와 실행을 통제함으로써 스파이웨어를 차단하는 Active X 차단방식으로 나뉜다. 스캐너 방식은 시그너처 기반으로 검색함에 따라 새로운 스파이웨어가 등장하고 치료하는 시간의 갭이 발생하며, Active X 방식의 경우 Active X 유형의 스파이웨어만 방지하는 단점이 있다. 안티 스파이웨어는 대부분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스파이웨어 정보를 업데이트를 통해 제공하며, 사용자는 검색된 결과 중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안티 스파이웨어의 판매를 위해 스파이웨어를 배포하거나 허위 진단을 통보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웹 호스팅 서비스 제공자(WSP, Webhosting Service Provider)
고속의 인터넷 회선과 웹 서버를 다수 보유하고 여러 기업들의 홈페이지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업체. 대부분의 웹 호스팅 서비스업체는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의 기계실을 임대하여 서버를 설치하고 웹서버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운영 능력이 없는 기관을 대상으로 도메인 등록과 홈페이지 제작, 그리고 웹 서비스 및 유지 보수 업무를 대행해 준다.
위젯(widget)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위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도구.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윈도우로서 시계나 달력, 메모장, 검색, 지도, 뉴스, 실시간 카메라 등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던 많은 기능들이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도 제공된다. 야후의 위젯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작성시에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그래픽과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들을 모은 라이브러리도 위젯이라고 한다. X 윈도우가 윈도우 매니저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모습을 가지는 것은 위젯 라이브러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위젯 라이브러리는 리눅스 KDE의 QT라이브러리와 GNOME의 GNU의 GTK+ 라이브러리가 있다.
인터넷 전화 스팸(VoIP SPAM)
VoIP 전화 서비스에 연관되어 생성되는 스팸. 일반 전화와는 달리 VoIP 전화는 인터넷에 기반을 두고 있어 스팸 공격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종류로는 크게, 전화로 걸려 오는 전화 스팸과 이메일과 유사하게 메신저 서비스에 연결되어 들어오는 인스턴트 메시징 스팸, 그리고 구독 메시지를 대량으로 발송하는 프레젠스 스팸 등이 있다. VoIP 스팸 방지 기술로는 음성이나 비디오, 인스턴트 메시징 등의 내용물을 필터링하거나, 수신 허가(white list), 또는 수신 불가(black list) 등 주소를 관리하는 방법, 수신시마다 수신자의 승락을 얻어 연결시키는 방법, SIP 등 프로토콜적으로 안티 스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방법, 그리고 여러 경험이나 습관, 통계 등을 이용하여 보다 지능적인 스팸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인테나(intenna)
단말기 내부에 장착시켜 외부에 돌출부가 없으면서도 안테나 기능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안테나.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와 디자인, 전자파 흡수율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성능이 기존의 돌출형 안테나에 미치지 못한다. 평판형인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PCB 형태의 metal film PCB, 세라믹 칩 안테나 등이 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
PC 이외 전자 기기의 임베디드 시스템에 내장(embedded)되어 제품에 요구되는 특정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우리가 일상에 쉽게 접하는 휴대폰, TV, 세탁기, 엘리베이터 등의 제품 안에 내장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는 임베디드 OS, 미들웨어,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등이 포함되며, 임베디드 OS로는 PalmOS, MS의 WinCE, 그리고 공개 소스기반의 임베디드 리눅스 등이 있다.
자동 초점(AF, Automatic Focusing)
카메라 자체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초점이 맞춰지는 것. 카메라를 피사체로 향하거나, 셔터를 가볍게 누르면 렌즈가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파인더 중앙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자동초점 방식의 원리로는 초음파나 근적외선을 쏘아보내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재는 방식과 화면에서 광학상의 합치나 위상 등을 검출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자막넣기(Captioning)
청각 장애자들을 위해 텔레비전 프로그램 화면 아랫부분에 설명 자막을 부가하는 것. 모든 시청자가 볼 수 있는 개방 자막과, 특수한 어댑터를 갖춘 텔레비전 세트를 사용해야 볼 수 있는 폐쇄 자막 방식이 있다.
잔상(afterimage lag)
신호가 없어져도 잠깐 동안 화면에 영상이 남아 있거나 화면의 영상이 없어져도 시각에는 남아 있는 현상.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과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정지 화상의 잔상이 사라지기 전에 다음 정지화상을 표시하면 연속된 화면으로 느끼게 되므로 조금씩 변화하는 정지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움직이는 동화상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적층 허브(stackable hub)
기구적으로 허브위에 허브를 쌓아 올려 운영되도록 제작된 허브.스택커블 허브는 단순한 공간의 효율적 활용뿐만 아니라 기능면에서 허브 클러스터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하여 허브간의 마스터 슬레이브 구성이나 부하 분담을 통해 기능과 대역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통적인 네트워크 요소들을 단일화하고 체계화하여 기능 및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최근에는 브리지나 라우터도 스태커블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s)
모든 의료기관의 전자의료기록(EMR:Electronic Medical Recording)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첨단 의료정보화. 현재 각 의료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을 통일 내지는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및 서비스 표준화를 통해 중복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이 주 목적이다. 전자건강기록은 환자에 대한 처방 및 임상실험, 진료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화 된 시스템은 진료정보에 대한 저장뿐만 아니라 원격진료, 치료, 처방, 건강관리 및 분석과 기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자 코(e-nose, Electronic nose)
냄새를 구분하고 화학적 성분을 분석해내는 전자 장치. 전자 센서와 같은 화학 검출기와 신경 회로망과 같은 패턴 인식 기능을 가진 장치로, 사람의 코가 냄새를 맡고 뇌에 전달하듯이 전자 센서로 감지해서 프로그램으로 처리한다. 초창기에는 음식•음료 분야에서 픔질 관리 응용에 사용되었으나 의료 검진용, 오염 물질 및 가스 누출 검색용으로도 활용된다.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주변 환경에 대한 전자파 간섭의 허용 범위를 준수하면서도 기능은 완벽하게 수행하는 능력, 즉 전자기적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른 것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 것들의 총칭. 모든 전자기기들은 기기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동시에, 자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방해를 억제하여 다른 시스템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그 때문에 전자파 방사를 극도로 줄이거나 전자파 방해에 대한 내성(耐性)을 과다하게 설계하는 것은 많은 경제적 부담을 수반하게 되므로 전자파 장해(EMI)와 전자파 내성(EMS) 또는 전자파 방해에 대한 내성(immunity)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이 필요하다. 미국의 전파 기술자 협회(IRE)가 1963년에 제안한 개념으로, 전자파 환경 공학의 주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전자 혀(e-tongue, Electronic tongue)
액체를 분석해서 그 성분을 구분해내는 전자 장치. 다수의 전자 센서와 데이터 인식 처리 장치 및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으며, 센서 선택도는 리터당 약3∼4 미리그램 정도로, 계량 분석과 광범위한 액체 식별을 통해 주스, 커피, 맥주, 와인, 주정 등 다양한 음료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와 적합성 판단에 응용된다. 또한 산업 및 환경분야에서도 폐광의 지하수 검사와 같은 복잡한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
점진적 JPEG(P-JPEG, Progressive JPEG)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한번에 완벽한 화질로 보여주지 않고 개략적인 화질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완벽하게 보여주는 영상 처리 기법. 정지 화상의 입출력 및 부호화의 표준을 정해주는 단체인 JPEG가 제정한 단순한 JPEG 방식의 영상 처리 방식을 변형, 발전시킨 것이다. 기존의 JPEG 파일이 위에서부터 점차 아래로 내려오면서 영상을 표시하는 데 비해, 점진적 제이페그는 처음부터 흐릿한 전체 영상을 표시하여 차츰 선명하게 진행되는 페이드-인(fade-in) 방식을 사용하므로 보는 사람이 전체 영상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빨리 알 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 멀티미디어 환경의 발달과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화상 압축 전송 등에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주문형 소프트웨어(custom software)
특정 조직이나 개인이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되고 쓰이는 소프트웨어.
지능형 서비스 로봇(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언제, 어디서나 나와 함께하며,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나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기반의 지능형 로봇. 기존 로봇에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정보 기술 및 서비스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여기서의 로봇은 물리적인 로봇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경내 곳곳에 내재된 센서로부터 생활 정보를 보내주는 임베디드 로봇과 언제 어디서나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 로봇 등을 포함한다.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IT839 전략 중 9대 신성장 동력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지문 인식 기술에서 사람마다 고유의 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손가락 지문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 영상 장치. 획득된 원시 지문 영상은 지문의 특징을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비교, 정합하여 본인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지문 영상은 광학식, 정전용량이나 전기 전도를 감지하는 반도체 소자 방식, 초음파 방식, 열감지 방식, 비접촉식, 또는 이런 방식들의 복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된다.
쳇바퀴 회로(rat race circuit)
회로의 기본형은 l/4의 선로 6개를 원형 쳇바퀴 모양으로 조합한 형태로 특정 주파수대에서 인접 포트에서의 특성이 90도씩 차이가 있어 신호의 합성이나 분리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파 회로. 송신기의 이중 급전 장치와 수신기의 믹서 회로 등에 사용된다.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 초음파 용접기, 세척기, 플라스틱 본딩, 가공 등에 이용되는 고음압용과 생산 제어, 비파괴 검사, 침입 검사, 물성 측정, 의료 진단, 지연 선로, 신호 처리 등에 활용되는 저음압용이 있다. 로봇이나 u-센서에서 물체를 지각하고,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초음파 센서로는 음의 발생과 검출을 겸하는 것으로 특정한 결정구조를 갖는 물질의 압전(piezoelectricity) 소자와 고전압 펄스를 인가할 경우 정전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정전효과 방식이 있다.
컴퓨터 포렌식스(Computer Forensics)
사이버 범죄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법적 대응 근거를 마련하는 디지털 증거화 기술 및 솔루션. 컴퓨터 범죄 증거 수집과 보존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의자가 지웠다고 생각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 암호화된 데이터와 특수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른 파일 내에 숨겨진 스테가노그래피 데이터를 찾는 방법, 데이터가 숨겨질 수 있는 파일 슬랙, 대체 데이터 스트림, 파티션 갭, 웹 캐시, 히스토리 로그, 스왑 파일을 비롯한 여러 곳에 남겨져 있는 증거를 찾는 법, 컴퓨터와 디지털 증거를 수색하고 압류하기 위한 단계별 지침, 휘발성 증거를 보존하는 법과 디스크 이미징을 사용하는 방법, 수색이나 압류와 관련된 법적 문제, 법원에서 증거 보존 문제 등 컴퓨터 범죄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수사를 말한다.
키보드 보안(keyboard security)
개인 정보 입력의 최초 수단인 키보드 단계에서부터 서비스 전구간에 걸쳐 시행되는 보안.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개인의 중요정보, 아이디, 패스워드, 계좌번호, 카드번호 등을 키보드 드라이버 레벨에서 암호화함으로 키로거(keylogger) 프로그램 등의 공격에 의해 중요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보안 방식으로 백신, 개인용 방화벽과 함께 주요한 개인 정보 보호 수단이 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1개의 탄소 원자가 3개의 다른 탄소 원자와 결합한 육각형 벌집 모양의 속이 비어있는 튜브형 구조로서 지름이 수 나노미터(1nm = 10억분의 1m, 머리카락의 10만분의 1의 굵기)의 탄소원자로만 이루어진 소재. 열전도율이 다이아몬드(구리의 5배)만큼 우수하고, 전기전도는 구리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강도는 같은 굵기의 강철보다 100배나 뛰어나는 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말려진 형태에 따라서 단중벽 나노튜브, 다중벽 나노튜브, 다발형 나노튜브로 구분되기도 한다. 1960년대 물리학자인 베이컨(R. Bacon)이 최초로 관찰하였고, 1992년 일본 NEC의 이지마 스미오(飯島澄男) 박사가 최초로 합성하였다.
탐침형 원자 현미경(SPM, Scanning Probe Microscope)
다양한 방식의 탐침(probe)으로 시료의 표면을 스캔(scan)하여 원자 지름의 수십분의 일인 0.01㎚ 수준까지 측정이 가능한 제3세대 현미경. 광학현미경이 최고 수천 배, 전자현미경이 수 십만배의 배율인데 비해 원자현미경은 수 천만배급이며, 3차원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것 이외에 표면의 점탄성, 경도 등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탐침을 이용해 시료를 직접 조작하여 나노 미터의 물체를 제조하는 등 나노산업의 핵심 장치이다. 원자현미경은 양자역학적 터널링효과를 이용한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과 원자간 작용하는 힘을 이용한 AFM(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구분되며, AFM은 다시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된다.
태그(tag)
글을 쓴 저자가 그 글의 검색을 위하여 감성, 정황, 글쓴이의 의지 등을 나타내는 단어를 입력해 둔 일종의 핵심 키워드들의 집합. 태그를 달아두면 본문의 제목이나 내용, 카테고리 등과는 별도로 폭소토미(folksotomy), 즉 일반적인 관심사항의 주제별로도 검색하여 읽을 수가 있게 된다.
통합주기판(integrated motherboard)
네트워크 기능, 멀티미디어, 그래픽 등과 같이 별도의 추가 기판으로 실현하던 고급 기능들을 종합하여 단일 주기판(mainboard)으로 실현한 것. 장치의 소형화와 소비전력의 절감, 통합에 의한 기능과 성능의 개선, 그리고 가격의 저렴화가 주요 목표이다.
트랙백(TB, Trackback)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글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대신에 내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내 글의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을 보내는 것. 작성 방법은 우선 댓글을 달고 싶은 남의 글에서 트랙백 주소를 복사한 후 자신의 블로그의 제목 부분에 있는 트랙백(관련글) 버튼을 클릭하여 열린 팝업 창에 주소를 붙여 넣고 보내기(submit) 버튼을 클릭한다. 트랙백 글은 내 사이트에 있기 때문에 내용을 길게 하거나 동영상을 넣고, 표현을 고치는 등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고, 그 글과 관련되어 다른 여러 글들을 함께 소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트랙백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웹 사이트간의 알림(notification)을 가능하게 해주는 약속이므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퍼머링크(permalink, permanent link)
블로그나 게시판, 포럼 등에 올려진 게시물에 어느 경우에나 연결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의 불변 주소(URL). 일반적으로 게시물의 주소는 서버내의 고정된 파일 위치이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이 가져와 화면에 뿌려 준 가상의 주소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복사 방지를 위해 실제 주소 대신에 프로그램만이 인식할 수 있는 표현 방식을 사용하거나, Fancy URL처럼 보다 간단한 주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 게시물이 있어도 이처럼 표현 방식이 바뀌면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블로그 주소를 옮기거나 복사한 게시물 또는 오래되어 아카이브로 저장된 게시물들은 최초 게시물을 기준으로 했던 링크들로는 더 이상 접속될 수가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퍼머링크는 문서자체에 불변 URL을 주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나 원래의 게시물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준다.
퍼스널 브로드밴드(personal broadband)
개인이 빠르게 이동하면서도 현재의 유선 초고속인터넷 수준 이상의 초고속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통신의 중심이 개인 환경화 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말. 와이브로의 등장으로 현실화 된 모바일 브로드밴드가 서비스를 공급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개념이라고 한다면 퍼스널 브로드밴드는 네트워크가 유비쿼터스 환경의 인터넷으로 대체되고, 사용자와 콘텐츠가 통신의 중심이 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 브로드밴드를 유선전화의 등장, 이동전화의 등장, 초고속인터넷의 등장에 이은 통신의 새로운 파라다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편광(PL, Polarization of Light)
빛의 전기장 벡터 또는 자기장 벡터의 진동 방향이 어느 일정한 한 평면 위에만 편중되어 존재하는 현상. 편광에는 진동 방향이 항상 일정한 직선 편광과 원을 그리며 진동하는 원 편광, 타원 편광 등이 있다. 편광은 보통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전달되는 과정에서 회절, 굴절, 분산 또는 필터를 거칠 때 생긴다.
편광 필름(polaroid film)
입사광의 수직 또는 수평 편파를 구분하여 통과나 차단시킬 수 있는 성질의 필름. 노트북PC와 모니터 등의 박막액정표시장치(TFT LCD)나 카메라 특수 효과용 필터, 입체 영화 안경 등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이다. LCD 모듈의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는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나 편광필름은 이러한 빛 중에서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는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 방향의 편광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편광이 LCD 액정을 지날 때 화소별로 액정의 나열 방향을 전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화소의 밝기가 변하게 된다.
홀로그래피 메모리(holography memory)
홀로그래피 기술을 응용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정보나 영상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메모리. 홀로그래피는 2차원의 기록 매질에 3차원 물체 영상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로서 빛의 세기뿐만 아니라, 파동으로서의 빛이 갖는 위상(phase)까지 기록하기 때문에 3차원 상을 재현할 수 있다. 특정 좌표의 밝기 정보를 한 점(Bit)씩 일일이 저장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홀로그래피 메모리는 평면의 전체 정보를 한 점에 기록하는 페이지 지향 메모리(Page-Oriented Memory) 방식을 사용한다. 물체의 이차원적인 정보를 완벽하게 가지고 있는 이러한 한 점 정보들을 회전 거울을 이용하여 다각도로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써 대용량의 3차원 세계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래피 메모리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보다 150배 빠른 속도와 테라바이트 급의 대용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홈네트워크 미들웨어(Home Network Middleware)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시스템들의 물리적인 위치, 프로토콜, 운영체제 등에 관계없이 통합 시스템으로서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매개 프로그램. 홈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다양한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응용 프로그램, PC 환경 및 운영체제의 차이를 메워주고, 복잡한 이 기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체재 간의 원만한 통신을 이룰 수 있게 해준다. 대표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로는 Jini, LonWorks, HAVi, UPnP 등을 들 수 있다.
홈 디렉터리(home directory)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최초 접속(log-in)시 들어가게 되는 사용자 디렉터리 또는 웹, FTP 등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기준으로 지정한 절대적 위치의 최상위 디렉터리. 이를 기점으로 각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디렉터리와 파일 구조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은 홈 디렉터리이하의 디렉터리에는 각종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그 상위에 대해서는 권한이 없다.
휴대 DVB(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유럽 방식의 휴대 인터넷 TV 방송 기술. IP 데이터그램이라는 신호 처리 방식으로서 신호를 패킷 단위로 보내는 일종의 웹캐스팅인 IP 데이터 캐스팅이다. 시분할 기술을 활용해 휴대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전송로의 용량을 일정한 타임슬롯으로 쪼갠 뒤 각 타임슬롯에 패킷화된 방송 신호를 실어 보낸다. DVB-H 단말기는 인터넷 주소를 가지며, 가입자별 특성을 고려한 일종의 포인트 캐스팅이 가능하고, 무선 인터넷과의 결합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시험에 나왔던 것
VHE(Virtual Home Environment, 가상 홈 환경)
네트워크 환경에 관계없이 홈 네트워크 환경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네트워크. 고차원의 이동성을 제공하고 무선 구간에서 고속 트래픽을 수용하는 이동 환경으로서, IMT-2000과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서비스의 일부분이다. VHE하에서 이동 가입자들은 서비스 등록 시 가입한 각종 서비스들을 장소나 위치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 2세대 이동 통신망에서의 단말 이동성, 범세계 개인 통신(UPT: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에서의 개인 이동성과 함께 서비스 이동성을 제공한다.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올랩)
이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분석해서 문제점이나 해결책을 찾는 분석형 애플리케이션 개념.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한 질의 검색 시 발생한 대량의 결과 값을 단순히 사용하기는 어렵다. 대부분 이 같은 질의는 복수의 데이터 정보 테이블을 기반으로 처리되고, 요약화된 정보를 얻기 위해 연산 처리가 수반되어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올랩(OLAP) 툴 또는 OLAP 서버는 온라인 검색을 지원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징 지원 도구인데 이 같은 대규모 연산이 필요한 질의를 고속으로 지원한다.
SNS(Sensor Network Security, 센서 네트워크 보안)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적 제한 및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에 대응하여 시스템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는 기술. 센서 환경에 적합한 경량 암호 및 인증 기술, 경량 키 관리 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부 채널 공격 방지 기술 등을 포함한다.
SNS(suppression of non-sound, 무음 억제 기능)
통화 중 소리가 없는 부분을 데이터화해서 송신하지 않는 기능. 전송로상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해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이다. 비동기 전송 방식(ATM)은 고속성으로서 데이터 지향의 응용이 바람직하므로 음성 신호를 VToA(Voice and Telephony over ATM) 기술 또는 무음 억제 기능 등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취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이외의 음성 신호도 동일 ATM 통신망으로 취급함으로써 ATM의 장점을 한층 더 살릴 수 있다. 또한 앞으로는 고도의 정형화(shaping) 기능(셀의 송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송하는 기능)을 실장한 ATM 교환기를 이용해서 음성/데이터를 통합한 형태의 통신망이 구축될 예정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 식별)
전파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판독기(RF reader)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전파 식별 태그(RFID tag), 운용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전파 식별 태그는 반도체로 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다. 전파 식별 태그는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식과 전지가 포함된 능동식이 있다. 또한, 실리콘 반도체 칩을 이용한 칩 태그와 LC 소자 또는 플라스틱/폴리머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된다. 고유 정보 기록 방식에 따라서는 읽기 전용(read-only)형과 판독 기록(read-write)형으로도 구분된다. 현재 150KHz 이하 저주파로부터 5GHz 이상 마이크로파까지의 다양한 주파수대의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고, 이의 표준화는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 산하 IEC JTC1/SC31/WG4에서 표준(안)의 개발, 운용, 관리를 맡고 있다. RFID는 물류, 교통, 보안, 안전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확장성 생성 언어)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기능을 확장할 목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WW Consorsium)에서 표준화한 페이지 기술 언어. HTML에서 사용되는 연결(link) 기능 등을 확장함과 동시에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SGML)를 인터넷용으로 최적화한 것으로 사용자가 태그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이는 화면에 추가하여 구조화된 데이터의 전달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웹서비스의 기본 언어로 사용되며, 전자화된 문자와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 저장하고 응용, 처리할 수 있게 한다.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행과 열로 된 2차원의 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을 대상으로 많은 이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PC용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대량의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고 신뢰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업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구조화 조회 언어(SQL)로 작성된 데이터 조작용 명령에 따라 서버상의 데이터를 조작하며, 수정 등의 명령을 서버로 보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클라이언트에서도 서버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스마트(smart)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관하여 말할 때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형용사. 특히 종래에는 기대할 수 없었던 정도의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지능화된 또는 지능형(intelligent)이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이다.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하면서 작업하는 시스템. 종래의 컴퓨터같이 프로그래밍된 순서 안에서만 작업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좀 더 유연한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소 기술로는 추론, 학습 기능과 AI에서 데이터베이스가 되는 지식 베이스이다. 인공 지능을 응용한 것으로는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이 있고, AI의 개발 언어로는 LISP, PROLOG 등이 있다.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하는 계획 또는 사업 아이디어.
하이퍼스레딩(Hyper-Threading Technology, HTT)
인텔의 기술로, 작업이 할당되지 않은 실행 유닛에 다른 스레드의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성능을 높이려는 기술이다. SMT(Simultaneous Multi-threading)의 일종으로 CPU 코어 한 개당 스레드가 하나씩 추가되어 운영 체제는 싱글코어에서 두 개의 CPU가, 듀얼코어에서 네 개의 CPU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한다. 하이퍼스레딩 기술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물리코어는 의미가 없어지고 논리코어만 작동하게 된다. 사용 환경과 프로그램에 따라 성능이 향상되기도 하며, 반대로 성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다중 작업에서 하이퍼스레딩 기술이 제 힘을 발휘하게 된다.
Semantic Web(시맨틱 웹)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예을 들면, 휴가 계획을 짜기 위하여 웹 상에 있는 여행정보를 일일이 직접 찾아서 비행기와 호텔을 예약하는 대신에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대략적 휴가일정과 개인의 선호도만을 알려주면 자료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웹 상의 정보를 해독하여 손쉽게 세부일정과 여행에 필요한 예약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시맨틱 웹을 구성하는 핵심기술로는 자원 기술 개념(RDF)과 같은 웹 자원(Resource)을 서술하기 위한 자원 서술 기술, 온톨로지(ontology)를 통한 지식 서술 기술,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에이전트(agent) 기술들을 들 수 있다.
SIP(standard installation package, 표준 설치 패키지)
컴퓨터 시스템의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미리 패키지화하여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
인터넷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 인터넷 기반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생성과 수정, 종료를 제어하는 request/response 구조로서 TCP와 UDP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사용함으로서 IP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HTTP와 SMTP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된 텍스트 기반이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다른 많은 프로토콜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들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이 있다. ITU-T의 H.323에 대응되는 보다 간편한 프로토콜로서 1999년에 IETF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워킹그룹에 의해 RFC 2543으로 제안된 이후 별도로 분리된 ITEF SIP 워킹그룹에서 개정작업을 진행하여 2002년 7월 RFC3261 표준이 제정되었다.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기본 요소로서 정지 영상, 음악, 음성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징 시스템. 2세대의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의 뒤를 이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기존의 미디어 형식 메시지들과 멀티미디어 형식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간 전송 요구 없이 사용자들 간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MMS(manufacturing message specification, 제조 메시지 규격)
수치 제어(NC) 공작 기기나 산업용 로봇, 공정 제어 기기 등 공장 내의 제조 기기와 장치를 감시/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규격. ISO/IEC 9506으로 국제 표준화되었다. 메시지를 통일함으로써 기기 간의 상호 접속과 원격 조작 명령의 공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제조 메시지 규격(MMS)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공장 자동화 통신 규약(MAP) 등 몇 개밖에 없다. MMS의 전신은 미국 GM사가 NC 장치를 대상으로 개발한 제조 메시지 포맷 표준(MMFS)인데, 미국 전자 공업 협회(EIA)가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에 대응시키고 NC 장치 이외의 공정 제어 기기에도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표준화하였다.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해 병렬로 데이터를 읽는 장치 또는 읽는 방식. 1987년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의 패터슨, 깁슨, 카츠에 의해 발표돼 논문 "A Case for 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에서 등장한 기술이다. 1~5단계로 제안된 자기 기억 장치의 새로운 기술과 SLED(single large expensive disk)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그 후로 여러 업체에서 제안한 0, 6, 10수준 등이 있다. 여러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액세스 속도와 데이터 보존 신뢰가 우수할 수록 높은 등급을 받는 5단계로 구분된다. →미러링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동하면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인터넷. 와이브로는 와이어리스 브로드밴드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이며, 외국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라고 한다. 한국말로는 무선광대역인터넷, 무선초고속인터넷, 2.3㎓ 휴대인터넷 등으로 풀이된다. 정보통신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이동통신 업체들이 상용 서비스를 목표로 개발하는 무선 휴대인터넷 서비스이다.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정지 및 보행 또는 시속 60㎞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고속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퍼스널컴퓨터·노트북컴퓨터·PDA·차량용 수신기 등에 무선랜과 같은 와이브로 단말기를 설치하면 이동하는 자동차 안이나 지하철에서도 휴대폰처럼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월드 와이드 웹 브라우저/서버 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교육/연구 기관 및 관련 회사들의 단체. 흔히 WWW 컨소시엄 또는 W3C라고 부른다. 미국 MIT 공과 대학교와 WWW 서버를 개발한 유럽 원자핵 공동 연구소(CERN) 등이 주축이 되고, 마이크로소프트(MS)사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 등 관련 회사들이 표준화 작업에 참가하고 있다. 이 단체는 WWW의 페이지 기술 언어(PDL)인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WWW 브라우저/서버 사이의 통신 규약인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등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인터넷의 표준화 조직인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를 보좌한다.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1에서 표준화된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 블루투스는 10m 이내의 거리에서 3Mbps 정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복잡한 설정 없이도 블루투스 호환 기기라면 즉시 인식해 작동한다. 블루투스의 적용 범위는 휴대 전화나 노트북 컴퓨터, MP3 등 휴대용 IT 기기에서 자동차나 TV, 냉장고, 운동 기구, 의료 기기 등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1998년 노키아, 소니, 에릭슨,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도시바, 레노버 등 7개사가 표준화 기구인 블루투스 SIG를 결성한 것이 처음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를 포함한 1만 개사가 회원으로 가입해 장비 간 상호 운용을 보장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블루투스가 진화하면서 기존에 비해 1/5 수준인 저전력 기술과 전송 속도를 3Mbps에서 20~100Mbps까지 끌어올릴 블루투스 3.0 스펙이 제공된다.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위피)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휴대폰에 내장되는 중간 웨어 성격의 플랫폼으로 PC의 운용 체계와 같이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내려 받을 때 사용된다. 이동통신사들이 서로 다른 무선 응용 프로토콜을 채택함으로써 나타나는 불합리한 점과 컨텐트 제공업체(CP)들의 개발환경 상이성으로 생기는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제정된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이다. 위피 1.1은 TTA의 주관으로 2003년 4월 국내 이동통신 3사가 각각 다르게 개발해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표준 플랫폼을 하나로 통일하여, 어떤 통신 사업자의 인터넷 콘텐츠라 하더라도 다른 사업자의 가입자가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로써 단말기에 대해서 독립적인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Embedded(내장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일부로 내재되어 있는 것. 예로써,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프레임, 워크스테이션, PC 등을 제외한 그 이외의 모든 컴퓨터 내장 제품을 의미하게 되어, 정보가전은 물론 일반적인 가전이나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 에어컨, 엘리베이터, 은행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자동차의 EMI(Electronic Fuel Injection),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며, 내장형 리눅스는 리눅스 운영체제(OS)를 내장한 것을 뜻한다.
디지털 유목민(Digital Nomad)
인터넷과 최첨단 정보 통신 기기를 가지고 사무실 없이 새로운 가상 조직을 만들며 살아가는 인간형. 프랑스의 사회학자 자크 아탈리는 그의 저서 《21세기 사전》에서 21세기형 신인류의 모습으로 디지털 유목민을 소개했는데, 정보 기술(IT)의 발달을 통해서 이제 인류는 한곳에 정착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예견하였다. 정보와 지식이 중심인 현재의 디지털 시대에는 자신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유로우면서 창조적인 생각을 하는 유목민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생산과 소비를 주도하면서 사회의 주도 세력으로 떠오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개인의 지식이 모이면 개체적으로는 미미하게 보이나 집단적으로는 능력 범위를 넘어선 힘을 발휘해 특정 전문가나 기업의 전문 지식보다 더 우수하게 된다는 대중의 지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웹 2.0의 주요 개념이다.
POS(Personal Operating Space)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서 정의하는 정지하거나 이동중인 개인의 커버리지 영역. 일반적으로 반경 10m 이내에 있는 영역을 가리키나, 무선 구간의 전파 특성은 위치나 시간, 그리고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하므로 거의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시스템 설계에 의해 해결해야 한다.
Certification Authority(Certification Authority, CA, 인증 기관)
인증업무를 수행하는 제3자의 신뢰 기관. 인증 기관은 온라인상에서의 사용자 인증, 전자문서 위변조 방지, 부인방지 등의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인증서에 대한 발급, 갱신, 폐지, 유효성 등의 검증업무를 수행한다.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전화선을 이용한 고속 디지털 전송 기술의 하나. 기존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기술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보다 전송 거리가 짧은 구간에서 고속의 데이터를 비대칭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현재 하향(가입자 측) 전송 속도는 13~ 52Mbps, 상향(교환국 측) 전송 속도는 1.5~ 2.3Mbps이며 전송 거리는 0.3~1.5km이다.
키로거 공격(Key Logger Attack)
컴퓨터 사용자의 키보드 움직임을 탐지해 ID나 패스워드, 계좌 번호, 카드 번호 등과 같은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몰래 빼 가는 해킹 공격. 공격 도구는 공격 대상의 컴퓨터에 몰래 설치되어 공격 대상 컴퓨터에 입력되는 중요한 데이터를 공격자에게 전송한다.
Authentication(인증)
다중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또는 망 운용 시스템에서, 시스템이 단말 작동 개시(log-on) 정보를 확인하는 보안 절차. 인증에는 ㉠망을 경유해서 컴퓨터에 접속해 오는 사용자가 등록된(허가받은)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것과, ㉡전송된 메시지(통신문)가 변조되거나 전와(轉訛)되지 않은 송신자가 보낸 그대로의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있다. ㉠의 경우, 사용자의 성명과 패스워드를 허가받은 사용자 목록과 대조하여 일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되 그 사용자의 접속 카테고리나 사용자 계정상의 지정된 범위까지만 접속을 허용한다. ㉡의 경우, 메시지 인증 부호, 암호, 디지털 서명 부호 등이 사용된다.
MP3(MPEG layer 3)
압축비가 12:1인 오디오 코덱의 한 형태로, 일반 웨이브 파일에 비해 크기가 10분의 1이면서 CD 수준의 음질(16bits, 44.1kHz)을 구현할 수 있는 오디오 파일 포맷. MPEG 오디오는 압축비에 따라 계층 1은 4:1, 계층 2는 8:1, 계층 3은 12:1로 나누고 있다.
PPP(point-to-point protocol, 점 대 점 통신 규약)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데이터 연결 계층(제2계층)에 해당한다. 구내 정보 통신망(LAN) 접속 장치의 라우터는 대부분의 제품이 점 대 점 통신 규약(PPP)을 지원하고 있다. PPP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이나 비밀 번호 인증 규약(PAP) 또는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하고 있어서 접속 설정 시 이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일반 전화망이나 종합 정보 통신망(ISDN) 등 공중망을 통하여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의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업 IP 접속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PPP는 다이얼 업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으로 RFC 1171에 규정되어 있다.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 탐지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 오용, 남용 등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침입 차단 (시스템)만으로 내부 사용자의 불법적인 행동(기밀 유출 등)과 외부 해킹에 대처할 수는 없으므로 모든 내ㆍ외부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해 해커 침입 패턴에 대한 추적과 유해 정보 감시가 필요하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 RFC 1541에 규정되어 있다. TCP/IP 환경의 통신망에서 IP 주소의 일률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초기 적재 통신 규약(BOOTP)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상의 프로토콜로서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HCP) 서버는 DHCP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한편, BOOTP는 서버/클라이언트 간에 주고받는 것을 담당한다. 초기 적재 통신 규약을 확장한 통신 규약으로서 할당된 IP 주소에 임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점이 초기 적재 통신 규약과 다르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TCP/IP의 상위층 응용 프로토콜의 하나로, 컴퓨터 간에 전자 우편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RFC 821에 규정되어 있다. 2개의 전자 우편 시스템 간에 어떻게 대화하는지를 지정하고 전자 우편을 전송하기 위하여 교환하는 제어 메시지의 형식을 규정한다.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의 메시지 통신 처리 시스템(MHS)에 대응하는 것으로, 인터넷에서 전자 우편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ㆍ휴대ㆍ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ㆍ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하며, 제공 방식은 시스템 AㆍDhㆍE 등 3개 시스템이 있다. 시스템A는 디지털 위성 방송과 지상파 DMB의 유럽식 디지털 방송 규격(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을 따르고 있고, 시스템Dh는 지상파 DMB를 기반으로 하되 위성 DMB를 수용하는 혼합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시스템E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과 거의 동일한 코드 분할 다중(CDM)방식을 택하고 있다.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 비디오 방송)
유럽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 유럽 각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위성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및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의 규격을 유럽 통일 방식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프로젝트의 목표 규격이다. 유럽 방식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규격은 종합 유선 방송(CATV), 위성, 지상파 및 공시청 안테나(SMATV) 등 여러 매체의 공유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신호의 부호화 및 압축은 엠페그 2 표준 규격(MPEG 2)을 기본으로 했으며 가입자 관리 기능(conditional access)을 위해서는 공동의 스크램블링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DVB에는 위성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인 DVB-S(satellite)와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인 DVB-C(cable),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인 DVB-T(terrestrial), 이동 방송인 DVB-H 등이 있다.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데이터 암호화 표준)
미국 정부의 상무부 표준국(NBS:현재는 NIST로 개편됨)이 1977년에 IBM사의 제안을 바탕으로 제정한 데이터 암호화 표준 규격으로, 연방 정부의 연방 정보 처리 표준 46(FIPS publication 46)으로 채택된 것. 데이터 암호화 표준(DES)은 비밀 키 방식의 일종으로 64비트의 키를 사용하여 64비트의 평문을 전자(轉字)와 환자(換字)를 조합하여 암호화하는 방식이다.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나의 대규모 집적 회로(LSI)로 고속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다양한 DES용 LSI가 개발되어 있다. DES는 20년 이상에 걸쳐 세계의 암호 전문가들이 그 해독법을 연구해 왔으나, 큰 결점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도 대표적인 암호 알고리듬으로 인터넷의 보안 대책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DES를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미국 정부(NSA:국가 안전 보장국)의 요구에 따라 1987년에 중지하였다. 그러나 이미 DES에 의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미국 은행업계에서 DES의 국제 표준화를 강력히 주장하여 ISO는 은행 시스템의 표준안으로서 DES를 채택하였다.
그라핀(Graphene)
원자 하나의 두께를 갖는 탄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평면 구조로 풀러렌(C60), 탄소나노튜브, 흑연을 만드는 기본 소재. 물리적으로 투명하며, 전기적으로 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라핀 내의 전자들이 정지 질량이 없는 상대론적 입자처럼 행동하고, 특이한 양자 홀 효과도 보인다. 그라핀에 분자나 금속을 첨가하면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u-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d-hoc network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u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가속도, 위치 정보, 압력, 지문, 가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에는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에 태그(tag)를 부착하여 각종 물류정보의 흐름을 파악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DW)
기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하우스는 창고라는 의미인데 데이터의 격납이나 분석 방법까지 포함하여 조직 내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이용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DW) 개념은 미국의 컴퓨터 제조업체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공급업체들이 제창하고 있다. DW를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동향, 신제품에 대한 반응도, 제품별 수익률 등 세밀한 마케팅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적별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업 활동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전 회사 규모의 데이터베이스로 일원화하여 관리하므로 그 용량이 작게는 수백 GB에서 수 TB에 이른다. 따라서 대형 메인 프레임 등 종래의 플랫폼(platform)으로는 시간과 비용의 제약으로 곤란한데 병렬 서버기의 등장과 자기 디스크 장치의 대용량화/저가격화로 가능하게 되었다. 병렬 서버를 사용하면 하나의 검색 처리 요구를 분할하여 복수 프로세스로 병렬 처리함으로써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렬 서버에 대응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을 사용한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지털 컬러 동화상 및 오디오 신호의 압축/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는 방법의 국제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는 조직. 이의 표준화 작업을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일명 MPEG라는 작업 조직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이 조직에서 정하는 국제 표준 또한 MPEG 표준이라고 부른다. 작업 조직으로서 MPEG의 공식 명칭은 ISO와 IEC가 합동으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는 JTC 1 산하의 SC 29의 하부 조직인 WG 11이며, 1988년에 결성되어 활동을 개시하였다. MPEG의 표준화 작업은 MPEG 1(저장 매체용), MPEG 2(방송/통신/저장 매체용), MPEG 4(이동 통신용), MPEG 7(멀티미디어 정보) 등의 4가지 적용 분야별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HDTV를 목표로 한 MPEG 3은 MPEG 2에 흡수되고 MPEG 5 및 6은 결번). MPEG 2 및 MPEG 4는 방송/통신을 적용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당 국제 표준 기관인 ITU-T와 긴밀하게 협조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MPEG 1은 1993년에, MPEG 2는 1995년에 각각 국제 표준으로 확정되었으며, MPEG 4는 표준화 심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MPEG 7은 1996년에 시작하여 2000년에 완성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프로그램을 주문하고 기다려야하는 기존의 PPV(Pay Per View)서비스와는 달리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즉시 선택해 시청할 수 있는 양방향 영상서비스. 지역 전화 회사나 유선 TV 방송사가 제공하는 VOD 서비스는 DVD급의 화질에 VCR기능(Play, Pause, Fast-forward, Rewind)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형태별로는 프로그램당 일정 요금을 지불하는 RVOD(Real VOD) 서비스, 제공되는 프로그램 패키지를 횟수에 관계없이 시청하고 월정액을 지급하는 SVOD(Subscription VOD) 서비스, 마케팅 수단으로써 공급되는 무료인 FOD(Free on Demand)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공개 키 기반 구조)
공개 키 암호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 보호 표준 방식. 공개 키 기반 구조(PKI)는 ITU-T의 X.509 방식과 비X.509 방식으로 구분되며, X.509 방식은 인증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서를 기반으로 상호 인증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비X.509 방식은 국가별, 지역별로 실정에 맞게 보완 개발되고 있다. PKI는 인터넷상의 전자 상거래와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된 이용자의 전자 서명과 암호화에 의한 보안 등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PSP(PlayStation Portable, 휴대용 플레이스테이션)
일본 소니사가 개발한 손바닥 크기의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는 물론 휴대용 DVD 플레이어, 휴대용 CD 플레이어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기능의 엔터테인먼트 제품이다. 소니의 차세대 저장 장치인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UMB)를 전용 저장 매체로 사용하고, 무선 랜으로 일정 지역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대전 게임을 즐기고 게임을 내려받는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
PHISHING(피싱)
불특정 다수의 이메일 사용자에게 신용 카드나 은행 계좌 정보에 문제가 발생해 수정이 필요하다는 거짓 이메일을 발송해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하여 관련 금융 기관의 신용 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 등을 빼내는 신종 해킹 기법. 개인 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낚시하듯이 개인 정보를 몰래 빼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개인 금융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이메일을 받을 경우에는 우선 관련 금융 기관에 진위 여부를 문의한 후 이용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사이트 주소 창에 정확한 주소를 입력해도 사용자 자신도 모르게 해커의 서버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호스트 파일을 변조하는 신종 피싱 수법이 등장하고 있다.
NAC(네트워크 승인보호, network admission control)
사용자의 기본적인 보안 상태와 다양한 사용자 보안 프로그램들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보안기능을 갖고 있는 지를 점검하고 만약 사용자가 보안 적절한 보안기능을 갖추지 못한 경우 자동격리, 치료하는 기술. 유사 개념으로 MS사의 NAP(Network Access Protection)이 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일반 사용자나 기업체, 기관, 단체 등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업자. 1994년 6월 한국 통신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매년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여 현재는 데이콤, 한국 PC 통신, 아이네트 기술 등 많은 수의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는 보유 가입자나 콘텐츠 규모 및 라우팅 정보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ISP들 간의 상호 접속을 매개하여 인터넷의 보편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백본 제공자(IBP)로서 Core ISP, Tier-1 ISP, Backbone ISP, Transit Service Provider 등올 지칭하기도 한다. 둘째, 개인, 기업, CP 등 최종이용자를 모집하고, Core ISP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None-core ISP로서, Tier-2 ISP, Downstream ISP 로 지칭하기도 한다. ISP는 IBP와 None-core ISP의 겸업이 가능하다.
WBS(work break down structure, 업무 분업 구조)
성과 목표 완전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 산업 관리 간접 부문의 기술 혁신형 업무(목표를 설정하여 이것을 소정 기간 자원 내에서 달성하는 형태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법이다.
AMR(Automatic Meter Reading,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원격 검침)
전기, 가스, 수도 계량기 등을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에서 단말기를 이용해 검침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 전화선이나 전력선, 또는 무선주파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며,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계해 고지서 발급은 물론 수요 패턴까지 파악할 수 있다.
EA(Enterprise Architecture,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조직 및 업무, 애플리케이션, 정보기술 아키텍처간의 관계에 대해 현재의 모습과 향후 방향을 명시화한 문서, 또는 아키텍처 개발 기법을 말한다. 기업의 목표와 요구 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보 기술(IT) 인프라 각 부분의 구성과 구현 기술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 기업의 최고 정보 책임자(CIO)가 효율적인 IT 인프라와 전략의 확보 차원에서 조직의 업무 활동과 IT 간의 관계를 현재와 미래에 추구할 모습으로 체계화한 청사진이다.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해 IT의 역할이 중시되면서 전사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으며 IT 투자 대비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마련하는 밑그림이다.
VoIP(인터넷 텔레포니,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텔레포니의 핵심 기술로서 지금까지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Internet Protocol)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 음성이 디지털화 되고, 전달 체계로 IP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VoIP 기술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사설 IP 기반망,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들의 복합 망에서도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 및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핵심기술로는 ITU-T에서 개발한 H.323 기반 기술과 IETF에서 개발하는 SIP 기반 기술, 그리고 ITU-T와 IETF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차세대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을 주도할 MEGACO(Media Gateway Control) 기반 기술 등이 있다. H.323은 영상회의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구성 기능 요소, 기능, 프로토콜 및 절차 등에 관한 표준이다. 구성요소는 단말장치(End Point),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MCU(Multipoint Control Unit), MP(Multipoint Processor), MC(Multipoint Controller)등이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1999년에 IETF의 공식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현재 여러 분야의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위한 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EGACO/H.248은 전화망을 비롯한 다양한 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요구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프로토콜로서 IETF 또는 ETSI,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 ITU-T SG16에서 공동으로 표준화 하였다. VoIP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업자 들이 H.323보다 기능이 다양한 SIP기반으로 인프라 환경을 고도화하고 있다.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개방형 데이터베이스 접속성)
윈도즈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표준 개방형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규격. 1991년에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구조화 조회 언어(SQL) 중심의 규격이며, Access나 dBASE와 같은 초기의 DBMS로부터 Informix, Oracle, SysBase, MSSQL, MySQL 등과 같은 최근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는 ODBC에 접속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ODBC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축된 데이터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환경에서 상호간에 공유할 수 있게 하며, 비록 데이터베이스가 교체되더라도 응용 시스템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해커가 감염시킨 대량의 좀비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시스템으로 다량의 패킷을 무차별적으로 보내 과다 트래픽으로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 공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일반 사용자 PC(숙주 PC)에 봇을 감염시키고, 악의로 컴퓨터를 조종하여 표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 삭제, 서버 마비 등 사이버 공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EV-DOrA(CDMA 2000 EV-DO Revision A)
2세대 기술인 동기식 `CDMA EV-DO`를 개량, W-CDMA,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등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해당하는 빠른 데이터전송과 화상통화 등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 CDMA 2000 EV-DO 리비전A를 지칭하는 것으로, 막대한 신규투자 없이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와 기술을 활용하여 3세대 이동통신이 목표로 하는 동영상 휴대전화에 버금가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IP Compliance
기업을 운영할 경우 내외부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법적 규제 사항이나 지침. 기업과 정부의 환경이 IT 환경으로 바뀌면서 최근 부각되는 IT 이슈 중 하나로, 전자 문서를 통한 회계 작성 준칙이나 원본 문서 보관 의무 등 기업 회계와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IT 관련법, 제도 등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들을 모두 컴플라이언스라고 통칭한다. 단기적으로는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투자자의 권리 보호, 금융 시장의 안정화 등을 이룰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제 경쟁력 향상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Telepresence(원격 현장감)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 통신 회선으로 컴퓨터를 원격지와 연결, 가상 현실 공간 중에서 통신을 통한 상호 작용으로 신체적으로 가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우주 공간이나 깊은 바다 속과 같이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한 장소에서 경험하거나 행동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원격 현장감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는 인간의 감각 기능을 모방한 장치의 개발도 중요하다. 인간의 감각을 신체의 한계를 넘어 확대하는 것은 인간과 기계와의 교감(synergy)에 의해 인간 능력을 변혁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또는 비인가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작권 소유자나 판권 소유자가 이용하는 정보 보호 기술의 일종인 접근 제어 기술.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음원, 영화 등의 창조적인 미디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디지털 미디어의 생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사용 권한 관리, 과금, 유통 단계를 관리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의 미디어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 법령이나 위반자 단속에 앞서 사용을 허가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한 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통제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저작권 보호 관리를 위해서는 암호 기술, 키 관리 기술, 워터마킹 등 다양한 정보 보호 기술들이 활용된다.
ETRI(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통신, 정보 산업 분야의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위하여 발족된 정부 출연 연구 기관. 1976년 1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부설 한국전자통신연구소(KETRI)로 창설된 이래, 1985년 3월 한국전기통신연구소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를 통합, 특정 연구 기관 육성법에 의한 정부 출연 연구 기관으로 발족하였다. 1992년 3월에는 정부의 출연 연구 기관 기능 재정립 방침에 따라 과학기술처에서 체신부(현 정보통신부)로 이관됐고, 1995년 1월에는 전기 통신 기본법 제15조에 의하여 민법상 재단 법인에서 법정 법인으로 바뀌게 됐으며, 1997년 1월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1998년 6월 부설 기관으로 있던 시스템 공학 연구소를 흡수하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하 4개의 연구소로 조직을 개편했으며, 1999년 1월에 정부 출연 연 구기관 등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무총리실 산하 산업기술연구회 소관기관으로 이관됐다. 전전자식 교환 시스템(TDX-1, TDX-10)과 CDMA 이동 통신 시스템 등 대형 국책 과제를 성공시켜 국내 정보 통신 산업 발전과 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이동 통신망과 정보 기술(IT)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 정보 기반의 시스템 서비스. 최근 들어 IMT-2000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등 이동 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라 교통, 물류, 전자 상거래 등의 분야에서 각광받기 시작한 기술이다.
MIPS(microprocessor without interlocked pipeline stage)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밉스 컴퓨터 시스템즈사에서 상업적으로 개발하여 판매하는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RISC)의 구조 이름. 밉스 구조의 RISC 제품으로는 R 2000, R 3000, R 4000, R 6000 계열 등이 있다.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반도체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고 절연물로 그 막 위에 금속을 부착한 구조. MOS 트랜지스터나 MOS형 집적 회로 등에 널리 응용된다.
MOS(Maintenance, Monitoring and Management Operating System, 통합 원격 설비관리)
빌딩, 공장, 산업 설비의 관리를 인터넷망과 컴퓨터를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u시티 구축의 핵심기술로 기존의 인력으로 감시하던 각종 시설물을 원격으로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MOS를 이용하면 입주자들은 수도, 전기, 가스의 효율적인 사용은 물론 화재 등 각종 재난상황에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Bio Informatics(생정보학, BIT)
생물학 데이터를 IT 기술로 분석하여 생명은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학문. 생명현상을 정보처리현상이라고 가정하고, 철학, 수학, 물리학, 전산학 등 각종 기술을 사용, 생명정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처리에 필요한 화학적 에너지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밝혀 낸다. BT와 IT의 융합 의미로 BIT라고도 하며, BIT는 생물종의 다양성 자원에 중점을 맞춘 생물다양성정보와 생물체로부터 도출되는 많은 화합물, 개체, 부산물들을 위주로 한 생물소재정보 그리고 유전정보들의 총합인 생물유전체정보 등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울트라모바일PC(UMPC)
또는 오리가미 프로젝트는 폼 팩터 타블렛 PC를 위한 규격이다. "오리가미"는 종이접기를 뜻하는 일본어 낱말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삼성 등이 합동하여 개발하였다. 인텔은 또한 UMPC의 개념의 일종인 모바일 인터넷 장치를 관리할 책임을 진다.
Ad-HOC
Ad hoc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서.”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나타낸다. 특정한 문제나 일을 위해 만들어진 관습적인 해결책, 일반화할 수 없는 해결책, 어떤 다른 목적에 적응시킬 수 없는 해결책. 일반적인 예로 조직, 위원회, 그리고 특정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국가적 또는 국제적 차원의 위원회가 있다. 다른 분야에서 이 용어를 위한 예로는 맞춤복, 손으로 만든 망 프로토콜이나 특정한 목적의 방정식이 있다. Ad hoc은 또한 임시방편의 해결책, 불충분한 계획, 또는 즉석 이벤트라는 뜻을 함축하기도 한다. 다른 라틴어의 파생어로 AdHoc, adhoc와 ad-hoc을 포함한다.
Voice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음성 확장성 생성 언어)
음성으로 웹 콘텐츠나 서비스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기반으로 한 마크업 언어. 미국 AT&T사, IBM사 등이 설립한 음성 확장성 생성 언어(voiceXML) 컨소시엄이 규격을 책정하여 인터넷 표준화 단체인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승인하였으며, 최신판 voiceXML 1.0이다. 데이터베이스나 웹 사이트의 정보, 인터넷 등에 전화 접속 또는 음성 접속을 실현하고 동시에 웹에 의한 양방향 음성 응답 서비스가 용이한 언어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SyncML
3세대 이동 통신의 주요 기술로서 네트워크, 플랫폼 및 장비의 원격 데이터 동기를 위한 XML 기반의 개방 통신 규약. 데이터 동기란 어떤 장비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즉시 다른 장비에 자동으로 전송되어 갱신되는 것으로, 이동 중 컴퓨터와 장비들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일치(一致)에 대한 우려와 데이터 복사, 수작업 배달 등의 필요가 없어진다. 2000년 2월에 설립된 SyncML Initiative 참가 업체는 에릭슨사, IBM사, 로터스사, 모토롤라사, 노키아사, Psion사, Palm Inc사 및 Starfish Software사 등이다.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
비교적 적은 수의 명령 집합을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설계 기법. 명령의 수를 감소함으로써 제어 기능을 단순화하여 하드웨어의 설계를 쉽게 하고 처리 속도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한 것이다. 명령 집합을 사용 빈도가 높은 기본 명령으로 한정하고 명령어의 길이를 통일하여 각각의 명령이 단일 클록 사이클 내에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일이 많다.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RISC)형의 중앙 처리 장치(CPU)는 다양한 종류의 명령어를 취급하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보다 단순한 명령은 신속하게 처리하지만, 복잡한 명령어를 실행할 때에는 범용의 복잡 명령 집합 컴퓨터(CISC)형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 미국 IBM사가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1987년에 RISC 프로세스 대규모 집적 회로(LSI)를 탑재한 워크스테이션인 IBM RT-PC를 발매한 이후에 워크스테이션(WS)이나 서버의 프로세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RISC 프로세스로는 미국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SPARC, IBM사의 POWER, DEC사의 Alpha, 밉스 컴퓨터 시스템즈사의 R 3000/4000, 모터롤라사의 88000, 인텔사의 i860, IBM·애플 컴퓨터·모터롤라 3사의 Power PC 등이 있다.
3DIC(Three Dimension Integrated Circuit, 3차원 집적 회로)
2차원 구조의 반도체를 3차원 구조로 전환하여 제작한 집적 회로. 기존의 2차원 구조의 반도체는 30나노급 공정에 근접하면서 기술 발전의 한계에 봉착했다. 신호선의 간격이 좁아져서 생기는 리소그래피를 포함한 제조 기술 문제, 전기적 절연 문제, 신호 지연 시간 증가 문제, 그리고 신호 간섭 등의 문제가 그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산업이 갖고 있는 기술과 생산성의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기술이 3차원 집적 회로(3D IC) 기술이다. 또한 3D IC는 1개의 반도체에 프로세서, 메모리, 아날로그, 고주파, 센서, 전력 반도체를 집적화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다.
OMA(Open Mobile Alliance, 오픈 모바일 연합)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범세계적 활성화를 위해 기술규격 개발 및 상호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포럼. 노키아가 설립한 OMAI(Open Mobile Architecture Initiative)와 MS가 구성원이었던 WAP(Wireless Architecture Protocol) 포럼이 주축이 되어 2002년 6월 설립되었다.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모바일 Service Enabler 개발과 동시에 장치, 지역, 서비스제공자, 운영자 및 네트워크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비즈니스 경쟁을 허용함으로써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범세계적 이용을 촉진시키는 것이 설립 목적이며, 현실적으로, 무선 인터넷을 비롯하여 차세대 무선 서비스 업계를 이끌어 가고 있다. 조직은 크게 이사회(Board of Director)와 기술총회(Technical Plenary)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OMA 운영 전반에 대한 최고 의결기구이며, 기술총회는 기술 규격 개발을 담당한다. OMA는 이동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컨텐츠제공업자 등 하나의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TTFF(Time To First Fix)
GPS 수신기 위성 신호 및 탐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 및 위치 솔루션을 (수정이라고 계산)을 수정합니다.
officeware
실시간 메시징 기반의 팩스, 스캔 문서관리 솔루션으로 삼성 디지털 복합기와 연동되어 팩스 송수신 업무를 간소화합니다. 또한 기업용 메신저, 그룹웨어 기능은 사내 커뮤니케이션 통로로 활용할 수 있어 기업정보화, 업무효율 향상 및 사무환경을 개선합니다.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및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멀티미디어 휴대용 단말기. 기존의 MP3 플레이어에 디지털 카메라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것으로, 현재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화와 컨버전스(융합) 기능들보다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개념이다. 통신 모듈만 추가하면 이동 전화도 가능하므로 휴대폰의 경쟁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ILM(Industrial light magic, 산업용 광 마술사)
영화 감독 조지 루카스가 설립한 특별 촬영 회사인 ILM (Industrial Light Magic)을 직역하여 회사 개념으로 일컫는 말. ILM은 항상 컴퓨터 그래픽스(CG) 기술을 구사하여 세계의 CG 영화 제작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영화 ‘터미네이터 2(Terminator 2)’에서 사용한 화상 변형 기법이나 ‘쥐라기 공원(Jurassic Park)’에서 사용한 동작 표시 기법도 CG 기술을 사용하여 대성공을 거둔 예이다. ILM사의 4개 활동 부문 중 CG 기술을 사용하는 특별 촬영 부문이 최대 활동 부문인데, 200명 이상의 CG 예술가를 두고 있으며 CG 영화 제작의 규모도 세계 최대이다. CG 제작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Alias, SOFTIMAGE, RenderMan 등이고, 자사에서 개발한 전용 프로그램도 3차원 페인팅(3D Painting), 안면 전체의 표정의 변화를 생성하는 안면 애니메이션(Facial animation) 등 매우 다양하다. 하드웨어로는 주로 미국의 실리콘 그래픽스사의 고성능 그래픽 워크스테이션(GWS)을 사용하고 있다.
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정보 수명 주기 관리)
생성, 활용, 저장, 백업, 삭제 등 정보의 전체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 사람, 생태계, 기술, 기업들은 모두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이어지는 수명 주기의 한 단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이러한 수명 주기의 각 단계별로 정보의 가치는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한다. 정보 수명 주기 관리(ILM)는 네트워크 저장 장치 기술과 저장 장치 플랫폼,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를 연계 통합하여 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 보호,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OHO(small office home office)
가정에서 인터넷 등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혼자의 힘으로 자신만의 사업을 영위해 가는 직업 형태.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한 네트워크 기기의 대중화로 적은 비용으로 가정에서 사무실과 동등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기업의 재구조 조정 붐에 의한 사무실 공간 축소, 대도시의 교통 혼잡에 따른 출퇴근 문제 등이 재택근무(SOHO)의 등장을 촉진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SOHO가 기존의 재택근무와 다른 점은, 재택근무가 주로 회사에 적을 두고 집 안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형태인 데 반해 SOHO는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홀로 창업하여 최소한의 인력과 비용으로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다.
VoIP(인터넷 텔레포니,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텔레포니의 핵심 기술로서 지금까지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Internet Protocol)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 음성이 디지털화 되고, 전달 체계로 IP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VoIP 기술은 인터넷 뿐만 아니라 사설 IP 기반망,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들의 복합 망에서도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 및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핵심기술로는 ITU-T에서 개발한 H.323 기반 기술과 IETF에서 개발하는 SIP 기반 기술, 그리고 ITU-T와 IETF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차세대 VoIP 게이트웨이 시장을 주도할 MEGACO(Media Gateway Control) 기반 기술 등이 있다. H.323은 영상회의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위한 구성 기능 요소, 기능, 프로토콜 및 절차 등에 관한 표준이다. 구성요소는 단말장치(End Point),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MCU(Multipoint Control Unit), MP(Multipoint Processor), MC(Multipoint Controller)등이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는 1999년에 IETF의 공식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현재 여러 분야의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위한 콜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EGACO/H.248은 전화망을 비롯한 다양한 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요구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프로토콜로서 IETF 또는 ETSI,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 ITU-T SG16에서 공동으로 표준화 하였다. VoIP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업자 들이 H.323보다 기능이 다양한 SIP기반으로 인프라 환경을 고도화하고 있다.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 재설계)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제창한 개념으로,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기업 형태, 사업 내용, 조직, 사업 분야 등을 재구성하는 것. 어느 한 부분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업무 개선과 다르다. 업무 재설계(BPR)를 가능하게 하고 BPR 이후의 새로운 경영 체제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그룹웨어, 컴퓨터 지원 공동 작업(CSCW), 전략 정보 시스템(SIS)과 같은 새로운 경영 정보 시스템이다.
AMOLED(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 픽셀을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작동하게 하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현재 상용화 중인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LED) 제품은 수동형(PM) OLED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해상도와 패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PM OLED 방식은 한계에 부딪혀 AM OLED가 개발되었다. AM OLED는 PM OLED보다 화질과 소비 전력, 대형화 등에서 우수하지만 공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ESCOW SERVICE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 버튼 하나로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및 홈 보안 시스템 VCR on/off 등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부터 출발한 기술이다.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방식은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이며, 데이터 전송속도는 20~250kbps이다.
cookie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보내어 저장했다가 서버의 부가적인 요청이 있을 때 다시 서버로 보내 주는 문자열 정보.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그 사이트 내에서 어떤 정보를 보았는지 등에 관련된 기록을 남겨 놓았다가 다음에 접속하였을 때 그것을 읽어 이전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배너 광고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사용자가 쓰고 있는 브라우저의 형식 또는 그 웹 사이트에 이미 제공했던 다른 정보에 기초를 두어 서버에서 보낼 웹 페이지들을 사용자에게 맞추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편 가짜 쿠키를 통해 사용자 PC가 갖는 모든 정보를 빼내 올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쿠키를 받아들여야 한다.
DSU(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서비스 장치)
디지털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 주 컴퓨터나 각종 데이터 단말 장치(DTE)를 고속 디지털 전송로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 필요하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는 고객의 댁내(구내)에 설치되어 통신 사업자의 전송로를 종단하고 주 컴퓨터나 DTE와의 상호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주 컴퓨터나 DTE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로 측에 적합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고 역으로 전송로 측의 신호를 주 컴퓨터나 DTE의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한다. DSU는 모뎀과 마찬가지로 동기 신호(timing signal)를 공급하는 기능, 회선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동기 신호는 회선 또는 통신망으로부터 받는 신호로 주 컴퓨터나 DTE는 이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수신을 행한다. DSU는 되돌림 시험(loopback test)과 성능 감시 같은 회선의 유지 보수 기능도 수행한다. DSU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data service unit)라고도 하며,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전송 속도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다. DSU는 통신 사업자로부터 대여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 자신이 설치할 수도 있는 고객 댁내 장치(CPE)로 분류된다.
CSS(celestri satellite system, 셀레스트리 위성 시스템)
미국 모터롤라사 주관으로 프랑스의 MMS(Matra Marconi Space)사가 참여하는 데이터 통신 위성 시스템. 모터롤라사는 이동 위성 시스템 전용의 이리듐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킨 기술을 바탕으로, 대규모 기업 사용자에서부터 가정 사용자까지를 대상으로 한 고정국 광대역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상 1,400km의 저궤도에 위성 질량 3,100kg 위성 63기(7개 궤도면에 각각 9기의 위성을 배치)를 2001년에 발사하여 2003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통신 속도는 위성/가정 단말기 간 64kbps~2Mbps(상향)/64kbps~16Mbps(하향)이고, 위성/중소기업 단말기 간 10Mbps (상향)/16Mbps(하향)이며, 위성/대기업 단말기 간 51Mbps(상향/하향)이다. 또한 위성 상호 간의 통신 기능과 데이터 교환 기능이 있기 때문에 스카이 브리지 위성 시스템과 같이 반드시 지상 접속망(지구국)을 거치지 않아도 통신 품질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고속/광대역의 트렁크 회선 전용 서비스인 ‘M-Star’ 기능도 갖추고 있다.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기존의 텔레비전에 비해 주사선 수를 2배 이상 늘리고 가로세로비를 늘려서 화면의 고정밀화, 대형화를 실현시킨 텔레비전. 주사선 수 1,125, 유효 주사선 수 1,035, 필드 주파수 60Hz, 2:1 격행 주사, 가로세로비 16:9, 주사선당 표본화 소수 1,920(휘도 신호), 960(색차 신호) 등의 규격이 1986년 미국, 일본, 캐나다의 공동안으로 ITU-R에 제출되었다. 기존의 텔레비전은 주사선 수가 525 또는 625이기 때문에 수직 해상도가 낮고, 격행 주사에 의한 흔들림 현상이 있다. 또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대역 공유의 방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휘도 혼입 및 색 혼입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가로세로비도 4:3으로 좌우 화각이 10°밖에 안 되어 현장감이 결여되며, 브라운관이 볼록 형태이므로 부자연스럽다. 고선명 텔레비전(HDTV)은 기존의 텔레비전 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선 수, 전체 화소 수, 가로세로비 등을 늘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 기법을 사용하며, 좌우 화각이 30° 정도로 되어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미국 국방부(DOD)가 개발하여 추진한 전 지구적 무선 항행 위성 시스템. 중/고궤도 항행 위성 시스템인 NAVSTAR(Navigation System with Time And Ranging)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라는 의미에서 NAVSTAR/GPS라고도 한다. 이 시스템은 다음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도 약 2만 km, 주기 약 12시간, 궤도 경사각 55도인 6개의 원궤도에 각각 4개씩 발사된 도합 24개의 항행 위성과 위성을 관리하는 지상 제어국, 이용자의 이동국으로 구성된다. 각 위성에는 원자 시계가 탑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지구 어디에서나 항상 4개 이상의 위성이 시계(視界) 내에 있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이들 위성 중에서 적당한 4개를 선택하여 그것들로부터의 시각(時刻)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거리를 측정한다. 4개 위성의 위치는 알려져 있으므로, 이 측정에서 이용자의 위도/경도/고도의 3차원의 위치와 시계(時計)의 시각 편차를 알 수 있다. 위성으로부터의 송신 주파수는 L1 (1,575.42MHz)과 L2(1,227.6MHz)의 2파이며, 이 2파로 전리층 지연을 보정한다. 항법 신호는 50bps의 항법 정보를 포함하며 의사 잡음 부호(PN code)로 스펙트럼 확산 변조된 위상 편이 변조(PSK) 신호이다. 이 의사 잡음 부호에는 P 부호(precision code)와 C/A 부호(clear and acquisition code)의 2종류가 있는데, P 부호는 10.23Mbps, 주기를 1주로 하는 정밀 측위를 목적으로 한다. C/A 부호는 1.023Mbps, 주기는 약 1밀리초(ms)이다. 이들 의사 잡음 부호를 사용하여 항법 신호의 해독이나 위성과 수신국 간의 거리 측정을 할 수 있다. L1에는 P 부호와 C/A 부호가 포함되고 L2는 P 부호만이 포함되는데, 현재 C/A 부호는 민간이 이용할 수 있도록 부호 패턴(code pattern)이 공개되었으나 P 부호는 비밀이다. C/A 부호에 의한 위치 측정 정밀도는 공칭 100m 이내이고, P 부호에 의한 정밀도는 공칭 16m 이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은 원래 군사용 차량, 함정, 항공기 등의 위치 측정을 위하여 구축되었다. 현재는 민간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탑재하는 항법 장치, 선박이나 헬리콥터 등의 항법 장치 등에 사용된다. 또 무인 건설 중기(無人建設重機)의 원격 조작이나 지진 예보를 위한 지각 변동 측정 시스템 등에도 이용된다. 최근에는 읽기 전용 콤팩트 디스크 기억 장치(CD-ROM)에 담은 지리 정보와 조합한 항법 시스템이 비교적 저가로제공할 수 있게 되어 그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IT839(Information Technologies 8-3-9, IT 839 전략)
IT 서비스 -> 인프라 -> 기기 ->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가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IT 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라 8대 신규 정보통신 서비스를 도입, 활성화하여 유무선 통신, 방송, 인터넷 등 3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유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9개 첨단기기와 단말기, 소프트웨어, 콘텐츠 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IT 산업의 발전전략.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국가 전략과제로 선정한 차세대 10대 신성장동력 중 정보통신부 관련 내용으로서 구체적으로는 8대 신규서비스(WiBro, DMB, 홈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RFID 활용, W-CDMA, 지상파 DTV, 인터넷전화(VoIP)), 3대 첨단인프라(광대역통합망(BcN), u-센서네트워크(USN),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v6)), 9대 신성장동력 (차세대 이동통신 기기, 디지털TV/방송 기기, 홈네트워크 기기, IT SoC, 차세대 PC, 임베디드 S/W, 디지털 콘텐츠(DC) & S/W 솔루션, 텔레매틱스 기기,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분야별로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True2Way
미국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데이터 방송 규격인 오픈 케이블 응용 플랫폼(OCAP)의 또 다른 명칭. 진정한 양방향 서비스라는 뜻을 가진 용어로 OCAP가 지나치게 기술적인 용어여서 일반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붙여진 명칭이다.
RSS(remote switching system, 원격 교환 방식)
원격 제어형 전자 교환 방식에서 자국 통화로계를 모국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총칭. 모국 측에 설치되는 통화로 정보 전송 장치와 자국 측에 설치되는 통화로 정보 수신 장치 및 원격 제어 전송로로 구성된다.
SPAM
인터넷상의 다수 수신인에게 무더기로 송신된 전자 우편(e-mail) 메시지, 또는 다수 뉴스그룹(newsgroup)에 일제히 게재된 뉴스 기사. 우편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수취인에게 무더기로 발송된 광고나 선전 우편물(junk mail)과 같은 의미이다. 스팸은 대부분의 경우에 수신인이 원하지도 않고 관심도 없는 메시지이거나 각 뉴스그룹의 토론 주제와도 상관이 없는 기사들이다. 이와 같은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기사를 게재(port)하는 행위를 스패밍(spamming)이라고 한다. 스패밍은 명목상의 아주 적은 비용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상품을 광고하거나 특정 종교를 포교하거나 심지어 특정인, 특정 상품 또는 특정 기업을 비방할 목적으로 인터넷을 악용하는 행위로 취급받는다.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표준 범용 문서 생성 언어)
1986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국제 표준(IS-8879)으로 채택한 마크업(문서 생성) 언어. SGML은 텍스트내에 표현하고자 하는 모양이나 구조 그리고 의미 부여를 태그 형식으로 표기한 마크업 언어로서, 교환된 문서나 파일의 수신 측에서 내용을 자유롭게 편집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에 독립적인 언어이다. SGML은 그 표현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 일반화 되지 못하였고, 대신 SGML 응용의 하나인 HTML(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가 표현의 단순함과 사용의 편이성으로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표현하는 표준적 언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1999년에 W3C에서는 SGML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XML(확장성 생성 언어)을 웹 표준 언어로 제정하였다. XML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으로 태그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자료 교환)
기업 간 수주, 발주, 수송, 결제 등 상업 거래를 위한 자료를 데이터 통신 회선을 통해 표준화된 포맷(format)과 규약에 따라 컴퓨터 간에 온라인으로 전달하는 것. 1986년에 국제 연합 유럽 경제 위원회(UN/ECE)의 주관으로 EDI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합의되어 1988년 4월 프로토콜의 명칭을 EDIFACT(EDI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로 하고, 동년 7월에 EDI 정보 표현 규약(비즈니스 프로토콜)의 핵심인 구문 규칙(syntax rule)을 국제 표준(ISO 9735)으로 채택하였다.
텔레매틱스(telematics)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의 단말기를 통해서 자동차와 운전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기술. 자동차에 위치 측정 시스템(GPS)과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장착하고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교통 정보, 응급 상황 대처, 원격 차량 진단, 인터넷 이용 등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장비로는 음성 인식, 문자 음성 변환(TTS) 등의 기능을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 액정 디스플레이어,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의 특별한 입출력 장치가 있고, 카 오디오, TV 모니터, 내비게이션, 핸즈프리 휴대 전화 기능을 모두 통합하고 플래시 메모리나 팜톱, 노트북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외부와 데이터 교류를 할 수 있다.
SLA(Site Level Aggregator, 사이트 수준 집합자)
IPv6 주소 체계에서 사이트 내의 서브넷을 나타내는 식별자 필드. 이 필드의 크기는 16비트로, 65,536개의 서브넷 또는 여러 수준의 주소 지정 계층 주소와 효율적인 라우팅 구조를 만들 수 있다. 16비트의 서브넷은 IPv4 서브넷과 동일하다.
BLog
웹(web)과 로그(log)의 합성어로, 개인이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 사이트. 게시판 형식의 사이트에 일반인이 자신의 일상적인 일기에서부터 사회적 관심의 칼럼, 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리며, 개인 출판, 개인 방송, 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1인 미디어이다.
코어(core)
광도파로나 광섬유에서의 빛이 전파하는 영역. 보통 주위의 매질보다 굴절률이 큰 영역을 말한다.
BOOYO
Booyo는 리눅스 배포판과 한국 표준 리눅스 레퍼런스 플랫폼 한국에서 무료 소프트웨어를 홍보의 목적으로 개발되고있다. 이것은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 (한국 전자 통신 연구원) 한국과 6 개의 다른 한국 기업과 한국 정부에 의해 지원에 의해 개발되고있다.
system
①체계, 조직, 제도 등 요소의 집합 및 요소와 요소 간의 집합. ②어떤 과업의 수행이나 목적 달성을 위해 공동 작업하는 조직화된 구성 요소의 집합. ③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기기, 방법, 절차, 그리고 경우에 따라 인간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 ④특히 컴퓨터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그와 관련되는 집적 회로(IC) 칩과 회로,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디스크 구동 장치), 출력 장치(모니터, 디스크 구동 장치), 그리고 주변 장치(프린터, 모뎀) 등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 이 하드웨어 시스템의 내부에 하나의 운영 체계가 있다. 흔히 ‘시스템 소프트웨어’라고 불리는 운영 체계는 하드웨어와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는 필수적인 프로그램들의 집합이다.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또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그램들, 절차들, 데이터 및 기기들의 다양한 집합이나 조합을 가리킨다. 회계 관리 시스템, 요금 관리 시스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통신망 관리 시스템 등 많은 종류의 시스템이 있다.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주 컴퓨터와 통신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트랜잭션을 주 컴퓨터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즉석에서 사용자 단말 측으로 되돌려 보내 주는 처리 형태. 트랜잭션이란 단말에서 주 컴퓨터로 보내는 처리 단위 1회의 메시지를 가리키며, 보통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 조작을 포함하는 하나의 논리 단위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내의 어떤 표의 수치를 변경하는 경우, 그 표와 관련된 다른 표의 수치도 변경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완전성(data integrity)을 유지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2개의 처리를 1개의 논리 단위로 연속해서 행해야 하는데, 이 논리 단위가 트랜잭션이다. 1개의 트랜잭션은 그 전체가 완전히 행해지든지, 아니면 전연 행해지지 않든지 둘 중 하나여야 한다. 그 이유는 1개의 트랜잭션의 일련의 처리 도중에 그 트랜잭션 처리를 중지하면 데이터의 완전성이 없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LTP)의 특성에 적합하게 개발된 컴퓨터가 내고장형 또는 무정지형 컴퓨터(FTC)이다. 그리고 이전에는 범용기 중심이던 OLTP 시스템을 유닉스에도 구축하게 되었는데, 유닉스용의 트랜잭션 처리(TP) 모니터가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어서 성능과 가용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업계 표준인 분산 컴퓨팅 환경(DCE)에 대응하는 TP 모니터 제품이 많이 출현하여 유닉스 기계에 기간 업무의 OLTP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J2EE(Java 2 Enterprise Edition)
분산 객체, 효율적 자원 관리, 컴포넌트 기반 개발 등을 자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규약. 은행 전산망처럼 큰 규모의 전산 환경을 엔터프라이즈급 환경이라 하는데, 수많은 고객 정보를 공유해야 하고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서비스를 차질 없이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개방적인 웹 환경을 지원하는 J2EE의 구성 요소는 분산 객체와 컴포넌트 기반 개발을 지원하는 기업 자바빈(EJB), EJB 컨테이너 혹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효율적 자원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JTA(Java Transaction API)와 JDBC, 웹 환경을 담당하는 서브릿과 JSP(Java ServerPages), 기타 자바 네이밍 디렉터리 인터페이스(JNDI), JavaMail, 자바 메시지 서비스(JMS) 등의 기능들이 있다.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레벨 보증서)
기업이 정보 제공자(IP)와 주고받는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계약에 사용되는 보증서. 원래는 프레임 중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가 이용자에 대해서 광역 통신망(WAN) 트래픽의 전송 품질을 보증하는 계약을 가리켰다. 서비스 레벨 보증서(SLA)의 목적은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도입함으로써 통신망과 관련된 비용을 경감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목표치를 설정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관리한다. 통신망 관리인 경우에는 가용성(availability)이나 트랜잭션 처리 시간, 접속 실패율 등의 기준치를 미리 설정한다.
CORBA(common ORB architecture, 코바)
객체 관리 그룹(OMG)이 제정하는 객체 요구 매개자(ORB)의 표준 규격. 일반적으로 CORBA(코바)라는 약자로 표기된다. ORB는 분산 객체 환경에서 객체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OMG가 제정한 분산 객체형 시스템의 기본 구조인 객체 관리 구조(OMA)의 5개 구성 요소 중 핵심적인 요소이다. 미국 휼렛 패커드사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가 공동으로 제안하여 1991년에 CORBA 1.1이 완성되었다. 1994년에 휼렛 패커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IBM의 3사가 공동으로 제안한 CORBA 1.1의 확장 규격이 CORBA 2.0으로 발표되었다. CORBA 2.0은 다른 기종 플랫폼 사이의 상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ORB 규격이다. 이 규격에 따라 윈도즈 95, 윈도즈 NT, 유닉스, 매킨토시, OS/2 등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각자 개발된 시스템이 상호 연계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처리하는 분산 객체형 정보 기술이 보급될 것으로 기대되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ITSM(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IT 서비스 관리)
정보 시스템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일련의 활동, 즉 기업 내부의 기존 정보 통신(IT) 관리 역할을 서비스 관점으로 바꿔 고객 중심의 IT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법.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 계약인 서비스 수준 관리(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품질 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모든 기법을 지칭하는 것으로, SLA의 내용에는 서비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세부 서비스 요소(SLO:Service Level Object)들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IT 서비스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과정 및 프로세스를 정리해 놓은 것이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이다. IT 서비스 관리는 IT 관리의 초점이 IT 인프라의 성능 위주에서 서비스를 거쳐 비즈니스 측면이 부각되는 발전 단계의 중간에 속한다. 국제 IT 서비스 관리 표준화 기구인 ITSMF(IT Service Management Forum)이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ISO 20000
IT 조직이 업무 관리의 모범 사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IT서비스관리(ITSM)의 국제 표준 인증 규격. 영국 표준이었던 BS 15000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표준화 한 것으로, IT조직이 서비스 관리의 모범 사례(best practice)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돼 있다.
CMMI(업무능력 및 성숙도 평가 기준 통합,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기존의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업무 능력 및 성숙도 평가 기준(CMM)의 후속 모델. 미국 국방부의 지원 아래 산업계와 카네기 멜론 대학 소프트웨어(SW) 공학 연구소(SEI)가 공동으로 SW-CMM과 시스템 엔지니어링(SE)-CMM 등의 요소를 통합 개발한 것이다. CMMI의 목적은 SW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획득, 유지 보수를 위한 조직의 공정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검증된 실무 활동을 반영하여 조직의 성숙도 및 공정 능력 평가, 공정 향상을 위한 활동의 우선 순위 결정, 실제 공정 향상을 위한 구현 활동을 지원하는 틀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CMM이 SW 개발 모델에 한정된 것과 달리 CMMI는 시스템과 SW 영역을 통합시켜 기업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에 대한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Capability dEtermination, 소프트웨어 처리 개선 및 능력 평가 기준)
소프트웨어(SW) 사업자의 개발 생산성 및 업무 처리 관리 능력을 평가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SW 국제 인증 제도. ISO가 SW 사업자 평가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해외 SI 프로젝트 입찰 시에 사업자를 평가하는 주요 측정 기준이 되고 있다.
JMS(Java Message Service, 자바 메시지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컴퓨터간 메시징이라는 일반 통신을 지원하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표준 메시징 프로토콜과 자바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특별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바 메시지를 주고 받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기업 메시징 시스템 액세스를 위한 API로서, 컴퓨터간 데이터 교환, 이벤트 안내, 서비스 요구 사항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비동기적으로 주고 받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다른 시스템이나 다른 언어로 쓰여진 프로그램을 일원화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자바 객체를 포함한 메시지와 XML 페이지를 포함한 메시지를 지원한다.
EJB(Enterprise JavaBeans, 기업 자바빈)
서버/클라이언트 모형을 갖춘 네트워크의 서버 측에 운용되는 자바 언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 컴포넌트 작성용 구조. 클라이언트에게 빈(Beans)이라 부르는 프로그램 컴포넌트를 분배하는 자바빈(JavaBeans) 기술로 되어 있고, 새로운 프로그램 컴포넌트의 변경이나 추가 시에 개별 컴퓨터를 업데이트 하지 않고 서버에서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EJB 컴포넌트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사용 할 수 있는데, EJB 컴포넌트 수행을 위해서는 컨테이너라 부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딜리버리(delivery, 전달)
메시지 통신 처리 시스템(MHS)에서, 메시지 전송 에이전트(MTA)가 메시지를 수신자의 사용자 에이전트(UA)로 전송하거나, 추후에 수신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메시지 저장 장치(MS)로 전송하는 것. 또한 메시지의 전달 가능성을 타진하는 프로브(probe)에 대한 보고나 발신 메시지의 전달 결과 보고를 발신자의 UA나 MS에 전송하는 것도 전달이라고 한다.
JAD(Joint Application Development, 합동 애플리케이션 개발)
일련의 협동적 워크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에 클라이언트나 최종 사용자를 참여시키는 방법. 재래 전통 방식에 비하여 사용자가 개발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개발 속도가 빠르고 사용자 만족도가 크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 의견을 시스템 요구 사항에 반영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
영국에서 태동한 정보 기술(IT) 서비스를 지원, 구축, 관리하는 프레임워크. 효과적인 IT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일종의 교본으로 ITIL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관리 수준(SLA) 프로세스는 사전 준비, SLA 개발, 운영 및 개선 단계의 생명 주기를 거치며 반복된다. v3가 발표되면서 기존의 v2가 프로세스 정립에 대해 주안점을 두었다면, v3는 프로세스보다는 IT가 현업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에 초점을 맞추는 철저한 현업 중심, 비즈니스 중심의 IT를 강조한다.
ROAMING(서비스권 전환)
육상 이동 전화 서비스에서 가입지 이동 통신망을 벗어나 이동 전화를 사용하는 것. 여러 이동 전화 사업자가 있을 때 사업자들 간에 서로 약정하여 서비스권 전환(로밍)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자기가 등록되어 있는 교환 시스템 이외의 다른 시스템에 가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서비스권 전환이란 상호 서비스 제공, 서비스권 또는 가입 구역 인수 인계, 통화권 위치 등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서비스권 전환으로 미국은 전국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고, 유럽의 경우 A국의 이동 가입자가 B국으로 들어가면 그 지역의 이동 통신망에서 그의 진입을 확인하고 행방을 가입지 이동 통신망에 통지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기업이 고객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나아가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과 양방향으로 소통하는 CRM 2.0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ACTIVE X
윈도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편리하고 쉽게 이용하도록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문서 등을 웹과 연결시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위해 고안되었으며, 실생활 페이지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내려받기되어 설치된다. 선 마이크로 시스템즈사의 자바(Java) 기술에 대항하는 기술이다.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
기존의 2선식 가입자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전화국에서 가정으로 1.5Mbps(또는 6Mbps), 가정에서 전화국으로 16kbps의 통신(비대칭)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 동일한 전화 회선을 기존의 전화와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의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2B+D)가 공존하는 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미국 지역별 벨 운용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인 비디오 다이얼 톤(VDT) 서비스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ADSL 기술과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인 엠페그 1 표준 규격(MPEG 1)을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와 함께 가입자가 종합 유선 방송(CATV)국 등의 비디오 서버로부터 원하는 영화를 불러내어 시청할 수 있는 주문형 비디오(VOD)를 제공하는 것이다. ADSL 기술은 미국 벨코어에서 제안한 것으로 음성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대역폭 400kHz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 때문에 전화국으로부터의 전송 거리에는 제한이 있어서, 1.5Mbps 전송에서 약 5.5km, 6Mbps 전송에서 약 1.8km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지도에 관한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석하는 시스템. 지도 정보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취급하는 정보는 인구 밀도나 토지 이용 등의 인위적 요소, 기상 조건이나 지질 등의 자연적 환경 요소 등 다양하다. 속성 정보를 가공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해석하고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설 관리(FM) 시스템과는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은 도시 계획, 토지 관리, 기업의 판매 전략 계획 등 여러 가지 용도에 활용된다.
트리거(trigger)
[컴] ①정보의 저장이나 게이트를 만들고, 논리곱(AND)과 논리합(OR) 회로에 조건을 주는 데 이용되는 쌍안정 전자 장치. ②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정해 놓은 조건을 만족하거나 어떤 동작이 수행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동작.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조건과 무결성 조건을 기술하는 데 유용하다. [무] 비정현파와 그 밖의 특수 파형 발진기에 가하여 그 발진기 특유의 파형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기동 신호.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지능형 교통 시스템)
①전기, 전자, 정보, 통신, 자동차 기술을 교통에 적용하여 교통 체증과 비경제 등 심각한 교통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진 각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종합 교통 정보의 수집/가공/전파 시스템. 전국의 도로, 차량, 운전자 및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교통 관련 정보와 기상 정보, 도로 상태 정보 등을 수집, 처리, 가공하여 이를 유/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해서 도로변 교통 단말기, 차내 단말기, 교통 방송, PC 통신, 전화 등으로 차량 운전자 및 여행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통행의 편의와 교통량의 원활한 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첨단 교통량 관리 시스템(ATMS),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ATIS), 첨단 대중 교통 정보 시스템(APTS), 첨단 물류 관리 시스템(CVO), 첨단 자동차 및 도로 정보 시스템(AVHS) 등이 있다. ②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관한 기술 정보 교환과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 기구. 이 기구는 매년 1회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세계 총회(ITS World Congress)를 개최하고 있다.
ITS(invitation to send, 송신 요구)
폴링 방식에서 주국이 단말에 대하여 행하는 송신 권유. 해당 단말은 송신 전문이 있으면 즉시 전문의 송신을 개시하며, 없으면 ‘송신 전문 없음’의 응답을 주국에 보낸다.
FIREWALL(방화벽)
인터넷에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에 설치되는 접속 제한. 인터넷에서는 한쪽 방향의 접속이 가능하면 역방향의 접속도 가능하기 때문에 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을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간의 IP 패킷 전송을 차단하는 방법,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패킷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CALS(Commerce At the Light Speed)
조달에서 설계, 개발, 생산, 운용, 유지 보수에 이르는 제품의 수명 주기를 통해서 서류, 도면, 거래 등 모든 기술 정보 등을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시스템. 1985년 미 국방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해서 군수 물자와 기술의 흐름을 합리적으로 통제하여 군수품 납품 체계를 개선할 목적으로 시작했다. 이때의 칼스(CALS)는 컴퓨터 지원 군수 지원 체계(computer aided logistics support)라는 개념이었다. 1990년대 초에 CALS의 의미가 ‘지속적 획득 및 수명 주기 지원 체계(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로 바뀌었으며, 이어서 1995년을 전후하여 ‘광속 교역(commerce at light speed)’이라는 개념으로 CALS의 방향을 재정립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1990년부터 보잉(Boeing) 등 항공기 제작사, GM 등 자동차 제조업체, 미국 국립 항공 우주국(NASA) 등에서 적극적으로 CALS를 도입하였고, 국내에서는 삼성 항공, LG 화학 등에서 CALS 표준에 의한 설계 관리 또는 문서 교환 관리 시스템 등을 1992년부터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ASV(Advanced Safety Vehicle, 선진 안전 자동차)
선진 안전 자동차는 'ASV'라고도 하는데 Advanced Safety Vehicle의 약자로 일본식 용어입니다. 차량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해서 차량이 위험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ERD(emergency repair disk, 응급 복구 디스크)
백업 프로그램을 사용해 만든 윈도즈 백업용 디스크. 현행 윈도즈 시스템 구성에 관한 정보 보관이나 시스템 장애로 인한 시스템 재구성에 사용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추가, 서비스 팩 또는 핫픽스(hot fix)의 설치, 계정 데이터베이스의 새로운 사용자 추가·변경 때마다 새로운 응급 복구 디스크(ERD)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미 삭제된 지난 계정을 재저장할 때에도 사용된다.
CAI(common air interface,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 규약, 특히 음성 및 비음성 이동 통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주파수, 통신 방식, 접속 방법 등 공통적인 무선 접속 조건의 표준 규격.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ITU-R)에서 추진하고 있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시스템(FPLMTS)은 세계적인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CAI) 표준 규격을 작성하여 범세계 개인 통신(UPT)을 실현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볼 수 있다.
IDC(Internet Data Center)
전자 상거래를 행하는 기업으로부터 서버를 맡아서 그 기업의 인터넷 사업을 운용/대행하는 시설. IDC의 조건으로는 연중 무휴, 24시간 가동되는 인터넷 접속 환경의 보증, 서버의 설치/관리, 기간 망에의 접속, 보안 대책 및 기타 인터넷 서버의 유지 관리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전자 상거래의 급증에 따른 정보화 투자 삭감 때문에 예산 절약을 위해서 아웃소싱 방법이 성행하고 있으며, 또한 IDC의 대부분은 대용량의 기간 망과 서버 설치를 위한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IPC(Instructions Per Clock, 클록당 명령 수)
프로세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클록당 수행되는 어셈블러 명령어의 평균 수. 프로세서 성능은 클록 속도에 클록당 명령 수(IPC)를 곱해서 계산되며, 동일한 성능이라도 고속 IPC 저속 클록, 저속 IPC 고속 클록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
확장성 생성 언어(XML)와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등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통신 규약.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유저랜드 소프트웨어(UserLand Software)사, 디벨롭멘터(Developmentor)사가 중심이 되어 개발하였다. SOAP에 의한 통신에서는 XML 문서에 봉투(envelope)로 불리는 부대 정보가 붙은 메시지를 HTTP 등의 프로토콜로 교환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쌍방이 SOAP의 생성/해석 엔진을 가지는 것으로 다른 환경 간에서의 객체 호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SOAP 1.1에서는 실제로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하위 프로토콜은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HTTP나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SMTP), 파일 전송 규약(FTP) 등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기업 간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방화벽 등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현재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 의해 표준이 행해지고 IBM, 로터스 등도 자사 제품에서의 대응을 표명하고 있다. 한편, SOAP 메시지의 생성 엔진은 ‘SOAP 프럭시’, 해석 엔진은 ‘SOAP 리스너, SOAP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용 가능한 부품화된 웹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은 ‘웹 서비스’라고 불린다. 인터넷상에서 각 회사가 제공하고 있는 웹 서비스를 모아 누구라도 검색,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UDDI이다.
DVD(digital video disk, digital versatile disc,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보통 영화 한 편에 해당하는 약 135분의 영상과 음성을 담을 수 있는 지름 12cm 크기의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지름의 디스크에 현행 텔레비전 방송 수준의 화질로 영화를 담을 수 있다. 1996년 가을부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와 영화 소프트웨어가 발매되기 시작하였다. DVD 1매의 기록 용량은 일반 CD의 6~8배가 된다. 광원으로 CD용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파장 780nm 정도: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임)보다도 파장이 짧은 적색 반도체 레이저(파장 635~650nm)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집광(集光)하는 대물 렌즈의 개구 수(開口數)를 높이는 등 기록 용량이 증가하였다. 영상 데이터는 국제 표준 방식인 MPEG 2로 압축한다. DVD는 고화질의 영화를 담을 수 있는 영상 매체로서뿐만 아니라 읽기 전용 콤팩트 디스크 기억 장치(CD-ROM)의 차세대판인 DVD-ROM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PC)나 게임 기기와 소프트웨어 제작업계에서도 주목하고 있으며 DVD-ROM 장치도 1996년에 등장하였다. 처음에는 멀티미디어 CD(MMCD)라는 방식과 초밀도(SD) 방식이라는 2가지 방식의 DVD가 제안되었다. 일본의 소니사와 네덜란드의 필립스사가 공동 제안한 MMCD는 기존 CD와의 호환성 확보가 용이한 반면, 일본의 도시바 등 7개사가 공동 제안한 SD는 기록 용량을 높이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디스크 구조는 SD 방식으로 하고 변조 방식의 일부에 MMCD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양 진영이 DVD의 규격을 통일하였다. 그리고 DVD는 처음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약어였는데 규격을 통일할 때 새 규격의 명칭을 DVD로 할 뿐, 특정 용어의 약어가 아니다(예를 들면, 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약어가 아니다)라고 결정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라는 용어는 일반적 명칭으로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그 사용 예로 DVD-audio가 있는데 일반 음악 CD에 비해서 큰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적인 음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CD는 표본화 주파수 44.1kHz/양자화 16비트로 되어 있으며 이론상 오디오 주파수 상한은 22kHz이고 동작 범위는 98dB이다. 현재 DVD-audio에서 검토된 9kHz/24비트로 하면 주파수 상한은 48kHz, 동작 범위는 144dB이 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는 20kHz 이상의 고음을 감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50kHz까지 들린다는 연구 보고서도 나와 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액정이 갖는 여러 가지 성질 가운데 전압을 가하면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장치. 두 장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액정을 담고 투명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가하여 분자의 배열 방향을 바꾸어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는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얇은 판으로 만들 수가 있고 소비 전력이 적으나 응답 속도가 느린 결점이 있다. 액정 재료와 분자의 방향 배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행렬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분자의 방향 배열을 변화시켜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켜 표시하는 방식으로는 편광판을 사용해서 광변조하는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crystal)과 편광판 없이 광산란을 이용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이 있다. 액정 표시 매트릭스에는 단순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이 있다.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유리 기판 자체에 트랜지스터 등 능동 소자를 부착한 것인데, 성능은 우수하나 공정이 복잡하고 대형화가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빛의 투과(透過)를 이용하느냐 반사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로 분류하기도 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은 수 볼트(V)로서 IC 구동이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적기 때문에 전지 구동이 가능하여 랩톱이나 노트북형 등 휴대용 컴퓨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GapFiller
고층 빌딩 등에 의해 전파가 차폐되는 지역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소로부터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재송신하는 소출력 재송신소.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유럽의 디지털 음성 방송(DAB) 방식에서는 다반송파 변조 방식의 일종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발사하는데, 멀티패스에 강한 OFDM의 특징을 이용하여 이동체가 전파 차폐 지역에서 고음질의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빌딩 옥상 등에 소출력의 재송신소를 설치하여 지상 송신소 또는 위성에서 발사된 전파를 재송신한다. 수신기에서는 직접파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송신파만을 수신하지만 직접파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도 직접파와 재송신파를 합쳐서 수신함으로써 고음질의 수신을 할 수 있다.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스카시)
미국표준협회(ANSI)의 X3T9.2 위원회에서 정의한 것이 미국 국가 표준으로 제정되고, 이어서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한 소형 컴퓨터의 입출력 버스 인터페이스. 마이크로컴퓨터를 하드 디스크나 프린터 같은 주변 기기 또는 다른 컴퓨터, 구내 정보 통신망(LAN)에 케이블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스카시(SCSI) 접속구에 최대 8대(주 컴퓨터를 빼면 7대)의 기기를 ‘daisy chain’이라고 불리는 순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전송 속도는 접속구당 32Mbps이다. 각 기기에는 입력용 소켓과 출력용 소켓이 붙어 있으며, 앞 기기의 출력을 다음 기기의 입력에 연결한다. 마지막 출력 쪽에는 종단기(terminator)가 필요하다. 개인용 컴퓨터(PC)나 워크스테이션(WS)에서 SCSI 접속구를 표준 장착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렇지 않은 컴퓨터에서는 확장 보드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시스템(FPLMTS)을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이름.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ITU-R)에서는 세계 어디에서나 언제나(Anywhere-Anytime)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음성/데이터 등 다양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PLMTS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의 약어인 FPLMTS라는 용어가 ITU의 어떤 공용어로도 발음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이름이 제안되어 1996년에 국제 이동 통신-2000(IMT-2000)이 채택되었다. IMT-2000은 FPLMTS 시스템용으로 사용할 세계 공통의 주파수대가 2,000MHz 전후(1,800~2,200MHz)라는 점과 FPLMTS 서비스의 실현 목표 연도가 서기 2000년경(2002년)이라는 점과 우연하게 일치하는 상징성과 발음하기 쉬운 점을 감안하여 채택된 이름이다.
Data mining(데이터 마이닝)
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인공 지능 기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찾아 주는 과정. 반면에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테이블들을 미리 만들어 놓고 이를 꺼내 볼 수 있도록 한다. 비를 좋아하는 사람에 대한 데이터가 있고 색깔에 대한 선호도와 관계된 데이터가 있다면 이 둘의 관계를 밝혀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확히 수치화하기 힘든 데이터 간의 연관을 찾아 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대형 마트에서 2, 30대 고객 중 기저귀를 구매하는 사람은 맥주를 많이 구매한다.
텔레호스팅
호스트(서버)는 A라는 위치에 존재하지만 관리나 유지 보수를 B라는 위치에서 한다면 이게 바로 텔레호스팅입니다. 원격 제어를 통한 호스트 운영등을 통틀어 말하고 있습니다. 요즈음 문제가 되고 있는 성인 사이트등이 이용하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이고요. 호스트는 다른 나라에 두고 사이트 운영을 하여 법적인 조치를 피하려는 시도이죠. 법적으로 이것을 막으려는 시도를 다각도로 하니까 앞으론 다른 법적조치가 나오겠죠.
데이터마트(data mart)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즉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갖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 항목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경영 활동을 돕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정부 기관 혹은 정부 전체의 상세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비해 데이터 마트는 전체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있는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트의 구분은 사용자의 기능 및 제공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스마트 카드(smart card)
집적 회로(IC) 카드에는 IC 메모리와 중앙 처리 장치(CPU)를 탑재한 반도체 칩이 매입되어 있는데, 자기 카드에 비해 기억 용량이 크고 CPU가 내장되어 있어 처리 능력이 있기 때문에 똑똑한 카드라는 의미로 미국에서 일컫는 말. 암호 처리, 접속 대상의 인증, 기억 데이터의 관리 등 보안 기능이 뛰어나 안정성이 높고 위조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어서 은행 카드, 신분 증명 카드, 유료 방송 수신 카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 통신망)
공중망 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마치 사설 구내망 또는 전용망 같이 이용하는 통신망.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간단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이용자는 자신의 망 구성을 정의하고 임의의 전화 번호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1985년 미국 AT&T사가 최초로 SDNS(software defined network service)와 가상 전용선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 서비스는 공중 통신망에서의 고도의 망 관리 기능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기업 내에 분산되어 있는 사업소 간의 구내선 다이얼, 구내선별 요금 명세, 각종 통계 보고 작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통화 요금도 일반 장거리 통화 보다 저렴하고, 고객 기업은 자사 내의 제어 단말을 전화 회사의 망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수시로 각종 사항을 변경ㆍ추가할 수 있다.
BCP(basic call process, 기본 호 처리)
특정 기본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며, 최적의 서비스 품질과 망의 성능을 갖도록 설계된 것으로 망 내 발착신자 간에 기본 호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업무 연속성 계획)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 재해, 재난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용이 어려운 데이터 백업과 같은 단순 복구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의 지속성 보장, 핵심 업무 기능을 지속하는 환경을 조성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재해 백업 시스템 운용 체계를 마련하여 재해로 인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하는 컨설팅 기능을 포함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컨설팅-시스템 구축-시스템 관리의 3단계로 이뤄진다.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 폐기 목록)
폐기된 인증서를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그 목록을 배포, 공표하기 위한 메커니즘. 주로 인증 기관에서 관리하며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인증서와 함께 전달된다. 인증서 폐기 목록에는 취소된 인증서들의 일련번호가 들어 있으며 이를 받은 당사자는 목록을 참조하여 취소된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Alt-text(대체 텍스트)
시각 장애인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는 글이나 문구.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중에서 글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 시각 장애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표시되어야 한다.
위성 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DMB)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위성 송신설비 및 지상 중계 설비를 이용하여 극초단파 대역에서 방송하는 것. 위성을 방송 매체로 사용하여 고정 수신, 휴대 수신은 물론, 이동 중 차량 단말기나 이동 전화형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의 이동용 단말기에 콤팩트 디스크(CD) 수준의 음악 방송, 뉴스, 교통 방송, 기상 정보, 지리 위치 정보,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한다. ITU-R 권고 BO.1130-4에 포함된 위성 DMB 시스템은 디지털 시스템 A(Eureka-147), 디지털 시스템 B(VOA-JPL 시스템), 디지털 시스템 D(Worldspace 시스템), 디지털 시스템 E(일본의 CDM 시스템) 등이 있다. 국내 표준안은 ITU-R BO.1130-4 시스템 E방식으로서 2.6GHz 대역의 25MHz를 기본으로 하며, 위성 DMB 서비스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deband cdma,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이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제 이동 통신-2000(IMT-2000)을 위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을 광대역화하는 기술.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에는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표준화 단체인 CDG(CDMA Development Group)가 제안하고 있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일(wideband cdma One), 일본의 NTT나 KDD 등이 독자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방식 등이 있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하향 패킷 접속)
비동기식 3세대 이동 통신의 하향 링크에서 10Mbps 수준의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송 규격. 인터넷 통신은 주로 내려받기가 많아 하향 링크의 고속화가 서비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속 데이터는 주로 정지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조건을 최대한 수용하도록 하향 링크의 전송 규격을 개선한 것으로 W-CDMA R5에 적용되었다. 기본 개념은 각종 물리 링크나 MAC 링크 기능을 기지국에서 수행하도록 하며, 단말기가 기지국에 가깝거나 정지 상태에서는 오버헤드를 줄여 처리 속도를 높인 것으로, 적응 변조 및 코딩(AMC),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ARQ), 송수신 다중 다이버시티(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고속 패킷 스케줄링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은 상향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거쳐 HSOPA(High Speed OFDM Packet Access)로 진화할 예정이다. HSUPA는 HSDPA에 도입한 기술을 사용해 상향 회선 성능을 5.76Mbps로 향상시킨 W-CDMA R6이며 HSOPA는 차세대 이동 통신(4G)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접속과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를 적용해 전송 속도를 HSDPA보다 10배 이상 향상시킨 4G 기술이다. HSUPA가 상용화되면, 휴대 전화를 이용한 개인 방송이나 다자간 화상 통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해진다.
10 기가비트 이더넷(10-Gigabit Ethernet)
이더넷 상에서 초당 10 기가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는 선진 통신 기술로 된 IEEE 802.3a 표준. 대부분 LAN의 이더넷에 설치되며 기간 망간의 데이터 전송과 단말에 일관된 기술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하고 저렴한 기술이다. 광섬유를 사용한 것은 비동기 전송 방식(ATM)과 동기식 광통신망(SONET) 다중화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네트워크를 대신할 수 있고 데이터 속도도 2.5Gbps에서 10Gbps로 개선할 수 있다. 구내 정보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도시권 통신망(MAN)을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하고, IEEE 802 이더넷 MAC 프로토콜의 프레임 형식과 크기를 사용하며, 상당한 거리까지 양방향 송신이 가능하다. 다중 모드 광섬유의 경우에는 거리 300 미터까지, 단일 모드 광섬유의 경우에는 40 킬로미터까지 송신이 가능하다.
10M/100M 자동 인식(10M/100M automatic recognition, 10M/100M AR)
구내 정보 통신망(LAN) 스위치나 PC용 LAN 카드 등에서 접속 상대에 따라 1개의 LAN 포트를 10 BASE-T나 100 BASE-TX에 자동적으로 절체해서 통신하는 기능. IEEE 802.3 자동 연결 기능으로 정해진 표준의 한 기능으로 볼 수 있다. IEEE 802.3에서 규정되기 이전에 몇 개의 제조 회사가 같은 기능을 실현하여 ‘Nway’, ‘Auto Sense’ 등으로 부르고 있으나 호환성은 없다. IEEE 802.3 자동 연결 기능에서는 접속 상대끼리 송수신하는 신호(ring pulse)에 인터페이스 종별 정보를 실어서 주고받음으로써 상호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확정한다. 인식 대상으로 규정된 인터페이스는 100 BASE-T2의 전이중, 100 BASE-TX의 전이중, 100 BASE-T2의 반이중, 100 BASE-T4, 100 BASE-TX의 반이중, 10 BASE-T의 전이중, 10 BASE-T의 반이중으로 7종류이다. 우선 순위 역시 이 순서로 정의되어 있다. 통신 상대방이 자동 인식을 갖지 않은 10Mbps 전용 기기인 경우는 10 BASE-T의 노멀 링 펄스(normal ring pulse)로부터 접속 속도를 판단하여 10Mbps로 통신하며, 100Mbps 전용기인 경우는 100 BASE-TX의 아이들(idle) 신호로부터 접속 속도를 판단하여 100Mbps로 통신한다.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광대역 통합망)
음성ㆍ데이터, 유ㆍ무선 등 통신ㆍ방송ㆍ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BcN은 국제 표준인 NGN에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라는 개념을 포함시켜 브랜드화 시킨 신조어로서 국내 IT 산업을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IT 기술이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한다는 기본 목표아래,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창출ㆍ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의 통신망과 안전하고(Security), 품질보장(QoS) 및 망관리가 용이한 통신망, 광대역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ㆍ무선ㆍ방송 가입자망, 그리고, 네트워크나 단말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끊김없이(Seamless)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통신망 등을 지향한다.
'Certification > ElectroE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_ 정보기기운용기능사 2011 실기 CD .7z (0) | 2011.03.23 |
---|---|
호_ 전자캐드 실기 자료 .pdf (0) | 2011.03.23 |
호_ 전자기사 : 회로이론 이론 정리 자료 .HWP .DOC 파일 (0) | 2011.02.22 |
호_ 전자계산기 구조 .PDF 이론 자료, 14개 (1) | 2011.02.22 |
전자기사 관련 공부하기 (링크) (0) | 2011.01.07 |
전자기사 출제기준 ( ~ 2011.12.31) (0) | 2010.12.28 |
전자회로설계 산업기사 실기 예상문제 .PDF (0) | 2010.11.02 |
정보처리기사 필기기출 문제집 .HWP (0) | 2010.11.02 |
전자회로설계 산업기사 .PDF (0) | 2010.11.02 |
전자기사 자격증 일반 (0) | 2010.11.02 |